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移住, 定着, 同化 ― 17C~20C 四川 客家의 軌跡 ― (Migration, Settlement, Assimilation : Searching for the trace of Hakka in Sichuan during 17th~20th centu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07.12
28P 미리보기
移住, 定着, 同化 ― 17C~20C 四川 客家의 軌跡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사학연구 / 101호 / 225 ~ 252페이지
    · 저자명 : 이준갑

    초록

    본고는 객가가 사천에서 17세기에서 20세기라는 장기간에 걸쳐 이주, 정착하면서 적응해 가는 과정을 同化라는 시각에서 접근해 본 연구이다. 명말청초 屠蜀이라할 정도로 심각하게 인적, 물적 피해를 당한 사천은 피난 갔던 토착인과 각지의 객민들이 유입하면서 전란의 피폐함에서 서서히 벗어났다. 객가가 많이 포함된 광동, 복건, 강서 객민들은 가장 뒤늦게 유입하여 사천북부의 산간지대나 양자강유역, 沱江유역, 성도평원의 외곽지대를 차지하였다.
    객가들은 처한 환경에 따라 정착하는 방식을 달리하였다. 대부분의 객가들은 고구마, 옥수수를 재배하여 식량작물을 확대하고, 사탕수수와 제당산업 등의 신흥산업을 발전시키면서 정착하였다. 상품작물의 재배와 유통은 지역의 경제구조를 고도화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런 방식은 沱江流域에서 전형적으로 확인되며 다른 지역에서도 흔히 나타난다. 한편으로 高山峽谷로 유입하여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閉關自守型 정착형태나, 객가가 촌락주민의 다수를 차지하며 사회적 영향력을 극대화하는 정착형태도 나타났다.
    이런 과정 속에서 객가들은 同化하기 시작하였다. 다만 객가의 同化는 삶의 전 영역에서 신속하게 진행된 것은 아니다. 客家 스스로 자신의 문화를 지켜온 역사적인 경험을 축적하였으며, 사천에서도 그런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이다. 객가의 동화를 선도한 계층은 객가 출신의 紳士層이었다. 이들은 유교교양을 체득하였을 뿐만 아니라 청조의 지배에 동조하고 그것을 체현하는 관료가 되려고 애쓴 자들이었다. 따라서 객가 출신의 紳士는 가치관이나 행동방식에서 同化의 주역이 될 수 있었다. 객가 신사층의 가치관이 객가사회에 퍼져나갔다. 이런 객가 내부의 여건과 사천사회와 주민이라는 외부의 환경으로 인해 객가는 점차 사천주민과 가치관을 공유하게 되었다. 가치관의 공유는 同化를 촉진하였다. 초기 단계의 동화는 청대부터 현상적, 물질적 분야인 객가의 촌락, 주거용 건물, 사당과 회관의 건축과 활용 면에서 나타났다. 반면 정신적, 문화적 방면의 同化는 민국연간 이후 비로소 본격화하였다. 특히 요즘에는 객가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객가방언도 알아듣지 못하는 객가조차 적지 않게 나타났다. 물론 이런 同化가 사천주민과의 완전한 동화로 귀결될지 아니면 새로운 정체성의 창조로 이어질지 판단하는 일은 오랜 시간이 흐른 후에나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 분명히 지적할 수 있는 사실은 객가가 주어진 환경을 초월하여 고정불변하는 정체성을 유지하는 집단은 결코 아니라는 점이다.

    영어초록

    Migration, Settlement, Assimilation : Searching for the trace of Hakka in Sichuan during 17th~20th centuryLee, Jungab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trace of Hakka in Sichuan during 17th~20th century in view of assimilation. In general, most of the scholars agree the opinion that Hakka have their own customs, for example dialect, funeral ritual, wedding ceremony etc and they are not changed wherever Hakka live in. I also accept that Hakka have their unique customs. But I don't agree the viewpoint that Hakka's customs are constant, because there are no persons or groups who can live a life without neighbour's influence during two or three centuries. In this study I analysis the life of Hakka in Sichuan from 17th century to 20th century who migrated from Guangdong, Fujian, Jiangxi provinces. As a result, I find that Hakka in Sichuan are changing their customs, especially their dialec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mselves. They cannot choose but change their dialect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ir new generation speaking Huguang dialect -spoken by most of the Sichuan people- in daily life and with neighbour. At present there are some counties where about thirty percents of Hakka can not speak their dialect at all. This is the most important mark of Hakka's assimilation.In addition to it, the structure of Hakka's village, house, ancestor temple, assembly hall become similar to that of their neighbor, Sichuan people. The assimilation of Hakka in Sichuan began to Qing period and the leader of assimilation was the Hakka gentry, who were eager to be Qing government offic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