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청기와에 대한 인식과 실재 (Recognition and Usage of Blue Tile in Joseon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0.12
24P 미리보기
조선시대 청기와에 대한 인식과 실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35호 / 215 ~ 238페이지
    · 저자명 : 손신영

    초록

    조선시대에는 청기와를 화려하고 사치스럽다거나 공력이 많이 드는 건축재로 인식하여, 극히 제한적으로만 사용하였다. 왕권을 상징하는 궁궐에서도 정전이나 편전 등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한 기록이 남아 있고, 현존하는 청기와 건물도 창덕궁 선정전이 유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록을 좀더 살펴보면 조선전기에는 경복궁의 寢殿이나 宮門·慶會樓를 청기와로 이으려는 시도가 있었고, 창경궁의 인양전과 명정전 등을 청기와로 이으라는 下命도 있었다. 이 중 경복궁의 침전은청기와편이 발굴된 바 있어 기록과는 달리 청기와로 이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조선후기 들어서는 광해군에 의한 궁궐영건 당시 인경궁에 청기와건물이 3동 지어진 것이 확인되는데, 인조대에훼철되면서 창덕궁선정전 및 경훈각·창경궁 통명전으로 이전건립되었다. 광해군대에는 연산군대 처럼 황기와도 제작되어 청기와와 함께 왕의 귄위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조형물로 여겨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궁궐 이외에 청기와가 사용된 곳은 조선전기에는 원각사·봉선사·장의사, 탕춘정·탕춘대장랑 등과 같이 왕실 관련 불교사찰이나 왕이 행차하던 명승지 등이었다. 조선후기에는 관왕묘·영은문 등에 청기와가 쓰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시대에 청기와를 부정적으로 인식했음에도 불구하고 화려하면서도 아름답고 귄위를 드러내기에 적절한 재료로 인식되고 활용되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Blue tile is recognized as splendid, extravagant and labor-intensive building material, thus it was limitedly used in Joseon Dynasty. Even in the royal palace which is a symbol of the kingship, the records show that blue tile was used only in a royal audience hall or side room.
    In addition, the only remaining building with blue tile is Seonjeongjeon in Changduk Palace.
    However a closer examination of the records reveals that an attempt was made to use blue tile for Chimjeon, palace door or Gyeonghoeru in Gyeongbok Palace. Moreover it was ordered to use blue tile for Inyangjeon and Myeongjeongjeon in Changgyeong Palace. In particular, pieces of blue tile were discovered in Chimjeon in Gyeongbok Palace, thus it is assumed that the blue tile was used here contrary to the records. In the late Joseon, it was confirmed that three buildings with blue tiles were built in Ingyeong Palace during the palace construction by Gwanghaegun. They were demolished under the reign of Injo and subsequently rebuilt as Seonjeongjeon and Gyounghungak in Changduk Palace and Tongmeongjeon in Changgyeong Palace.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yellow tile was manufactured and it was considered as a symbol to represent the royal power along with the blue tile. Apart from the palaces, blue tile was used in Buddhist temples affiliated with the royal palace such as Wongak temple, Bongsun temple, Zangwi temple and scenic spots visited by the king such as Tangchun pavilion and Tangchundae long corridor in the early Joseon. According to the records, blue tile was used in Guanwang shrine and Yeongeunmun in the late Joseon.
    Inspite of the negative recognition of the blue tile in Joseon, it was considered as extravagant, beautiful and symbolic for the royal power and used accordingly in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