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혁파 언약사상과 청교도 회심준비교리 (Covenant Theology and the Puritan Doctrine of Preparation for Conversion)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3.06
46P 미리보기
개혁파 언약사상과 청교도 회심준비교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신학논총 / 42권 / 72 ~ 117페이지
    · 저자명 : 김효남

    초록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에 대한 논의는 초대교회의 펠라기안 논쟁 이후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종교개혁을 통하여 로마카톨릭교회의 반펠라기우스적인 구원론의 문제점이 드러났고, 개혁파 종교개혁자들에 의해서 하나님의 절대적 주권에 뿌리를 둔 은혜가 구원의 핵심적인 요소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하나님의 절대적 주권과 은혜에 초점을 두는 것이 인간의 책임에 대한 면죄부를 주는 것으로 오해되는 경우가 있었기에,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은 하나님과의 언약신학을 발전시킴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었다. 특히 청교도들은 언약사상 안에 포함되어 있는 언약의 쌍무적인 성격에 주목했다. 행위언약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절대적인 은혜를 강조하는 은혜언약 안에도 인간의 역할과 책임이 주어져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한 사람이 구원얻는 믿음을 가지게 되어 회심에 이르게 되는 과정이 믿음으로 은혜언약에 들어가는 과정과 비슷한 개념이라는 것에 착안하여 은혜언약의 쌍무성이 회심준비교리에서 인간이 전적으로 무능하고 수동적인 존재로 두지 않고 일정한 역할과 책임을 가진 존재로 둔다는 사실을 밝힌다. 물론 이때 인간의 역할과 책임이란 구원 혹은 회심에 이르기 위한 공로적인 의미이거나 인간이 스스로 회심을 준비할 수 있다는 의미는 전혀 아니다. 하지만 인간이 회심에 이르게 되는 과정에서 인간이 전적으로 수동적일 수도 없다. 하나님께서는 구원얻는 믿음이라는 특별한 은혜를 베푸실 때 그 영혼을 일반적인 은혜를 통해 예비시키신다. 여기서 말하는 일반적인 은혜란 통상적인 수단을 의미하며 이는 하나님의 섭리 하에 사람이 사용하는 것이다.
    결국 본 논문의 목적은 17세기 청교도들이 발전시킨 회심준비교리가 구원을 위한 회심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적 주권을 훼손하고 인간의 자연적 능력에 공로를 돌린다는 오해를 해소하고, 더 나아가 회심준비교리가 개혁파 신학의 대표적인 특징 가운데 하나인 언약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discussion on God’s sovereignty and human responsibility in salvation has continued since the Pelagian controversy in the early church to this day. Through the Reformation, the problems of the Roman Catholic Church’s semi-Pelagian soteriology were exposed, and by the Reformers, grace rooted in God’s absolute sovereignty was accepted as the core element of salvation. However, focusing on God’s absolute sovereignty and grace was sometimes misunderstood as giving an indulgence to human responsibility, so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were able to resolve this by developing covenant theology. In particular, the Puritans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mutual nature of the covenant included in the covenant idea. They discovered that not only in the covenant of works, but also in the covenant of grace, which emphasizes God's absolute grace, human roles and responsibilities are given.
    This paper, based on the notion that the process of an individual attaining saving faith and reaching repentance is a similar concept to entering the covenant of grace through faith, reveals that the mutuality of the covenant of grace in the doctrine of preparation for conversion does not place humans as entirely helpless and passive beings, but rather as beings with certain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course, at this point,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humans are not meant to be meritorious in terms of salvation or reaching repentance, nor do they mean that humans can prepare for repentance themselves. However, humans cannot be entirely passive in the process of reaching conversion. God prepares the soul for the special grace of saving faith through general grace. The general grace mentioned here refers to the usual means, which can be used by either the elect or the reprobate under God's providence.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pel the misconception that the doctrine of preparation for repentance, developed by the 17th-century Puritans, undermines God's absolute sovereignty in salvation and attributes merit to human natural abilities, and to further explain that the doctrine of preparation for conversion is rooted in the covenant idea,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Reformed th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