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적십자회의 3.1운동영문사진첩 (Album with English captions of the 3.1 Resistance Movement against Japan by the Korean Red Cross: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0.03
57P 미리보기
대한적십자회의 3.1운동영문사진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02호 / 5 ~ 61페이지
    · 저자명 : 박환

    초록

    대한적십자회(임시본부 상해)에서는 1920년 상해에서 3․1운동 영문 사집첩 ‘한국독립운동(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을 간행하였다. 가로 23㎝, 세로 15㎝의 신국판 크기로 표지를 포함해 총 52쪽으로 구성돼 있다. 화보에는 발행 지역이 상해로 명기돼 있으나 발행처는 책의 뒷면에 대한적십자사의 조직과 구성 등에 대하여 상세히 기록하고 관련 사진들을 2장 싣고 있는 것으로 보아 상해에 있던 대한적십자회가 발행하였음은 짐작해 볼 수 있다. 출판사는 Oriental Press로 되어 있다. 발행 일자는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1920년으로 추정된다. 대한적십자회가 독립전쟁에 대비하여 간호원양성소를 1920년 1월 31일에 개설하였는데 이때 사진이 실려 있기 때문이다.
    ‘한국독립운동(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은 영어로 간행되었다는데 일차적으로 큰 의미를 갖고 있다. 상해에 있는 서양 외국인들에게 일단 일제의 만행을 고발하는데 큰 일익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피치 목사를 비롯하여 서양선교사들이 조선의 독립을 지지하고 후원하는데 일익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대한적십자회에서는 이관용을 스위스 제네바에 파견하여 국제적십자사에 이 책을 전달하여 일제의 만행을 규탄하였을 것이다. 또한 영어로 작성되어 있어 미국 등지에도 다수 전달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점은 미국 캘리포니아에 살고 있는 주민이 남가주대학에 이 책자를 기증한 것에서도 짐작해 볼 수 있다, 또한 이 책자는 프랑스에도 전달되었다. 프랑스 파리의 국제현대사료 도서관-현대사박물관(Bibliothèque de Documentation Internationale Contemporaine- Musée d’Histoire Contemporaine, BDIC-MHC, 보통 BDIC로 불림)에서도 소장하고 있음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본 사진첩에는 수원사건으로 불리워지는 제암리, 수촌리, 화수리 등의 학살사건에 대한 사진들이 다수 실려 있음이 주목된다. 이들의 만행으로 수많은 이재민들이 발생하였음은 『매일신보』 1919년 4월 23일자 <수원이재민> 등을 통하여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들 이재민에 대하여 조선에 있던 일본적십자사 조선지부에서도 전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미국적십자사에서 수원 이재민들을 위하여 적극적인 구조 활동을 전개하였던 것은 우리가 주목해해야할 또 다른 흥미있는 새로운 사실이다. 1920년 3월 8일자로 대한적십자사 구주지부장 이관용이 국제적십자사 사무총장에서 보낸 각서 내용을 통하여 이를 추정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In 1920, the Korean Red Cross, the provisional headquarters in Shanghai, published an English photo book in Shanghai on Korea’s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Titl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is 52-page book including a cover is in a 23 cm*15 cm format. The book held a notice that the printing was done in Shanghai, and the publication was indicated as done by the Korean Red Cross in Shanghai from the very detailed information of the organization and composition of the Korean Red Cross printed along with two photographs on the back cover. The name of the publisher is printed as Oriental Press. The date of printing is not recorded, but is presumed as 1920 from the fact that one of the photos printed in the book is of the Nursing Training Institute, which was established on January 31, 1920 by the Korean Red Cross in preparation for a possible independence war.
    A primary significance of this book is that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as published in English. Written in English, the book presents a reasonable indication that it took a great influence in announcing the Japanese barbarian practices to the Westerners living in Shanghai at that time. The book must have taken a significant impact upon Western missionaries, including Pastor George Ashmore Fitch, to support and sponsor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it is presumed that the Korean Red Cross sent Lee Gwan-yong to its headquarters in Geneva, Switzerland, with copies of this book to let the Japanese brutality known. Written in English, it must have been distributed to the USA and other countries. One evidence is that a citizen living in California donated a copy of this book to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The book also was transported to France. There is a copy treasured at Bibliothèque de Documentation Internationale Contemporaine- Musée d’Histoire Contemporaine (BDIC-MHC or BDIC) in Paris, France.
    In this photo book, it is noteworthy that there are many photos that tell about "Suwon Event," which refers to the massacre that took place in Jeam-ri, Suchon-ri, and Hwasu-ri. The tragedy of numerous Koreans victimized by the Japanese brutality is indicated by the article, “Victims of Suwon' delivered on Maeil Sinbo on April 23, 1919. The record shows that Joseon Branch of the Japanese Red Cross took no concern for these victims. On the other hand, it is an interesting noteworthy fact that the US Red Cross engaged active aid for the victims in Suwon. It is confirmed from the letter of determination sent by Lee Gwan-yong, the Regional Director of Europe, Korea Red Cross, to the Secretary General of International Red Cross, dated March 8 192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