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사천왕도(四天王圖)의 제작과 봉안 양상 (Lokapala Paintings Produced in the Late Joseon and Their Consecrati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6.12
34P 미리보기
조선후기 사천왕도(四天王圖)의 제작과 봉안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8호 / 49 ~ 82페이지
    · 저자명 : 심영신

    초록

    이 글은 조선시대 18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조성된 12건의 사천왕도의 제작과 봉안양상을 고찰한다. 1758년에 그려진 <고운사 사천왕도>는 현재 전하는 독존의 사천왕도 가운데 가장 올라가는 작품이다. 독존의 사천왕도는 사천왕 네 구가 네 폭의 화면에 그려져 천왕문에 봉안되는데 기존의 사천왕조각을 대체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그림이 조각을 대신하게 된 데에는 종교적인 이유와 함께 경제적인 배경이 작용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천왕문에 봉안했던 사천왕도는 의식이 행해질 때 야외로 옮겨 의식에도 쓰였던 것으로 짐작되므로 종교적인 기능상의 변화가 있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불사후원의 주체가 바뀐 것 또한 고려할 사항으로 보인다. 17세기 이후 왕실의 불사 후원이 현격히 감소하고, 양란 이후 사찰에 대한 경제적인 핍박이 심해지자 불교계에서는 승려의 개인재산과 사찰계, 그리고 일반민을 대상으로 한 보시를 통해 불사를 모색하게 된다. 사찰이 불화 조성의 주체가 되면서 왕실이나 양반층에서 후원했던 기복을 위한 불화와는 달리 사찰의 면모를 갖추는데 중요한 주제의 불화를 조성하게 되고 사천왕도는 그러한 범주에서 제작이 시작된 것으로 파악된다.
    사찰 전각에도 군도 형식에서 독립한 독존의 사천왕도가 후불탱 좌우에 봉안된다. 천왕문에 봉안된 사천왕도와는 달리 두 구를 한 폭에 그려 좌우 두 폭이 일조를 이루는 형식이다. 천왕문 사천왕도가 독립적인 예경의 대상으로 조성된 데 비해 전각 봉안 사천왕도는 권속의 의미로 봉안된 것으로 보인다. 종교적인 기능이나 용도상의 변화에 의한 독립이 아니라 불전의 물리적인 변화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이는 까닭이다. 즉 전각 내부에서 의식을 거행하게 되자 불상과 신도의 위치가 가까워져 불상에 대한 외경심을 높이기 위해 불단의 높이를 높이게 된다. 이에 따라 불화를 걸어야 할 후불벽의 높이가 줄어들게 되고 불화는 자연스럽게 가로가 길어지게 된다. 결국 화면의 좌우 양끝에 위치하는 사천왕을 아예 독립시켜 배치하는 방식으로 나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문루에 봉안한 사천왕도는 해남 대흥사 침계루에 유일하게 남아 있다. 한 폭에 두 구를 함께 그렸으므로 전각 봉안 사천왕도와 유사한 구성이다. 그러나 두 구를 좌우로 나란히 배치하여 네 구를 완전하게 표현하고 있고, 두 폭이 서로 마주보는 배치인 점에서는 천왕문 봉안 사천왕도와 유사한 형식이라 할 수 있다. 이 사천왕도는 20세기 초반에 그려졌기 때문에 사천왕도를 문루에 봉안했던 이전의 전통을 이어 그림만 새로 조성한 것인지 문루에 봉안하는 형식 자체가 20세기 초반에 시작되었는지는 앞으로 밝혀져야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nsiders 12 sets of Lokapala paintings produced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 Korea. <Gounsa Sacheonwang Paintings> produced in 1758 are the earliest work of Lokapala. paintigns consecrated at Lokapala gates, Buddha halls, or pavilions in Buddhist monasteries. 1 set of Lokapala paintings at Cheonwang-mun is composed of 4 canvases, while one at Buddha halls or pavilions is composed of 2 canvases, one of which has two Lokapalas.
    The reason why Lokapala represented in paintings instead of sculpture is probably because of economic problems and religious use. Royal households of Joseon less patronized on Buddhism, as Neo-confusionism became deeply rooted as the national ideology from the 17th century. Therefore monks themselves patronized paintings appropriate for the religious use of monasteries. The themes were different from paintings patronized by the royal households for their well-being. Lokapala paintings at Cheonwang-mun seemed to be moved to the courtyard to be used as protectors of the ritual.
    Lokapala paintings at Buddha halls and pavilions did not have independent position as the object of worship. Instead they kept service as retinue of Buddhas in the paintings on altar. Height of altar at Buddha hall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has decreased and width of Buddhist paintings hung on the altar has increased. The architectural change probably made Lokapala at the four corners in the main Buddhist paintings independent from the paintings.
    Only one Lokapala painting is extend today at pavilion of Daeheungsa in Haenam. Because the painting was made in the early 20th century we do not know yet the way Lokapala paintings consecrates at pavilion was new or old tradition, which would be the next theme to be 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