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時代 民窯 鐵畵雲龍文壺 性格 考察 (A Study on White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Painting Made in Non State-run Kiln of Joseon Dynast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7.12
37P 미리보기
朝鮮時代 民窯 鐵畵雲龍文壺 性格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33호 / 129 ~ 165페이지
    · 저자명 : 최윤정

    초록

    이 논문은 조선시대 민요 철화운룡문호에 관한 연구로서, 민요산 철화운룡문호를 제작과 용도의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한 것이다. 민요 철화운룡문호는 조선시대를 통틀어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의 일정 기간 동안만 제작·사용되었다. 제작된 가마터도 한 곳만 조사되었고, 소비지도 한양을 포함한 경기도에만 국한되어 있어 다른 민요백자와는 확연히 다른 제작·소비 양상을 보인다. 먼저 민요백자가 관요백자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는데 착안해, 민요 철화운룡문호를 관요산과 유사한 ‘관요계 운룡문호’와 그렇지 않은 ‘민요계 운룡문호’로 나눈 후 관요백자와의 비교를 통해 양식의 성립과정과 전개 양상을 추정해 보았다. 민요 철화운룡문호의 양식이 성립되는데 영향을 미친 관요 철화운룡문호는 신대리 관요(1665~1676)에서 제작된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신대리 관요의 운룡문은 이전 시기와 달리 용의 얼굴에서 양감이 줄어든 모습이며, 보조문양 없이 최소한의 선으로 운룡문을 묘사한 특징이 있다. 이런 신대리 양식의 운룡문은 신대리 직전에 운영된 유사리(1655~1664) 관요에서부터 만들어지지만, 이때는 보조 문양과 함께 시문되고 있어 신대리 양식이 민요산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관요산의 이런 변화와 함께 화원화가가 장식한 벽화와 옥책 내함의 운룡문 등을 참고할 때, 민요 철화운룡문호는 대략 1660년대 초반부터 ‘관요계 운룡문호’가 만들어지기 시작해 ‘민요계 운룡문호’로 양식이 변화되면서 제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민요 철화운룡문호는 관요백자와 달리 제작 초기부터 立壺와 圓壺로 모두 만들어졌고, 그 외 다른 형태의 항아리에 운룡문을 시문하기도 했다. 다만 운룡문호가 민요에서 만들어진 다른 항아리에 비해 크기가 크고, 質이 좋은 차이를 보이며, 제작지도 현재까지 단 한 곳만 발견되어 필요한 수량만큼 주문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민요 운룡문호는 관요백자와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관요계 운룡문호”와 “민요계 운룡문호”로 나누어 분석했는데, 민요계는 문양이 생략된 정도를 기준으로 “민요계 1유형”‧“민요계 2유형”‧“민요계 3유형”으로 다시 나눌 수 있었다. 민요 철화운룡문호는 ‘官窯系’가 먼저 만들어졌고, 이후 ‘民窯系’가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민요계의 여러 유형은 시기 차 없이 거의 동시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민요 철화운룡문호는 관요백자에 비해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변화가 진행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민요에서 철화운룡문호가 제작된 구체적인 시기는 알지 못한다. 민요 자체가 직접 관련된 문헌 기록이 없고, 가마터에서 編年을 알 수 있는 유물이 출토되지 않아 가마의 운영시기를 특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민요 철화운룡문호의 제작기간을 밝히기 위해서는 관요산과의 관계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었다. 민요산이 관요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기 시작했고, 관요산과 함께 사용되었다면, 관요 철화운룡문호의 변화가 민요산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관요에서 철화운룡문호는 청화백자의 대체용으로 17세기부터 18세기 전반까지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관련 기록과 조사 성과, 왕실용 운룡문의 변화 등을 종합·분석해 보니, 17세기 전·후반 관요 철화운룡문호의 성격이 달라진 것을 밝힐 수 있었다. 17세기 전반에는 청화백자의 대체용으로 제작되었다면, 17세기 후반에는 청화백자와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반드시 청화운룡문호를 사용해야하는 의례에는 청화백자를 사용하고, 길례와 흉례 등과 같은 의례에는 철화백자를 사용하고 있어 용도에 따라 청화백자와 철화백자로 구분․제작해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민요산 철화운룡문호는 관요산과 같은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으므로 관요에서 철화운룡문호가 제작되었던 18세기 초반까지는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민요 철화운룡문호의 용도를 밝히기 위해 소비지의 분포와 동반 출토품 및 출토지점의 성격을 종합·검토해 보았다. 민요산의 소비지는 남한산성 행궁지와 경기도 양주 회암사지를 제외하고는 한양 도성 내에 집중 분포하며, 관요산과 민요산이 함께 조사된 특징을 보였다. 이는 민요산이 일반 민수용이 아니라 관요 철화운룡문호와 같은 용도로 사용된 사실을 알려주는 근거가 된다. 17세기 후반 관요 철화운룡문호는 길례와 흉례에 사용되었는데, 민요산의 출토지점이 왕실의 內帑과 祭享을 담당했던 壽進宮·明禮宮·龍洞宮 등과 가까워 궁방이나 민간에서 제수품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추정해 보았다. 이 외에도 전세품과 기록 등을 토대로 불교의식이나 기우제 등에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이 논문은 민요 철화운룡문호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규명해 보고자한 시도이다. 양식의 성립부터 변화 과정을 통해 제작 양상을 파악하였고, 관요백자와의 비교 및 조사 성과 등을 종합해 제작시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해 보았다. 전세품과 소비지의 성격을 분석해 민요 철화운룡문호의 용도를 추정해 보았다. 앞으로 제작지와 소비지의 조사 성과가 더 축적된다면, 민요 철화운룡문호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분석과 용도에 대한 진전된 해석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한다. 이 논문을 바탕으로 민요백자의 제작 양상과 관요백자와의 관계, 민요백자의 소비 권역과 소비 경향 등으로 영역을 넓혀 연구해 볼 예정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bout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民窯 鐵畵雲龍文壺) of Joseon Dynasty, and analysis on its production and purpose.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was manufactured and used only in certain period of late 17th century to early 18th century throughout Joseon Dynasty. Only one kiln site was inspected, and consumption sites were focused only in Hanyang(漢陽) and Gyeonggi-do(京畿道); therefore, it surely shows a completely different manufacture and consumption aspects compared to those of other non state-run porcelains(民窯白磁). First of all, considering that non state-run porcelain is trans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royal porcelain(官窯白磁),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is classified as those that are similar to royal porcelain-type jars and those that are not (non state-run porcelain-type jars). Non state-run porcelains are then compared with royal porcelain jars to represent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Royal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which influenced achievement in style of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were developed from Sindaeri royal porcelain jars(1665-1676). One of the characteristics is that a dragon and cloud motif of Sindaeri presents less sense of volume in dragon’s face, and depicts a motif of dragon with minimum lines. Although, this kind of Sindaeri style of a dragon came from Yusari(1655-1664) royal porcelain jars which was produced right before, they were examined together with a supporting pattern that Sindaeri style appoints it is similar to non state-run porcelain jars. In reference to a mural by court painter and cloud and dragon shapes from inner case of the jade investiture book, along with the changes in royal porcelain jars,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began approximately from early 1660’s when royal porcelain-type jars changed the style to non state-run porcelain-type jars.
