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 공동체문화와 4・3항쟁의 발발 조건 (Jeju’s Culture of Community and the 4・3 Resistance’s Conditions of Outbreak)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5.06
38P 미리보기
제주 공동체문화와 4・3항쟁의 발발 조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49호 / 123 ~ 160페이지
    · 저자명 : 홍기돈

    초록

    페르낭 브로델(Fernard Braudel)의 ‘3중 구조’이론을 적용하여 제주 특유의 공동체문화가 구축되는 과정을 역사 전개 속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4・3항쟁의 발발 조건을 분석하고 있는 논문이다. 제주도는 ‘삼재(三災)의 섬’이라고 할 정도로 농사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다. 『송당본풀이』에 수렵문화와 농업문화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해상 교역으로 나아가는 양상이 드러내는 바, 과거 제주인들은 이러한 조건을 절박하게 깨달았던 것 같다. 유물 및 사료를 통해서는 중국의 한(漢), 한반도의 삼한(三韓), 일본 등과 교역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수출 품목은 1276년 원(元)이 제주에 목마장을 설치한 이후부터 많은 이윤을 남기는 말로 바뀌었다. 그런데 민족국가를 지향하는 조선의 태종, 세종 대에 이르면서 제주의 말 산업은 국가의 통제 대상이 되어 버렸고, 말 도살에서 생긴 부속물의 매매까지 견제 받으면서 붕괴되고 말았다. 말 산업의 몰락으로 생계가 어려워진 제주인들은 유민(流民) 혹은 수적(水賊)이 되어 한반도 주위 바다를 떠돌았다. 이를 막기 위해 내려진 것이 1629년의 출륙금지령이었다. 200여 년 지속된 출륙금지령 속에서 제주는 육지와의 민간 교류가 막힌 채 척박한 환경에 맞서면서 생존을 이어나가야 했다. 마을 단위 공유를 바탕으로 하는 제주 특유의 공동체의식은 이 과정에서 구축되었고, 그러한 정신이 제도로 정착된 것이 수눌음이다. 또한 마을공동체는 신앙공동체의 성격까지 끌어안고 있었으며, 제주인들은 유교 이념에 입각하여 신앙을 탄압하는 중앙권력에 대한 저항 속에서 배타적인 분리의식을 키워나갔다. 근대로 돌입하여 마을공동체가 강화된 것도 주목해야 한다. 지주자본이 진출하지 않아 농촌공동체가 그대로 유지되었던 데다가, 종래 국유지였던 목장지대와 해안 어장이 마을 공유지로 전환된 것이 그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해방을 맞은 제주인들은 이러한 마을공동체에 입각하여 지방 분권주의가 들어서기를 열망하였다. 하지만 미군정이 실시한 일련의 정책들은 이를 위배하였으며, 육지에서 파견된 세력은 대결 구도를 만들어 나갔다. 제주에 주둔하고 있던 제9연대가 4・3을 제주 대 육지의 대결로 보고 개입을 꺼린 끝에 제11연대로 교체된 것은 당시 갈등의 양상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여기에 4・3항쟁을 다루는 많은 소설들이 제주 특유의 공동체의식에 초점을 맞춰 형상화하고 있는 근거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exploring Jeju characteristic culture of community’s building process with a three tiered structure argued by Fernand Braudel and analyzes the 4・3 resistance’s conditions of outbreak. Jeju is unsuitable for farming to the point of island of the three disaster(三災). Jeju people seem to realize these conditions as shown by 『Songdang-bonpuri』 in which combination between hunting culture and farming culture was so fragment that marine trade excelled. Relics and historical records prove that Jeju traded with the Han(漢) of China, the Samhan(三韓) of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The chief items of export changed from abalone to horse, cause it makes profits, after Yuan(元) had installed the horse ranch in 1276. However, in the period from Taejong to Sejong of Chosun, seeking a nation-state, Chosun had control over Jeju’s horse industry. In addition, Chosun hold trading appendages of slaughtered horses in check. As a result, horse industry collapsed; Jeju people became drifting people(流民) or pirates(水賊) wandering the sea near the Korean peninsula. In 1629, Chosun issued the ban that Jeju people was forbidden from leaving the land. Jeju people had to struggle to maintain their existence with Jeju cutting off from land for two hundred years. That is why Jeju characteristic community spirit based on the sharing of village unit built; this spirit settled down to Sunurum system. Also, village community had religious belief; Jeju people had consciousness on separation from Chosun while they revolted against central authority which suppressed faith, predicated upon ideology of Confucianism. In modern times, reinforcement of village community requires attention and the followings motivate it; landowner’s capital did not enter into Jeju. It could make maintaining agricultural community. Ranches and fisheries of beaches, originally a state demesne, converted into public land of village. Facing liberation, Jeju people drove for the decentralization system grounded on the village community. But, a series of policy that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issued was against what Jeju people wanted and the group dispatched from land had confrontation. Nine regiment stationed in Jeju understood the meaning of 4・3 as fight between Jeju land and they so avoided intervening that they could be replaced. It is a very symbolic event in that it shows the aspect of conflict at that time. There are obvious evident for that many novels dealing with 4・3 resistance embody and focus on Jeju characteristic community spi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