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역}의 괘체와 해석–호호체(互互體)⋅호체(互體)⋅본괘(本卦)의 상관성과 {주역} 해석 (Connections among Hohoche, Hoche, and Bongoae, and the Interpretation of Book of Change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7.05
40P 미리보기
{주역}의 괘체와 해석–호호체(互互體)⋅호체(互體)⋅본괘(本卦)의 상관성과 {주역}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53호 / 215 ~ 254페이지
    · 저자명 : 최인영

    초록

    역학에서 호체는 괘의 구성 및 경문해석에 있어서 긴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호체에 대한 연구나 그 활용도에 대한 인식은 박약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본괘와 호체 그리고 호체의 호체(호호체)사이에 이어지는 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역의 구성과 해석에 있어서 호체가 갖는 중요성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64괘는 16개의 호체로, 16개의 호체는 4개의 호체로 모인다. 4개의 호체는 중천건⋅중지곤⋅수화기제⋅화수미제가 된다. 즉 본괘의 호체로 성립된 6획괘에서 다시 호체를 추출하여 6획괘를 만들면 건⋅곤⋅기제⋅미제 4개의 괘로 수렴된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호체의 호체를 호호체라 명명하고 이 호호체 4개 괘와 그에 각각 소속되어 있는 호체 및 본괘는 그 의미 해석에 있어서 일정한 연관이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본고는 호호체의 「단전」과 「대상전」을 중심으로 그 소속된 호체 및 본괘의 공통적인 의미를 드러내었다. 중천건과 중지곤은 호호체⋅호체⋅본괘에 모두 존재하므로 본호체(本互體)라 명명하였고 수화기제와 화수미제는 상대에 근원을 두고 있으므로 피호체(彼互體)라 명명하였다. 그 외의 호체(互體)들은 호체라 명명하였다.
    호호체 중천건은 본호체 중천건을 비롯하여 택천쾌⋅천풍구⋅택풍대과 4개의 호체를 두었으며 이 4개의 호체는 열여섯 개의 본괘와 함께 중천건의 「단전(彖傳)」 중 만물이 바탕 하여 비롯되는[萬物資始] 위대한 시작[大始]에 참여하고 있다.
    호호체 중지곤은 본호체 중지곤을 비롯하여 산지박⋅지뢰복⋅산뢰이 4개의 호체를 두었으며 이 4개의 호체는 16개의 본괘와 함께 중지곤의 「단전」 중 만물이 바탕하여 생하며[萬物資生] 만물을 이룸에 참여하고 있다.
    호호체 수화기제는 피호체 화수미제를 비롯하여 화택규⋅뇌택귀매⋅뇌수해 4개의 호체를 두었으며 이 4개의 호체는 16개의 본괘와 함께 수화기제의 「단전」 중 ‘초길(初吉). 종지즉란(終止則亂)’이란 의미대로 처음에는 길(吉) 하지만 나중은 어지러워짐을 알려주고 있다.
    호호체 화수미제는 피호체 수화기제를 비롯하여 풍화가인⋅풍산점⋅수산건 4개의 호체를 두었으며 이 4개의 호체는 16개의 본괘와 함께 화수미제 「단전」의 의미를 공유하고 있다. 즉 ‘가운데를 지났으니 돌아올 수 없다[未出中也].’ ‘계속하여 끝마치지 못하기 때문이니 비록 자리가 마땅하지 않지만, 굳센 양과 부드러운 음이 호응한다[不續終也 雖不當位 剛柔應也].’는 의미대로, 계속하여 끝나지 않은 채 맞지 않는 것들끼리 묶여서 끝없이 이어지는 인간의 삶이 내재(內在)되어 있다.
    『주역』은 중천건⋅중지곤으로 시작하여 수화기제⋅화수미제로 끝난다. 64괘의 호호체가 이 4괘로 귀결된다는 것은 이 4괘가 시작과 마침을 주관하며 그 사이의 모든 괘들은 이 4괘의 범주 속에서 작용함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것이다. 호호체 「단전」과 「대상전」의 내용은 호호체로 귀속되는 호체 및 본괘를 해석함에 있어서 일정한 의미상 연관성을 지니며 그 해석의 방향성을 가리킨다고 생각된다. 이는 호체를 『주역』 괘 성립의 핵심적 원리로 조명해 볼 수 있는 여지를 열어주며, 동시에 호체가 주역해석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study of divining art, Hoche(互體) plays vital roles in the composition of Goaes(卦) and interpretation of Sutras, but the reality is that the research effort for Hoche has been poor along with the perception of its utilization.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connections among Bongoae(本卦), Hoche, and Hoche of Hoche(Hohoche-互互體) and thus shed new light on the importance of Hoche in the composition and interpretation of Yi.
    64 Goaes belong to 16 Hoches, which should belong to 4 Hoches. 4 Hoches Jungcheongeon(重天乾), Jungjigon(重地坤), Suhwagije(水火旣濟), and Hwasumije (火水未濟). That is, one can make 6 Hoikgoaes(劃卦) by extracting Hoche from the 6 Hoikgoaes comprised of Hoche of Bongoae, and they converge on 4 Goaes of Geon(乾), Gon(坤), Gije(旣濟), and Mije(未濟). The present study named Hoche of Hoche Hohoche and argued that there should be some consistent connections in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s of these 4 Hohoche Goaes and their respective Hoches and Bongoaes. Focusing on the discovery of common meanings among the Hoches and Bongoaes of "Danjeon(彖傳)" and" Daesangjeon(大象傳)" of Hohoche.
    Book of Changes begin with Jungcheongeon and Jungjigon and end with Suhwagije and Hwasumije. The Hohoche of 64 Goaes(卦) are concluded into these 4 Goaes, which indicates that the 4 Goaes have supervision over beginning and ending and that all the Goaes between them operate within the categories of 4 Goaes. The content of "Danjeon" and "Daesangjeon" in Hohoche holds certain semantic connections in the interpretation of Hoche and Bongoae restored to Hohoche and points to the directionality of the interpretation. Those findings open a window for investigating Hoche with the core principle of Goae formation in Book of Changes and imply that Hoche holds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B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