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하철역사 재난대응시설물의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versal Design of the Disaster Response Facility in Subway Statio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0.08
10P 미리보기
지하철역사 재난대응시설물의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5권 / 5호 / 215 ~ 224페이지
    · 저자명 : 김명화, 김주연, 장영호, 백승경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경제, 문화 및 산업이 발전하며 1974년 1호선을 기점으로 지하철은 우리의 일상에 중요한 운송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현재 지하철 역사는 점차 대형화되고 복잡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특수한 공간에서 재난이 발생했을 시, 재난대응시설물의 물리적, 시각적 요소에서 인지와 주목성이 요구되어진다. 현재 우리나라 지하철 역사는 공간의 특성상 지하에 위치하고 있어 자연 채광 부족, 방향인지의 어려움, 비상시 밀폐성으로 지상에 비해 안정성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요건을 가지고 있으며 이용자가 정보를 지각하거나 습득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연구는 지하철역사의 재난대응시설물을 분석하고 유니버설디자인 구성요소를 적용함으로서 이용자와 재난대응시설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과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방법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4,7호선 환승역 총신대입구(이수)역과 2,6호선 환승역 합정역의 지하철역사공간을 중점으로 연구 범위를 선정하였고 지하철역사와 재난대응시설물에 대해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지하철역사의 재난시설물의 국내 현황을 파악하고 유니버설디자인 적용가능성을 물리적, 시각적 구성요소를 통하여 분석한 후,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 및 개선안을 도출하여 재난대응시설물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결과)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지하철역사에서 재난대응시설물은 기존 환경과 부조화를 이루어 이용자에게 거부감을 주고 있으며 다른 시설물과 중복으로 설치가 되어있어 인지가 어렵고 주변 시설물의 정보와 혼합으로 재난대응시설물의 정보전달에 오류가 생기며 이용자의 동선을 방해하고 있다. 또한 관리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아 시설물의 노후화로 인해 이용자에게 명확한 정보를 전달하기에 미흡하고 크기와 디자인이 상이하여 시각적으로 혼란을 심어주고 있으며 멀리서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요소가 부족해 이용자와 시설물의 소통에 방해가 되고 있다. (결론) 재난대응시설물들은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 역사내 빠른 정보파악과 정확한 인지가 중요하고 경험이 없는 사람들도 쉽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하철역사의 안전한 환경을 위해 재난대응시설물을 유니버설디자인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시설물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물리적, 시각적 요소를 강화시키고, 상이한 디자인을 통일시켜 시설물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강화시켜 경험이 없는 이용자들도 이용가능하도록 활용도를 높여 이용자 모두가 원활한 재난대응이 가능한 안전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In line with the evolution of our country’s national economy, culture, and industry, the subway commenced as line 1 in 1974 and became an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Currently, subway station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and when disaster strikes in these places, awareness and attention are required from the physical and visual elements of the disaster response facility. Since the subway station is located in the basement, due to the nature of the space, there is a dearth of natural lighting and it is difficult to find dire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aster response facilities of subway stations and apply universal design elements to provide effective and efficient communication methods for users and disaster response facilities.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the subway station's historical spaces at Chongshin University Entrance (Isu) Station of Subway Line 4, 7 and Hapjeong Station of Subway Line 2, 6 operated by the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and selected information on subway stations and disaster response faciliti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ior studies, the current status of disaster facilities in subway stations was examined, and the applicability of universal design was analyzed through physical and visual components, and problems and improvement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disaster response facilities. (Results) In subway stations where space is limited, disaster response facilities are inconsistent with the existing environment, and it is difficult to identify discrepancies because of duplication with other facilities, causing disaster response facilities to receive mixed information from nearby facilities as well. There is an error in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nd it interferes with the user's movement. In addition, due to the poor management of these facilities, it is difficult to deliver clear information to users, due in part to the aging of facilities, and the diverse size and design, causing visual confusion, and lack of elements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from a distance. (Conclusions) Disaster response facilities should be able to easily provide information to people who occasionally visit the subway , in order to help people maneuver in the subway stations, given the volume of floating populations. In order to provide a safe environment for those visiting subway stations, this study analyzed disaster response facilities through a universal design, strengthened physical and visual elements to enhance access to facilities, and unified various designs to enhance the user-friendliness of these facilities. We intend to create a safe environment where all users can effortlessly respond to disasters by increasing uti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