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 혐오 발언을 예방하는 가족 의인화 교육 (The Justification for Education for Preventing Youth Hate Speech)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7.12
35P 미리보기
청소년 혐오 발언을 예방하는 가족 의인화 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 / 52호 / 293 ~ 327페이지
    · 저자명 : 고수진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경쟁을 통한 이김, 성취, 타자 부정을 통해서가 아니라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존재의 갱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 확신시키고 가정, 경제, 교회, 국가와 책임적 관계 속에서 정의를 이루는 삶을 살게 하는 것이다. 인터넷과 SNS에서 청소년들의 혐오발언과 폭력 수치가 높아지고 예방을 위하여 법적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타자 혐오의 근원은 자기 존재에 대한 수치심이다. 수치심과 혐오감은 상호 전환되는데 그 대상은 자기 자신, 타자 그리고 절대적 타자이다. 신학적 관점에서 수치심은 아담과 하와가 하나님과 분리된 실존이 되었다는 사실을 깨달으면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타락한 인간은 자신의 한계, 취약성을 일깨우는 타자를 혐오하게 되었다. 곧 수치심과 혐오는 보다 원초적이고 보편적 감정이다. 청소년들은 자기 존재감을 확증하기 위하여 인터넷과 SNS에서 혐오발언의 생산자, 수행자로 활동하고 있다. 존재에 대한 불안이 깊을수록 혐오 표현이 극심해지기 마련이다. 곧 혐오감은 존재에 대한 확신의 문제이며 이는 근원적인 관계, 가족으로부터 기인한다. 따라서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마틴 루터의 신학을 토대로 청소년 혐오 발언을 예방할 수 있는 가족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the young may realize and trust that their existence can change, not through winning, rivalry, achievement or denial towards others, but by believing Jesus Christ. This change in existence does not belong to man, but it encourages men to change their doing so as to live in a way that promotes doing good to family, neighbors, church and country. Today, there are many of problems of Hate Speech and violence between teenagers through the Internet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e hate of a man has formed from the infancy period according to the theory of subject relation. Youth hate is associated with physical development, specifically from feelings of parental violation of autonomy and social pressure for the “perfect life.” Moreover, the situation worsens when parents deliver their own shame and disgust to their children. However, Paul Tillich and Dietrich Bonhoeffer, in the theological perspective, said that this hate and disgust began at the Original Sin, when mankind first broke God’s command. As a result, men became ashamed of their existence, isolated from the God, and then began to dislike those who recognized their vulnerability. All people bring Original shame to themselves. Hate and disgust are only the surface phenomena showing how many people reflect their shame onto others. When shame is pointed inward, it develops into a narcissistic or self-inferiority persona. By contrast, as the shame is directed outward onto others society creates a stigma centered around the socially weak; this can also lead to atheism. Furthermore, the use of the internet encourages the spread of hate speech and reinforces youth boasting about their violence in public. Though in the past, such hate was focused on race, social economic level, and gender, today it is directed towards a diversity of subjects. This problem cannot be controlled by making new laws in this society. It needs a more fundamental solution to improve current conditions. This study suggests Martin Luther’s theology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is problem. Firstly, Luther’s ‘priesthood of all believers’ theory insists that parents have a responsibility to teach and control their children at home. Secondly, the ‘justification by faith’ theory suggests that human beings may become righteous men through their belief in Jesus Christ. The justification of Jesus Christ can be transferred to men only through faith. Thirdly, the righteous man has a vocation to help others to be free and to heal others from their state of sin. Based on the Martin Luther’s theology, this study seeks to justify family education to prevent disgust and hate speech in adolescences. This education consists of the Contrition Prayer, the Cross Kerygma, and the Justice Eccle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교육 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