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년대 동북아시아의 사회주의 연동과 조선 신문화운동: 천도교 잡지 개벽을 중심으로 (Socialist Linkages and Choseon New Culture Movement of Northeast Asia in the 1920s: Focus on Gaebyeok(開闢) of the Cheondogyo(天道敎) Magazin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9.12
29P 미리보기
1920년대 동북아시아의 사회주의 연동과 조선 신문화운동: 천도교 잡지 개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북아연구 / 34권 / 2호 / 175 ~ 203페이지
    · 저자명 : 정혜정

    초록

    1920년대 동북아시아의 정세는 제국주의 대 무산자계급·피압박민족·피압박 국가라는 대립구도 하에 사회주의가 서로 연동되어 계급해방과 민족해방을 결합시켜나가는추세에 있었다. 조선의 사회주의 수용은 191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지만 공식적으로확인되는 문건은 1920년 천도교 잡지 개벽에서 비롯되었다. 개벽사의 중국특파원역할을 했던 이동곡은 중국의 신문화운동과 사회혁명, 그리고 소비에트 러시아를 국내에 소개했고, 김기전과 이돈화는 조선적 처지와 상황에 맞게 중국 사회혁명과 러시아 사회주의를 변용시켜나갔다. 농민이 전체 인구의 90%를 차지하고, 노동자가 소수인 상황에서 조선의 계급운동은 농민들의 각성을 촉구하며 조선청년총동맹을 운동의주체로 삼는 노농운동을 주창했던 것이다. 그리고 계급의식의 원천을 갑오동학혁명에서 찾았다. 계급의식이란 처음부터 혁명적 수단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인내천주의로 들어가 창조정신과 상호연대의 사상으로 형성되는 보편의식에 기초함을 강조했다. 또한 무산청년동맹인 조선청년총동맹을 조선의 운동주체로 삼았고, ‘사람성 무궁’에 뿌리박는 사상적 단결과 전체 인민의 의사에 의한 문화주의정치를 지향하였다.
    그리하여 최후의 혁명은 조선에서 나올 것이라 했고, 그 혁명의 원리는 만인이 공명할 ‘개벽의 대이상(大理想)’에 있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In the 1920s, the situation in Northeast Asia tended to combine class liberation and national liberation by linking socialism under the confrontation of capital imperialism vs. the proletarian class, oppressed people, and oppressed nations.
    Choseon's acceptance of socialism began in the late 1910s, but the officially confirmed document originated in the 1920s Cheondogyo magazine Gaebyeok. Lee Dong-gok(李東谷), who acted as a correspondent for Gaebyeok, introduced China's new-culture movement and social revolution to Korea. Kim Ki-jeon(金起田) and Lee Don-hwa(李敦化) adapted the Chinese social revolution and Russian socialism to suit the Choseon status and situation. With farmers accounting for 90% of the population and a small number of workers, the class movement in Chosun called for awakening of farmers. In addition, it developed a peasant movement that made the Choseon ‘Youth Union’ a mainstream of movement. Also, Marx's "history of class struggle" was called "history of human liberation." And "Workers of all nations unite!" changed to "Proletarian of all nations unite!" It was argued that the source of class consciousness stems from the Donghak(東學) revolution. Class consciousness was not based on revolutionary means from the outset, but on the basis of universal consciousness first entering into Innaecheon thought and forming into a spirit of creation and mutual solidarity. The subject of movement of the Choseon liberation was unity of the Choseon Youth Union, the proletarian Youth, and the roots of the "Infinity of human nature" and the culturalist politics of the whole people. Thus, the last revolution would come out of Choseon. And the principle of the revolution lies in the "great ideal of the Gaebyeok" that everyone will reson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