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분분석을 이용한 강경천 하류지역의 고환경 복원 (Pala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of the Lower Reaches of Ganggyeongcheon Using Pollen Analysi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2.07
32P 미리보기
화분분석을 이용한 강경천 하류지역의 고환경 복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14호 / 63 ~ 94페이지
    · 저자명 : 문영롱, 이정범

    초록

    본 연구는 충남 논산시에 위치한 강경천 하류 충적평야 퇴적층인 고고학 발굴용 트렌치에서 화분분석을 행하였다. 화분분석을 행한 퇴적층은 두께 4.19m 층준을 가지며 화분분석 결과와 함께 발굴된 유물 및 일대의 유적분포를 통해 고환경 복원을 시도하였다. 화분대 형성시기는 한반도 서해안의 화분분석 선행연구와 본 지역에서의 화분분석 결과와의대비를 통해 추정하였다.
    화분대Ⅰ시기(약 6,000~6,500년 BP)는 목본화분이 우점하며 특히, 오리나무 屬(Alnus)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참나무 屬(Quercus)과 밤나무/모밀잣밤나무 屬(Castanea/Castanopsis)이 증가하였다. 연구지역 일대는 저습지가 넓은 상태였으며, 이시기는 온난, 습윤한 기후 환경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분대 Ⅱ시기(약 6,000~3,500년 BP)는 오리나무 屬(Alnus)이 여전히 우세하지만, 화분 다이아그램의 누적그래프에서 볼 때 포자(Spore)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크게 우점하였다. 목본화분 가운데에는 참나무 屬(Quercus)이 급증하면서 기존의 습지에 주로 서식하던오리나무숲이 점차 사라지고 이와 함께 수생식물도 감소하여 저습지가 점차 육화되어 감을알 수 있다. 화분대 Ⅰ과 Ⅱ는 본 연구 발굴 결과 신석기시대와 대비되지만, 강경천 하류부 기타 지역의 고고학 유적 분포에서는 이 시기에 해당하는 당시 인간활동의 흔적을 확인하기 어렵다.
    화분대 Ⅲ시기(약 3,500~2,000년 BP)에도 참나무 屬(Quercus)은 여전히 우점하지만,오리나무 屬(Alnus)은 급감하고, 소나무 屬(Pinus)이 급증하는 대조적인 패턴이 나타난다.
    화분대 Ⅲ시기 전기는 청동기시대에 대비되지만, 오리나무 屬(Alnus)의 높은 출현율로 볼때 연구지역 일대는 여전히 습지 면적이 넓었고 따라서 토지이용이 활발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화분대 Ⅲ시기 후기에는 초기철기/원삼국시대에 속하며 오리나무 숲이 거의 사라지고, 반면 산지의 소나무 숲이 확대되었으며 강경천 하류 충적평야를 중심으로 벼 경작이확대되었다. 유적의 분포도 확대되어 하천 충적평야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였을 것이다.
    화분 빈약층(약 2,000~0년 BP)은 실트와 모래 중심의 퇴적상으로서 유기물 함량이 낮아서 화분 절대량이 매우 적다. 대부분 기간이 역사시대를 포함하고, 연구지역을 벗어난 상류부 충적평야에서는 인간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인위적으로훼손된 숲이나 구릉지 식생 피복이 불량해지고 다량의 토사가 지류천이나 상류로부터 운반되어 과다한 퇴적물이 공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즉 분석지점 트렌치의 퇴적속도가 빨라지면서 강경천 하류지역에서 유적의 분포 밀도가 이전시기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현재 경작층에서의 화분조성은 소나무 屬(Pinus)이 크게 우점하고, 참나무 屬(Quercus)은급감하며, 오리나무 屬(Alnus)은 극히 낮은 출현율을 보인다. 초본화분/목본화분 비율이 1.0을넘어 초본화분이 우세하며, 그 가운데 벼 科(Gramineae)가 우점하여 활발한 농경활동을 반영한다. 또한 문화지표식물이 전 층준에서 꾸준히 나타나 현재 논산지역의 식생환경을 잘반영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palaeo-environment of the lower reaches of Ganggyeongcheon, in Nonsan-si,Chungcheongnam-do, is reconstructed by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archaeological sites with pollen analysis. The formative ages of alluviums are estimated in this analysis based on correlations with previous works undertaken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and the study area.
    Pollen zone I (approximately 6,500 ~ 6,000 yr. BP) is characterized by the dominance of AP,due to the appearance of Alnus, Quercus and Castanea/Castanopsis which preferred warmer climates.
    The area appears to have been under swamp conditions at the time. Pollen zone II (approximately 6,000~ 3,500 yr. BP) shows the rapid increase of Quercus with the dominance of Alnus, which indicates swamp conditions that came to be exposed to open air, and that the appearance of aquatic plants ceased.
    Pollen zones I and II can be seen to correlate to the Neolithic Age but human activities cannot be traced,as archaeological evidence was found in the area. Pollen zone III (approximately 3,500 ~ 2,000 yr. BP)is dominated by Quercus and shows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Alnus and Pinus, respectively.
    In the early phase of Zone III, which correlates to the Bronze Age, the area was still dominated by swamp conditions and land use was not active. The late phase of Zone III, which correlates to the early Iron Age/Proto-Three Kingdoms Period, shows the rapid decrease of Alnus. It can also be suggested that agricultural activities took place around the area based on the rapid increase of both Pinus and Gramineae,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human impact indicators. Moreover, the archaeological sites around the area are widespread, reflecting the active use of the alluvial plains.
    The pollen barren zone (approximately 2,000 ~ 0 yr. BP), which correlates to recent times,includes the historic period. It has limited absolute amounts of pollen due to poor organic contents, and this indicates sedimentary facies dominated by silt and sand fractions. This may suggest that land use was interrupted by floods or huge amounts of sediment supplies which came from the nearby hills which had poor vegetation cover.
    The results of the pollen analysis from the recently cultivated layers indicate the dominance of Pinus, and human impact indicators appear steadily through the whole horizon. These results well reflect the recent vegetation environments of the Nonsan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야외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