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馬韓ㆍ百濟圈 鐵刀의 變遷 (The temporal change of the Iron Swords from the Mahan and Baekje A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09.10
36P 미리보기
馬韓ㆍ百濟圈 鐵刀의 變遷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33권 / 71 ~ 106페이지
    · 저자명 : 김신혜

    초록

    본고는 마한,백제권의 철도를 형식분류하여 변천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마한·백제권의 환두도는 관부형태가 무관→편관→양관으로 변화하고 목병도는 편관→양관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경부폭이 함께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명목형 속성인 관부형태와 연속형 속성인 경부비율을 결합하여 형식분류를 하였다. 이러한 형식분류에 대해 판별분석뿐 아니라 같은 무기류인 철모,철촉과의 공반관계를 통해 검토해보았다.
    마한,백제권 철도의 변천은 크게 4분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Ⅰ기는 3세기 전반~3세기 중엽으로 주로 아산만권의 주구토광묘에서 무관의 장식이 없는 소환두도만 출토된다. Ⅱ기는 3세기 후반~4세기 전반으로 아산만권과 서해안 지역의 분구묘계열 목관묘에서 편관의 환두중도가 주로 제작되며 편관의 목병도가 초현한다. Ⅲ기는 4세기 후반~5세기 전반으로 경기지역과 아산만권의 주구가 없는 순수 토광(목관)묘에서 환두대도와 목병중ㆍ소도가 주로 출토되며 석곽,석실묘에서도 출토되기 시작한다. 또한 양관이 등장하는 시기로 경부가 세경화되며 장식환두도가 등장한다. Ⅳ기는 5세기 후반~6세기대로 서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석곽묘와 석실묘에서 양관의 환두도와 목병도가 출토되며 일부 영산강유역에서도 확인된다. 환두도는 이전 시기와 마찬가지로 주로 대도로 제작되며 장식이 더욱 발달하고 목병도의 제작이 증가한다. 따라서 마한,백제권에서 환두도와 목병도는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동일한 발전양상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a new typology of iron swords from the Mahan and Baekje area, and sheds a new light on their spatial and chronological variations. The shape of ricasso in the ring-pommelled swords of the Mahan and Baekje area changed from unbevelled type to one-side bevelled type, and finally to two-side bevelled type. The wood handle swords changed from one-side bevelled type to two-side bevelled type along with a change in the hilt width. The current typology is considered most reasonable judging from the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and the association with other archaeological materials such as iron spearheads and arrowheads.
    The temporal change of the iron swords from the Mahan and Baekje area is divided into four stages. In Stage Ⅰ (from the early phase of the third century to the middle and late phases of the third century A.D.), the ring-pommelled swords are mostly found from pit burial with earthern ditch in the Asan Bay area. The swords during this period were not decorated in the pommel and have unbevelled ricasso . In Stage Ⅱ (from the late third to the early fourth century A.D.), the ring-pommelled swords and wood handle swords started to appear from wood coffin of so-called Bungumyo in the Asan Bay and the west coast. The ring-pommelled swords from this period are mostly mid-sized with narrow hilt. Ricasso with one-side bevelled type first appears in this period. In Stage Ⅲ (from the late fouth to the early fifth century A.D.), ring-pommelled swords and wood handle swords are mostly excavated from pit burials of the Gyeonggi and the Asan Bay area. Some of them appear in the stone-outer-coffin and stone chamber tombs. Hilt beame much narrower, and decorative swords with ring pommel appears as well as ricasso with two-side bevelled type. In Stage Ⅳ (from the late fifth to the sixth century A.D.), the ring-pommelled and wood handle swords are excavated mostly from the stone-outer-coffin and stone chamber tombs in the west coast as well as in parts of the Yeongsan river area. The ring-pommelled swords only have two-sided bevelled ricasso and wood handle swords also have two-side bevelled ricasso with much narrower hilt. The ring-pommelled swords are mostly large-sized and become much decorative. The wood handle swords increased in number.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ypology of ring-pommelled and wood hand swords from the Mahan and Baekje area, this study suggests that swords of these two kinds may have changed in relation to each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