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교정당에 관한 한·일 비교: 청우당과 공명당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of Religious Political Parties in South Korea and Japan: Focusing on Cheondoist Chungwoo Party and Komeito)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8.03
30P 미리보기
종교정당에 관한 한·일 비교: 청우당과 공명당을 중심으로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구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한국과 일본의 종교정당에 대한 심층적인 비교 분석 제공
    • 🌐 정치, 종교, 국제질서의 복합적 관점에서 접근
    • 📊 종교정당의 성공과 실패 요인을 체계적으로 탐구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1권 / 1호 / 217 ~ 246페이지
    · 저자명 : 박세준

    초록

    대한민국과 일본의 헌법에는 종교정당의 활동을 금하는 명확한 내용은 없다. 대한민국의 경우는 종교를 내세운 정당이 의회에 진출한 적이 없다. 일본에서 종교를 내세운 정당이 의회에 진출했고, 연정을 통해 여당으로 활동하고 있다. 양국의 종교정당이 이처럼 다른 모습을 보이는 데에는 어떠한 요인들이 작용했는지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종교정당을 둘러싸고 있는 내부환경과 외부환경을 비교해서 살펴본다. 종교정당의 내부환경은 종교정당의 모체가 되는 종교의 교세와 그 종교의 교리, 종교정당의 정책 그리고 종교정당의 활동이다. 종교정당의 외부환경은 해당국가의 정치상황, 해당국가의 종교지형 그리고 국제질서다. 내부환경 요인 네 개와 외부환경 요인 세 개, 총 일곱 개의 요인을 비교해서 한국과 일본의 종교정당을 비교한다. 한국의 경우는 남북한의 천도교청우당을, 일본의 경우 공명당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교세의 면에서 남한의 천도교는 20여만 명, 북한은 180여만 명, 창가학회는 500여만 명이다. 이들은 당시 종교지형에서 남한은 기독교와 불교에 밀려 세 번째였고, 북한은 신도가 제일 많은 종교였다. 창가학회는 불교로 볼 경우 전통신토를 제외한 최대 종교의 일원이고, 불교계 신종교로 봐도 기독교나 전통신토계 신종교보다 많은 교세를 자랑하고 있다. 천도교와 창가학회 모두 교리에 사회참여와 정치참여에 적극성이 있다. 이러한 교리 실천의 방법으로 종교정당을 만들어 현실정치에 참여한다. 천도교청우당의 정책은 “조선적 민주주의”라는 중도좌파에 가까웠고, 창가학회의 정책은 중도주의를 표방했으나 우파에 가까웠다. 이러한 정책으로 천도교청우당은 남과 북 모두 다른 세력과 연계를 통해 활동했다. 남쪽의 천도교청우당 경우, 신파는 중도좌파를 포함한 좌익계와 구파는 중도우파를 포함한 우익계와 연계했다. 반면 공명당의 경우 보수당과 혁신당이 신경쓰지 않는, 틈새를 파고들며 활동했다. 보수에 유리한 보혁대립이라는 정치지형이 공명당의 “틈새전략”과 맞아떨어진 것이다. 공명당의 정계진출 시작이 됐던 일본의 “55년 체제”는 냉전의 산물이었고, 공명당이 연정의 동반자로 처음 여당이 된 시기는 냉전이 해체되던 시기였다. 남과 북에서 천도교청우당이 활동하던 정치지형은 남쪽은 우익에 유리한 좌우분열이었고, 북쪽은 좌익에 유리한 좌우분열이었다. 이에 중도좌익 노선이었던 천도교청우당은 남쪽에서는 불리한 위치였고, 북쪽은 유리한 위치였다. 물론 이러한 정치지형은 냉전의 시작기였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봤을 때, 천도교청우당과 공명당은 국제질서로 인해 구조화된 국내 정치지형에 맞는 종교정당의 정책에 따라 실패와 성공으로 나아가게 됐다. 특히나 중도주의를 표방했던 공명당이 냉전해체 이후 보수정당과 손을 잡으면서 우편향 됐다는 점을 보면 확실히 알 수 있다. 종교정당은 결국 대중정당이기 때문이다. 해당 국가 내에 종교지형이나 교세, 종교정당의 활동과 같은 요소들은 종교정당의 등장이나 종교정당이 정계에 진출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는 있다. 하지만 의회에 진출할 수 있는, 즉 종교정당의 성공요소는 아니다.

    영어초록

    Constitutions of South Korea and Japan do not forbid religious political parties to be active. In South Korea, no political party with religious affiliation have entered the National Assembly. In Japan, on the other hand, Komeito as a religious political party entered the parliament successfully and now forms a coalition government with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the ruling party.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responsible for religious political parties in South Korea and Japan to take such different paths. The focus is on the inner and outer environments surrounding religious political parties. Inner environment refers to the congregation, religious doctrine of specific religions, and policies and actions of religious political parties. Outer environment includes political landscapes, religious terrains in a nation, and international order. Variations on seven factors, four inner environmental and three outer environmental, are utilized in making comparison between religious political parties in South Korea and Japan. Cheondoist Chungwoo Party and Komeito are analyzed.
    When it comes to the congregation, Choendogyo has 200,000 in South Korea and 1,800,000 in North Korea. Soka Gakkai International has 5,000,000. In terms of religious terrains, Cheondogyo was the third largest congregation in South Korea next to Christianity and Buddhism while the largest in North Korea. Soka Gakkai International, though categorized as a new religion out of Buddhism, was and still has more followers than Christianity in Japan. Both Cheondogyo and Soka Gakkai International stress the importance of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ir doctrines. Religious political parties were organized and participated in politics as way of practicing what is preached. The policies by Cheondoist Chungwoo Party were close to that of center-left, “Chosun Democracy”. Soka Gakkai International’s policies, though claimed to be centrist, were of rightest orientation. Cheondoist Chungwoo Party, both in South and North Korea, acted in accordance with other groups. On the other hand, Komeito acted alone in the beginning. Komeito first entered politics in Japanese 1955 System born out of the Cold War. Around the time when the Cold War ended, Komeito became one of the ruling parties. Political landscapes around the time Cheondoist Chungwoo Party was active favored the right in South Korea and the left in North Korea. Such political landscape is the outcome of the Cold War at the time.
    Different paths of Cheondoist Chungwoo Party and Komeito can be explained by the policies of religious political parties implemented in response to the national political landscapes structurated by international order. The fact that Komeito turned to the right upon connecting to conservative party after the Cold War makes the point clearer. Religious terrains, congregation and specific actions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religious political parties to enter the realm of politics. However, they do not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religious political parties in joining the Parlia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