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동반자의 위기청소년 옹호활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f Youth Companion’s Experiences in Advocacy for At-risk Youth)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3.12
23P 미리보기
청소년동반자의 위기청소년 옹호활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질적탐구 / 9권 / 4호 / 363 ~ 385페이지
    · 저자명 : 장해영, 구자경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동반자가 상담을 하는 맥락 속에서 상담실 안과 밖을 넘나들며 위기청소년을 위해 옹호활동을 한 실제적인 경험을 청소년동반자의 이야기를 통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landinin & Connelly(2000)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시간성, 사회성, 장소)에 위치시켜서 전개하였다.
    탐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퍼즐은 ‘청소년동반자의 위기청소년 옹호활동 경험은 어떠하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 S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소속된 청소년동반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2022년 4월부터 2023년 8월까지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서 살아가면서 옹호활동과 관련한 경험을 이야기하고 다시 이야기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옹호활동 경험을 ‘위기청소년의 심리적 안정과 환경 변화를 위하여 능동적으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이해하였고, 옹호활동 경험의 구체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차별과 소외를 당하는 위기청소년의 환경 변화를 위해 연구 참여자가 직접 사회적 자본 즉, 사회적 부모가 되어 능동적으로 개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위기청소년이 우울하고 불안한 심리적 어려움을 이겨내고 또래 집단 사이로 들어가는 변화를 이룰 수 있었다. 둘째, 상담실이라는 공간 너머에 있는 지역사회-체계 속으로 들어가서 이들과의 유기적인 협력과 동맹을 통해 위기청소년에게 필요한 자원을 발굴하고 연계하는 노력을 함으로써 위기청소년의 심리적 고통을 가중시켰던 환경과 체계의 변화를 이룰 수 있었다. 셋째, 청소년동반자라는 신분으로 활동하였으므로 고용이 안정적이고, 수익창출에 대한 부담이 없었으며,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구축되어 있는 지역자원의 연계망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위기청소년을 조력하는 청소년동반자뿐만 아니라 청소년상담사의 옹호활동 교육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al experience of youth companions’ advocacy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seling room in the context of counseling.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proposed by Clandinin & Connelly (2000), and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placed and developed in a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temporality, sociality, place).
    The research puzzle set for inquiry is ‘what did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in advocacy activities as youth companions supporting at-risk youth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at experience’. For this purpose, youth companions belonging to the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of S c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from April 2022 to August 2023, they talked about and retold their experiences related to advocacy while living in a narrative inquiry spac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eaning of the advocacy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the youth companions, is ‘the active role performance for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nvironmental change of the at-risk youth’ and structured the specific meaning of the advocacy experienc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hange the environment of at-risk youth who suffer discrimination and alienation, research participants actively intervene by becoming social capital, i.e., social parents, ultimately helping at-risk youth overcome their depressed and anxious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make changes enter in their peer group. Second, by entering into the community-system beyond the space of the counseling room and making efforts to discover and connect the resources needed for the at-risk youth through interact cooperation and alliance with them, the environment and system that increased the psychological distress of the at-risk youth could be changed. Third, because they worked as youth companions, they had the advantage of stable employment, no burden of earning an income, and the ability to utilize the network of local resources established at the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advocacy training and developing programs for youth counselors as well as companions youth who assist at-risk you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질적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