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ㆍ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수제천의 감상 지도내용 연구 (A Study on Teaching Contents for Appreciation of Sujecheon Reflect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3.02
34P 미리보기
역사ㆍ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수제천의 감상 지도내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연구 / 17권 / 1호 / 199 ~ 232페이지
    · 저자명 : 한영숙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수제천 지도내용을 검토하면서 수록 양상을 파악하고, 역사ㆍ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지도내용을 구성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제천은 음악교과서에 모두 감상곡으로 수록되었으며, 음악적 특징에 비중을 두고 있는 반면에 역사ㆍ문화적 배경과 관련된 지도내용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수제천의 감상은 역사ㆍ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악곡의 명칭 탐구, 형성과 변천 및 쓰임새의 이해, 문화적 가치 인식 등을 지도내용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정읍이란 곡명은 고려 시대에서 대한제국에 이르기까지 지속해서 사용하였다. 수제천이 주된 곡명으로 명명된 것은 1920년대부터이며, 정읍은 속명으로 같이 기록하였다. 1930년대에는 수제천을 대표적인 곡명으로 기록하기 시작하였고, 그 이후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정읍은 백제에서부터 유래되었으며, 형성된 시기는 고려 시대에 이 음악을 토대로 무고 반주에 적합한 곡으로 만들어졌다. 변천 과정은 조선 전기에 무고의 반주 음악으로, 조선 후기에는 정재의 반주와 궁중 의례에서 기악곡으로 연주되었다. 근대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제천은 대부분 기악곡으로 연주되고 있다. 악곡의 쓰임새에서 정읍은 고려에서 조선 후기까지 정재의 반주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처용무가 시작하는 앞부분에서 수제천이 연주된다. 기악곡으로 순조 29년부터 궁중의 의례에서 의식의 절차에 수반되어 사용되기 시작했다. 수제천은 근대부터 독립적인 기악곡으로 연주되기 시작했으며, 그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주 형태는 지속해서 이어져 오고 있다.
    수제천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 그 시대의 특성에 맞게 변화가 이루어지고 발전하면서 예술적인 가치가 특출한 음악으로 거듭나게 되었고, 오랜 세월 동안 단절됨이 없이 지금까지 지속해서 연주되고 있는 문화적 가치가 높은 음악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ewed how the teaching contents of Sujecheon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were constructed and aimed to design teaching contents reflecting its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ujecheon is listed as a musical piece for appreciation in all music textbooks with an emphasis on its musi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eaching contents related to its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are rarely found.
    Exploring the title of the musical piece, understanding its formation, change, and usage, and recognizing cultural values are selected as teaching content for appreciating Sujecheon, reflect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The title, Jeongeup, was used continuously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Korean Empire. It was from the 1920s that Sujecheon was used as a main title, and Jeongeup was recorded as a common name as well. From the 1930s, Sujecheon began to be recorded as a representative title and has been used ever since.
    Jeongeup originated from Baekje and, based on that music, was made suitable for the mugo accompaniment during the Goryeo Dynasty. As for the process of change, it was played as accompaniment music for mug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played as accompaniment for jeongjae and instrumental music for court ceremonies in the late Joseon period. From modern times to the present, Sujecheon is mostly played as instrumental music. As for the usage, Jeongeup was used as an accompaniment for jeongjae from Goryeo to the late Joseon Dynasty, and now Sujecheon is played at the beginning of Cheoyongmu. From the 29th year of King Sunjo’s reign, it began to be used in the procedure of royal court ceremonies as instrumental music. Sujecheon began to be independently played as an instrumental piece in modern times, and since then, the form of performance has continued to the present.
    Sujecheon was reborn as music with outstanding artistic merit as changes and developments were made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in the changes of the times. It is a piece of music with high cultural value that has been continuously played without interruption for a long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