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도입국청소년 학업실태 및 진로포부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ing Study on the Educational Situation and Career Expectation of Youth Migrants in Kore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2.09
28P 미리보기
중도입국청소년 학업실태 및 진로포부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청소년복지연구 / 14권 / 3호 / 141 ~ 168페이지
    · 저자명 : 조혜영, 양계민

    초록

    본 논문은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이주 초기 적응과정 중 교육실태와 진로포부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출신 중도입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총 403명이며 59.6%가 비재학 청소년으로 나타났다. 비재학 청소년들의 국적, 성별,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경우, 남자 청소년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학업이나 진로에 대한 포부가 높은 반면 현실적으로 이들의 욕구 실현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체류 신분상의 문제, 학교 전입에 필요한 서류 구비 문제, 한국 학교에서의 수동적 반응 등이 이들의 진입을 어렵게 하고 있으며, 일단 학교에 들어간다 해도 한국 학교에서의 제도적 지원 미비, 이주 청소년에 대한 교사 및 학생들의 태도, 본국에서 형성된 생활 습관 등이 이들의 학교 적응을 힘들게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들을 위한 적절한 진로교육이나 취업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당장의 가정형편, 주변 친구들의 영향 등으로 부적절한 일시 근로나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생활 패턴은 장기적으로는 저항적인 또래 문화로 형성되어 제도교육 진입이나 적절한 취업과는 더욱 거리가 멀어지게 할 수도 있다. 결국 이들이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욕구와 사회문화적 배경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이나 진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ducation and career plan of the youth migrants who moved to Korean society from China in order to join to their family members, mostly to their mothers. For this, we conducted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The number of youth participating in the survey was 403 and the ratio of youths who were not attending school was 59.6% which was more than youths in schools. Ratio of migrant youths out of school were more when they did not have Korean nationalities; when they were boys; and when they were older. While they had high needs of education and career, the realities did not meet their needs. Their legal status, lack of documents for school entrance, passive responses of Korean schools were barriers to their school attendance. And even though they got into the schools, lack of supporting system of Korean schools, attitudes of Korean teachers and students to them and their ways of life in their back home made them hard to adjust to the Korean school context. In addition, it was hard to find proper career education and employment support for them at present situation. They often had some illegal part time jobs which were informed by their friends. Further, their ways of life could lead to forming a counter peer culture in the long term and avoid getting in to the public education and decent jobs. More relevant education and career plan should be provided for them to be members of Kore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소년복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