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장래희망 설계경험에 대한 탐색연구 (Career, job-related hope and design Plans for the future of Youth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Focusing on focus group interview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5.12
22P 미리보기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장래희망 설계경험에 대한 탐색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청소년복지연구 / 17권 / 4호 / 287 ~ 308페이지
    · 저자명 : 유수복, 김현주

    초록

    본 연구는 가정형편이 어려운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을 대상으로 장래희망 설계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곳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10명의 청소년에게 자신의 장래희망에 대한 설계 경험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어릴 적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잠시 꿈꿔봤던 직업과 자신의 재능을 인정해 주는 주변인을 만났을 경우 어릴 적부터 지금까지 변하지 않는 직업으로 장래희망이 형성 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장래희망은 내가 갖고 있는 걱정과 내가 해결할 수 없는 걱정 등을 현실에서 경험하였으나, 가족이나 주변사람의 관심과 본인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빈곤 청소년을 대상으로 장래희망 설계경험에 대한 국내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비슷한 배경을 가진 이들의 시각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방식인 질적 연구를 통해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이들 빈곤 청소년을 사회가 돌봐야 하는 약자가 아닌 ‘예비 경제인’으로 바라보는 인식 전환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세 곳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는 한계를 갖고 있어 차후 연구대상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들 빈곤 청소년의 장래희망에 대한 관심 제고의 필요성, 센터의 실제적인 개입 방안과 진로 및 직업개발에 필요한 내용을 제도 및 실천 차원으로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complemented targeted the youth group utilizing the service of community centers in order to profoundly understand the planning for their future. To do this research the experience of future planning of ten young students who are using the services from three community centers was analysed in a way of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ormation of the participants’ dreaming jobs are not only the ones they have been wishing through positive memory and experience made when they were young but also they tend to keep the same dreaming jobs as they used to dream when they meet someone who recognizes and understands their talents. Their dream formed like this has been established even if it might face conflicts due to concerns caused in reality. This result has a meaning in terms that it helped change of recognition that our society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qualitative study that is done by focus group interview even though there is few national former study for future dream targeted young people in poverty and looks these young students in poverty as more of ‘preliminary agents of economic activity rather than as a weak group to be cared by. However,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only three community centers so it is necessary to do further study including comprehensive target group. Lastly, it has been suggested into institutional and practical step that society needs to improve its interest for the dream of poverty youth, the practical way of centers’ involvement, and the contents that needs for future path and job development of general teenag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소년복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