•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학교 여자 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형성 과정 (A Study on Building Process of Community of Practice in Middle School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1.05
12P 미리보기
중학교 여자 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형성 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체육교육학회지 / 16권 / 1호 / 133 ~ 144페이지
    · 저자명 : 최덕묵, 고문수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여자 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형성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I광역시 Y구에 있는 중학교 여자 체육교사이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여 ‘학습공동체’의 구성 및 운영방법에 대한 협의와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면담은 2주에 1회씩 한 명의 교사가 발표를 하고, 다른 교사들은 토의 활동을 하면서 질의응답을 통해 수업관찰과 협의를 통한 반성과 재투입 과정이 반영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들을 협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중학교 여자 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구성에서부터 실행에 이르기까지 연구 참여자의 생각과 느낌을 알아보고자 Spradley(1979)가 제안한 문화기술적 인터뷰 방식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적 학습공동체: 시스템 만들기에서는 학습공동체의 의미와 가치를 느끼지 못하고 형식적으로 참여하면서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학교 현장에서 수업방법에 대한 변화를 모색하는 자발적 교사문화를 형성 할 수 있는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협력적 학습 공동체: 실천으로 옮기기가 범주화되었다. ‘학습공동체’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기회를 마련해 줌으로써 동반 성장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게 되었다. 셋째, 반성적 학습 공동체: 의미와 방향 찾기로이루어졌고, 이는 교육과정에 대한 무관심과 교수․학습에 관한 오류, 틀에 박힌 수업 전개에 대한 반성적 과정을 통해체육교사로서 한 단계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help female teachers in the domain of physical education develop their knowledge of the field. The study was based on my efforts to explore the positive effects on participants in a Community of Practice, as defined by Lave and Wenger(1991), among middle school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I selected four female teachers as study participants. They work at a middle school located at Y district, Incheon City. I gleaned qualitative data through intensive face-to-face interview, in order to describe the progress of the participants over an 8 month period from April to November, 2009. The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progress of the teachers from the incipient stage through to the practical stage of their involvement in a Community Practic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 analysed the subject using domain analysis, in addition to Spradley's(1980) taxonomic methods of ethnographic analysis. The conclusions are elucidated below.
    Experience from forming a community of practice did play a positive role in enhancing the level of specialist knowledge in the case of the female teachers. Specifically, it was shown to promote autonomous learning; motivation, encouragement of co-workers; shared professional growth and self-reflection. In addition, it helped increase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their domain, including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suitabl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tended by the revision and finally it helped enhance the speciality of teac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체육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