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 정치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 청소년 정치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Exploring Strategies for the Activation of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4.06
24P 미리보기
청소년 정치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 청소년 정치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화연구 / 30권 / 3호 / 477 ~ 500페이지
    · 저자명 : 박지숙, 최정원, 이인영

    초록

    2019년 공직선거법 개정을 시작으로 청소년의 정치참여 권리는 지난 몇 년 사이 괄목할 만한 수준으로 성장하였다.
    청소년 참정권 확대를 통해 더 많은 청소년이 우리 사회의 공적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권리를 주장할 수 있게 됐다는점에서 고무적인 변화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청소년의 정치적 기본권 신장을 위한 노력은 계속돼야 한다. 우리사회가 청소년의 시민적 지위를 인정하고 청소년이 정당한 성원으로 존재하는 모든 수준의 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의사결정과 집행 과정에 이들이 차별 없이 개입할 수 있는 환경이 담보될 때 비로소 청소년에게도 민주시민으로서당연히 누려야 할 보편적 정치적 기본권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토대로 본 연구는 학교 안팎에서정치참여 활동을 하고 있거나 경력이 있는 청소년 집단 대상의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정치참여 경험을질적으로 탐구하였고, 청소년 정치참여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청소년 정치참여를 활성화하기위해 법‧제도 개선, 정치참여 관련 학습 참여 기회 및 정치참여 경로 확대 등 많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청소년정치참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긍정적이지 않다. 제도적 선언을 넘어 청소년 정치참여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바탕으로 한 긍정적 문화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 정치참여 활성화를 위한 학교 안팎에서의 형식, 비형식, 무형식 학습이 체계적이고 내실 있게 구현돼야 한다. 방향성, 전문성, 일관성이 결여된 정치교육은 오히려 정치참여에대한 청소년의 관심과 참여 의지를 떨어뜨리는 역효과를 초래한다. 끝으로 학교 안팎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청소년 참여기구에 대한 인지도 및 관심 제고와 더불어 청소년의 정치참여 활동 과정과 결과를 청소년들의 역량으로인정해 줄 수 있는 사회적 장치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Since the amendment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n 2019, the rights of youth to participate in politics have grown remarkably over the past few years. It is encouraging that more young people can now participate in public decision-making and assert their rights in our society. However, efforts to enhance the political basic rights of youth must continue. Only when our society recognizes the civic status of youth and ensures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engage without discrimination in decision-making and execution processes at all levels of communities will the universal political basic rights that youth deserve as democratic citizens be guarantee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qualitatively explored the political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a group of young people who are currently or have previously been involved in political participation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he study derived implications for promoting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Firstly, despite numerous supports, such as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increased opportunities for political participation-related learning, and expanded pathways for political participation, the social perception of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remains largely negative. Beyond institutional declarations, there is a need for a positive cultural foundation based on social consensus regarding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Secondly, systematic and substantial implementation of formal, non-formal, and informal learning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is essential for promoting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education lacking direction, expertise, and consistency may lead to decreased interest and willingness among youth to participate in politics, resulting in adverse effects. Lastly, in addition to raising awareness and interest in various youth participation organizations operating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social mechanisms that recognize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activities as the capabilities of the youth themselves are necess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