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빈곤 통치에 대한 생존 전략으로서 로컬 공동체 연구 (Study of local community as a survival strategy of poverty reig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8.12
34P 미리보기
빈곤 통치에 대한 생존 전략으로서 로컬 공동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배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배달말 / 63호 / 397 ~ 430페이지
    · 저자명 : 김옥선

    초록

    본 연구는 1960∼70년대 빈곤이 국가이데올로기의 가장 중요한 통치 대상이 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대통령 연설문에 나타난 경제적 빈곤에 대한 분노와 적대는 소설, 수기 등 대중적 매체를 통해 수치심으로 전환, 확대되었다. 이때 문학은 문화의 심층부에서 국가의 통치전략을 용인하고 복제함으로써 대중을 설득하는 양식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문학의 위대함은 빈민들의 공동성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수치심이라는 개인적인 정서를 우회해 지배이데올로기를 내파하는 새로운 재현의 길을 여는 데 있다.
    빈곤 통치는 경제성을 삶의 총화로서만 다루면서 전 국민을 생존 기계로 전환한 것이었다. 그것의 가장 큰 폐해는 자치공동체의 훼손과 파괴이고 오늘날 자치공동체는 절멸한 상황이다. 이에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동물적인 생존 기계로 만드는 통치술에 저항해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며 자유를 확보하는 일이다.
    박태순, 이문구는 빈민이 자신의 자유를 실현할 수 있는 자치공동체의 영역이 이미 우리 내부 안에 존재해 왔음을 보여준 작가이다. ‘외촌동’, ‘독가촌’, ‘우리 동네’는 타인을 동정과 연민의 시선으로 포장하지 않고 자신의 행동을 비추는 거울이자 갈등을 조율, 중재하는 장으로서 공론ㆍ정치적 영역을 보여주고 있다. 로컬공동체란 서로 상이한 위치의 사람들이 각자의 삶을 서로에게 보이고 서로 다른 입장을 이야기 하고, 들을 수 있는 공동의 장소이다.
    오늘날 한국 사회는 여전히 빈곤하다. 현재의 경제적 상황을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음에도 여전히 경제적 기준, 물질적 풍요로 환산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경제성만으로 우리 삶을 결정하는 유일한 척도로 남아 있게 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60~70년대 국가의 기획과 목표에 따라 제 존재의 근원이 뿌리째 흔들리는 순간에도 자신들을 보호할 관계들을 포기하지 않았던 데에서 빈민의 의의를 찾은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process of poverty becoming the most important object of governance of national ideology in the 1960s and 1970s. The anger against the poverty of Korean reality presented in the speeches and statements of the president turned into hostility and shame. Thus, poverty reign refers to the forcing of people to take practical action by transforming their anger and hostility toward poverty into shame. Poverty reproduced in novels, autobiographies, and biographies contributed to its nationalization by persuading people and as a justification of the government.
    Therefore, the poverty of Korean society in the 1960s and 1970s is related to getting by, hunger, and simple survival. However, the transformation of the entire population into a survival machine is just a superficial result of poverty reign. The greatest negative impact of poverty reign on Korean society is the breaking down of the resistance style that individuals have endured without being incorporated into the ruling strategy as the poor have responded to disasters in their ways for a long time and protected themselves from the violence of the ruling party.
    Local community means that people in different positions (region, class, gender, age, etc.) can show their lives to each other where everyone and objects are observed by various people without losing their identity. It is where people can talk about different opinions and listen. The local community is a place to defend oneself from the pressure of governance to tame individuals into a single entity. This is a public and political area as a reflector to reflect one’s behavior without other people’s pity and sympathy and a mediator that mediates conflicts. What is more important is that this common place is not conceived by the author’s personal abilities such as Park Tae-soon or Lee Moon-gu. Because of the sincerity of the author who observed the poverty and its internal drive, we knew that the domain of the autonomous community has already existed within us with the poor as the political subject.
    Today, Korean society is still poor. However, today's poverty is turning into a problem of securing a sense of solidarity with other people and a living space for human life.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is creating a space where 'region', 'life', 'individual', and 'preference' can exist in a goal-oriented country. The new community, which will be comprised of various the interests of individuals, should be formed on the level of cultural quality of life tha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grassroots democracy, as a fence that checks the power of big organizations, such as the country or enterprise, and protects their autonomy. For this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e poor, as they did not give up the communal relationships that would protect them at the moment when the origin of their existence was in danger depending on the country's planning and goals in the 1960s and 197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배달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