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유기 여성의 칼슘과 철 영양상태 연구 (A Study on Calcium and Iron Status of Lactating Wome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05.07
12P 미리보기
수유기 여성의 칼슘과 철 영양상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38권 / 6호 / 475 ~ 486페이지
    · 저자명 : 윤진숙, 장희경, 박정아

    초록

    본 연구는 수유기에 결핍이 가장 우려되는 칼슘과 철의 영양상태를 비수유기여성과 그리고 수유형태별로 비교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대구 지역 보건소 및 병원을 내원한 수유기 여성 84명과 비수유기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칼슘과 철의영양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혈액분석 및 골밀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1) 수유기여성의 영양상태는 영양소 섭취량면에서는 비수 유기여성에 비해 탄수화물, 칼륨,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를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 < 0.05),
    권장량에 대한 섭취비율은 모든 영양소에 대해 비수유기여성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 수유기여성은 칼슘과 철을 각각 권장량의 60.4%, 58.8%로 섭취하고 있었으며, 현재의 식습관점수는 수유기여성이 비수유기여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5).
    수유기 여성을 수유형태별로 나누어, 영양소별 권장량 대비비율로 비교하면 모유영양군이 인공영양군에 비해 오히려 섭취가 낮게 나타났다. 수유기 여성은 수유형태와 무관하게 칼슘과 철의 섭취가 권장량의 75% 미만이었다. 식
    습관 점수는 모유수유군에서 높았으며 인공영양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05). 2) 영양상태를 질적으로 평가했을 때, 영양질적지수 (INQ)는 수유기여성이 비수유기여성에 비해 비타민 B2, 인의 경우에 더 높게 나타났으며 (p < 0.1), 영양소의 적정 섭취비율 (MAR)은 0.78, 0.80로 두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 식품섭취총가짓수 (DVS)는 수유기여성이 비수유기여성에 비해 많았다 (p < 0.05). 수유형태별로 나누어 비교해보면, 영양질적지수 (INQ)는 비타민 B2, 칼슘, 철을 제외한 6가지 영양소에서 인공영양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영양소 적정섭취비율 (MAR)은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식품섭취 총가짓수 (DVS)는 모유영양군과 혼합영양군이 인공영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5).
    3) 골밀도 T-score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분포비율로 살펴볼 때 수유기여성이 비수유기여성에 비해 평균 골밀도가 낮고 골다공증에 해당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수유형태별로 나누어 비교해보면, 세 군 간에 유의적인 이는 없었으나, 모유수유군의 평균 골밀도가 낮았고, 분포비율로 살펴볼 때 모유수유군에서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에 해당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4) 철분영양상태 관련 지표 (Hb, Hct, Serum ferritin,Transferrin)는 수유기여성과 비수유기여성간에 유의적인차이는 없었으며, 수유형태별로 나누어 비교해볼 때 또한 세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해보면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수유기여성은 비수유기여성과 비교해볼 때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영양소섭취상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식습관점수, 식사구성안의 군별 점수, 식사의 다양성(DVS)점수 등은 수유기여성이 비수유기여성에 비해 양호
    한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 영양상태와 관련하여 골밀도 T-score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에 해당하는 비율이 수유기여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철관련 혈액지표들은 수유기여성이 비수유기여성에
    비해 나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유기여성들은 출산후 모체의 회복과 원활한 모유수유를 위하여 균형잡힌 식사의 필요성을 인식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칼슘과 철 영양상태 개선을 위해 칼슘과 철의 급원식품을
    적극적으로 섭취하도록 더욱 강조해야 할 것이다. 또한 수유기 여성 중 모유수유를 하는 여성은 수유로 인한 체내 저장철의 감소와 생리적인 골손실을 감안하여 균형잡힌 식사섭취와 더불어 다른 보충방안에 대해서도 고려해 볼 필
    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betwen lactating and non- lactating women, especialy calcium and iron. The subjects were 84 lactating women and 20 non-lactating women visiting a public health center and hospital in Daegu. Each subject was interview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on dietary intake for 2 consecutive days. (BMD) measurement were conducted. Dietary intake of carbohydrate, potassium, Vit B1, B2, Vit C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during lactating period (p < 0.05). However, relative intake as expressed by percentage of Korean Recomended Dietary Allowances (RDA) was not significantly diferent betwen the two groups. The dietary intake of iron and calcium were 58.8%, 60.4% of Korean higher than that of non-lactating women (p < 0.05). When we compared the quality of nutritional status,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vitamin B2, P in lactating women than in non-lactating women (p < 0.1). Mean adequacy ratio (MAR) was not significantly diferent between two groups. Dietary variety score (DV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during the lactating period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omarkers (Hb, Hct, Serum feritin, Transferrin) related to iron status betwen the two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e mineral density (BMD) T-score was not observed. However, it appeared that BMD of lactating women was lower than that of non- lactating women. (Korean J Nutrition 38(6): 476 ~ 487, 200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