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 성폭력 경험자의 현상학적 연구 -시선으로부터 살아남기- (The lived experience of the adolescent girls who were victims from sexual violence -No matter what you call me, I am still m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08.12
33P 미리보기
청소년 성폭력 경험자의 현상학적 연구 -시선으로부터 살아남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30호 / 385 ~ 417페이지
    · 저자명 : 한인영, 김선민, 김진숙, 김진숙

    초록

    성폭력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성폭력이 얼마나 치명적인지, 성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등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인해 성폭력 경험자는 법적으로 ‘피해자’ 위치에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는 피해자들이 성폭력을 경험한 자로서 사회적 보호를 받게 하는 데에 주력하여 이들이 ‘삶을 계속해서 진행하고 있는 존재’라는 점에 대해서는 덜 주목해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성폭력의 피해자로서 살아간다는 것은 어떠한가?’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피해자’였고 이후 ‘생존자’로 불려지는 이들이 성폭력을 경험하고 현실세계에서 어떻게 살아왔는 지를 12-18세의 여자청소년 10명의 인터뷰한 자료를 밴매넌의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체험된 신체성, 체험된 공간성, 체험된 시간성, 체험된 관계성의 범주에서 해석되었고 논의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is it like to be living as victims from sexual violence?' the basic themes of the lifeworld, experiences of lived body, lived space, lived time, and lived other, provided the basis for the phenomenological text. As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occurred, the lifeworld existential became the foundation for textually organizing the phenomenological writing. A purposeful sample of 10 adolescent girls (ages 12-18) were interviewed after obtaining informed consent.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the way that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lifeworld existential of lived body, lived space, lived time, and lived relationship with others.


    1) Lived body: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violences of all kinds and became tough in facing violence. The participants were violated physically and emotionally by the perpetrators before they were sexually violated. However, they experienced that their plea for help before sexual violence was ignored. The study participants realized that their whole body were not to be protected but only specific part of their body. They saw themselves as victims from violences which could be healed as time went by. Their bodies were seen as something 'less than' by their close family members. The participants reveals the 'incidents' and asked or help outside of the family system. They determined to pursue active roles in building their lives.
    2) Lived space: The participants lived in the place where information about the violences were flooded but no specific action took place. They experienced that people gossiped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the victims The participants were pushed away, removed from their routines just because of they were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ey realized that the people around them only focusing what happened in terms of sexual violent but not how were they doing after the incident. However, they were strengthened by people who understood what they went through. They want to rebuild their home with people who they can trust and feel safe.
    3) lived time: The participants became to have clear boundaries. They did not stay in their experiences but move on their lives. Some participants' specific ways of moving on their lives were writing about their experiences. Not only the participants have fears for their future because of what happened in their lives, but they also drew resources from their past experiences.
    4) lived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participants clearly understood that they were victims. They knew who they could count on. Their family were fragile in their eyes. Even though the participants have ambivalent feelings toward their family members, they still want to believe that their family would be O.K. someday. The participants found new community that can be new family memb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신건강과 사회복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