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간략형 청소년 인터넷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of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Short Form(KS scal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08.12
20P 미리보기
간략형 청소년 인터넷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과 타당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
    · 수록지 정보 : 상담학연구 / 9권 / 4호 / 1703 ~ 1722페이지
    · 저자명 : 김동일, 정여주, 이은아, 김동민, 조영미

    초록

    정보통신부의 인터넷중독 자가진단검사(K척도)는 청소년이 작성하기에 너무 길기 때문에 현장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20문항의 간략형 인터넷중독 자가진단검사(K척도 Short form: KS 척도)의 개발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 KS 척도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검사는 정보문화진흥원의 지원 아래 전국 규모로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K척도 40문항과 문제행동을 묻는 문항 17문항을 포함하여 전체 57문항의 초등학생용·중고등학생용 조사지를 구성하였으며, 참여 학생수는 전국적으로 3,016명이었다. 간략형 척도 구성을 위해 2002년 완성된 K척도 검사 결과를 활용하여, 인터넷 중독 고위험군, 잠재적위험군, 일반사용자군을 통계적으로 잘 판별해 내는 척도와 문항들을 판별분석을 통해 구분하고, 전문가 평가와 자문회의를 통하여 KS 척도를 구성하였다. KS척도로 구분한 고위험군, 잠재적 위험군, 일반사용자군과 K척도로 구분한 세 집단을 비교한 결과 의미있는 수준의 중첩이 확인되어 KS척도가 타당하게 구성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KS척도의 신뢰도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신뢰도 점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KS척도의 타당도 분석 중 준거 타당도 분석을 위해 청소년위기척도를 함께 비교해 본 후, 추가로 조사한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문항과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KS척도의 하위척도들과 청소년위기척도와의 상관을 살펴보았을 때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상관을 보여, 상관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후, 구인 타당도 분석을 위해, 공분산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5개의 요인구조가 타당하며, 각 하위 척도 간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short version of K scale. K Scale that has been used was too long to fill out for youth and hard to screen faking good or bad. Therefore, in this study, we cut down 40 items of K scale into 20 items. These scales were developed for youth who are prone to internet addiction. KS scale increased sensitivity of screening yet decreased items in half for the sake of testee. KS scale was developed based on K scale. 3,016 K12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included K scale, KS scale, and Youth Risk Scale, which was developed at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 20 items of KS scale were selected from K scale(2002) using determinant analysis. High risk group was defined above 70 of standardized score and low to medium risk group is between 65 and 69 in standardized scor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mpositions of each group(High risk, low to medium risk and general groups) from KS scale and K scale, both scales predicted 70~80 percent of each group in same way. Therefore, the validity of KS scale was achieved. As a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of KS scale, Cronbach's alpha for the elementary students score was .887 and Cronbach's alpha for middle school students score was .909. Compared to Cronbach's alpha in K scale(.944 for elementary students and .955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liability of KS scale became a little lower. Yet the reliability of the KS scal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analysis of criterion-related validity, we compared the score of KS scale with the scores of internet addiction in Youth Risk Scale. The results of correlation coefficient showed .49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60 for elementary students. In short, the student who has high score in KS scale also has high score in Youth Risk Scale. Also, the correlation scores of sub-factors between KS scale and Youth Risk Scale are around. 40. therefore, we could confirm correlation between KS scale and Youth Risk Scale. For the analysis of construct validity, we tes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12.0. The result supported the model of 6 factors in the KS scale(NFI = 0.983; CFI = 0.990; RMSEA = 0.034; for elementary students, NFI = 0.985; CFI = 0.997; RMSEA = 0.019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se scales are for youth. KS scale could be a check list for an internet user to test their proneness to internet addiction by him/her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담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