    Different from the royal white porcelains, all of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were made as ipho(立壺, a tall jar that has straight and long lip opening, and its round and wide body narrows down towards bottom) and wonho(圓壺, a jar with a round shape body), and embedded a pattern of cloud and dragon on a dif ferent form of jars. However, a pattern of cloud and dragon was bigger than in other jars, and they had dif ferent properties. Furthermore, only one manufacturing place was found that they seem to be produced by orders. Bas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and royal white porcelain,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is analyzed by royal and non state-run style with dragon and cloud; non state-run-style can be re-analyzed by classifying into non state-run-style 1, non state-run-style 2, non state-run-style 3, based on the degree of pattern elimination. It is prospected that a royal-style of the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was produced earlier, and then non state-run-style was then produced; several classes of the non state-run-style seem to be produced almost at the same time.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transformed rapidly in a short time compared to royal white porcelains.
    A detail time period of when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is manufactured is unknown; there are no related references on non state-run porcelain jars, and no chronological relics were excavated in kiln site, therefore, it is hard to specify the operating period of the site. In order to find out manufacturing period of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it need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n state-run porcelain jars and royal white porcelain jars.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ere produced under the influence of royal white porcelain jars, and if they were adopted together, changes in royal white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could directly affect non state-run porcelain jars. A pattern of dragon and cloud in royal white porcelain jars was a substitute of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which was manufactured from the 17th to early 18th century. However, based on the summarization and analysis of related documents, research, and changes of dragon and cloud pattern of royal court dragon, characteristics in royal white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of early and late 17th century were transformed; in early 17th century, if they were manufactured as substitutes of blue and white porcelain, they were then used differently in late 17th century. For the ceremonies that blue jar with dragon and cloud must had been used had blue and white porcelain, and for congratulatory or funeral ceremonies had red and white porcelain. Therefore, royal white porcelain jars were classified as blue and white porcelain and red and white porcelain, and manufactured based on their uses.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were used for the same purpose with royal white porcelain jars, therefore, they were manufactured until early 18th century when royal white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were produced.
    Distribution of consumption site, accompanying excavated articles, and excavation sites were also examined in order to find out the use of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It was found that a consumption site of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as concentrated and distributed around wall of Hanyang, excluding Namhansanseong temporary palace and Gyeonggi-do Yangju Hoeamsa Temple Site, and that royal and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ere examined together. This provides a basis for the same use of non state-run porcelain jars to royal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rather than they were used ordinarily. Royal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royal porcelain in the late 17th century were used in congratulatory and funeral ceremonies; excavation sites of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ere found near private property and religious rite of the King such as Sujingung(壽進宮), Myeongryegung(明禮宮), and Yongdonggung(龍洞宮).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these were used as sacrifice offerings for the people or in Gungbang(宮房). Furthermore, these could be used for the Buddhist ceremony or the ritual for rain, based on the inheritance artifacts and documents.
    This paper analyzes in detail the reality of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The aspect of its production was examined through formation of style and transformation process, and the manufacturing period was configured thoroughly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royal white porcelains and the research. Also, the use of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was assumed by studying characteristics of inheritance artifacts and consumption sites. If research of the manufacturing and consumption sites are accrued even more, it would be possible to have numerous positive research on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as well as progressive research on its consumption site. Further research will be proposed based on the aspects of non state-run white porcelain production, its relationship with royal white porcelain, and consumption area and inclination of non state-run white porcel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