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리천전투와 고려태조 왕건의 전략전술 (The Battle of Ilichun and Strategies and Tactics of Founder-king Wang Kun of Koryo)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1.03
38P 미리보기
일리천전투와 고려태조 왕건의 전략전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61호 / 337 ~ 374페이지
    · 저자명 : 신성재

    초록

    일리천전투는 고려와 후백제, 신라간의 전쟁을 종식시킨 후삼국시대 최후의 전투였다. 936년 일선군에서 일리천을 사이에 두고 고려군과 후백제군이 벌인 이 전투는 거의 일방적이다 싶을 정도로 고려군의 완승으로 끝났다. 고려가 완승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후백제를 압도하던 고려군의 규모에서 비롯한다. 무려 87,500명의 병력이 동원되었고, 그 병력은 3군체제하 마군을 주력으로 보군이 질서정연하게 편성되었다. 종래 이 군사의 수치에 대해 부정하는 견해가 있었지만, 전략 전술적 차원에서 살펴 보건데 사실로 보여진다.
    왕건이 대규모의 정벌군을 편성한 것은 농사철에 농민과 군사의 동원이 불가피하였던 현실에서 최대한 많은 수의 병력을 동원하여 전투를 신속히 종결짓고자 하였기 때문이었다. 결전과 속전속결은 그러한 목적에서 수립된 전략이었고, 이는 후삼국 전쟁사상 전례가 없던 최대 규모의 병력이 동원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속전속결로 승리를 거두어야 했으므로 기동력과 전투력이 높은 마군 중심의 전술적 편성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결전과 속전속결전략에 입각하여 왕건은 일선군으로의 우회기동전술을 구사하였다. 가급적 단기간내 결정적인 전투로 전쟁을 종식시켜야 했으므로 천안부에 선발대를 파견하여 후백제군의 분산을 유도하는 한편 일선군에는 정벌군을 집중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속전속결 전략을 실현하기 위해 천안부와 일선군 현지를 연결하는 병참지원체계를 구축하였다.
    왕건이 대군을 이끌고 출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단시간 내 일선군에 도착하여 결진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병력의 분산 및 집중 전술과 현지에서의 병참 지원능력의 확보가 커다란 조력이 되었던 것이다. 결전과 속전속결 전략을 적용하여 왕건은 후백제군을 상대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후삼국 전쟁을 조기에 종식시키는 결과를 달성하였다.

    영어초록

    The Battle of Ilichun(一利川) was the ultimate confront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that ended decades of warfare between Koryo(高麗), Later Baekjae(後百濟) and Shilla(新羅). The battle took place in 936 at the Ilichun river in Ilsun county(一善郡) where two camps of Koryo and Baekjae engaged, and gave overwhelming victory to Wang Kun and his troops. The background for Koryo's military triumph could well be attributed to the sheer size of its army compared to that of Baekjae. 87,500 strong was mobilized and well-structured under the triple force system, with main emphasis on the cavalry rather than infantry. Some previous views were pessimistic to the estimates of Koryo force's size, but it seems to be accurate from the strategic and tactical perspectives.
    The reason for Wang Kun(王建) to organize a massive army for the conquest of Baekjae was to rapidly terminate the battle by gathering maximum military force possible, so as to avoid the loss of manpower in the farming season. decisive battle(決戰) and blitzkrieg(速戰速決) strategy was generated out of such purpose, which resulted in an unprecedented concentration of armed men during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In order to deliver victory through an intensive surprise attack, cavalry-oriented tactics were employed to enhance mobility and combat strength.
    Based on decisive battle and blitzkrieg strategies, Wang Kun decided to implement the tactic of roundabout movement(迂廻機動) to Ilsun county. In his attempt to cease warfare in the shortest time with a single decisive battle, Wang Kun dispatched advance force to Chonan district(天安府) to scatter Baekjae force while concentrating his main army at Ilsun county. He also established impedimenta system between Chonan and Ilsun to materialize such strategies.
    The main backgrounds for Wang Kun to arrive at Ilsun county in a short time and execute the final battle of the era, despite his campaign with a grand army, were his flexible tactics of dispersing and concentrating the troops and securing supply line locally. Through such strategies, Wang Kun was able to achieve resistless victory against Baekjae army, thereby accomplishing early eradication of overall wars of the Later Three Kingdo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