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원주의적 사법을 통한 이행기 정의와 초국가적 인권의 실현 - 르완다의 제노사이드와 가챠챠(Gacaca) 법원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Transitional Justice and Transnational Human Rights through Pluralistic Justice - Focused on the Gacaca Courts in Post-Genocide Rwanda -)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2.06
46P 미리보기
다원주의적 사법을 통한 이행기 정의와 초국가적 인권의 실현 - 르완다의 제노사이드와 가챠챠(Gacaca) 법원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고려법학 / 65호 / 139 ~ 184페이지
    · 저자명 : 정채연

    초록

    제노사이드와 같은 중대한 인권침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사법 모델이 적합한지에 대한 물음은 해당 사안이 문화, 사회, 정치의 복잡한 맥락 속에 깊이 관련되어 있을 때, 더욱 쉽게 답하기 어려운 문제가 된다. 이 논문에서는 1994년 르완다의 제노사이드에 대한 국제적⋅초국가적, 국내적, 지역적 차원의 대응을 살펴보면서, 초국가적 인권과 이행기 정의라는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사법체계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해보도록 한다. 이 때 특히 법학, 역사학, 인류학, 심리학 내지 정신분석학 간의 학제 간 연구가 주목된다.
    르완다의 제노사이드에 대한 다수의 인류학적 비평들은 1994년의 단일한 사건에 논의가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보다 중층적인 역사⋅정치적 맥락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공통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1994년 르완다 제노사이드에 이르기까지의 후투와 투치의 민족 갈등의 역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러한 반목이 식민지시대와 각 민족의 정치엘리트집단들 사이에 벌어진 이데올로기적 갈등의 산물임을 이해할 수 있다.
    ICTR과 르완다의 국내사법체계는 제노사이드를 불러일으킨 인종적 갈등을 종식시켜 끊임없는 복수와 폭력의 악순환을 끊고 새로운 르완다의 정체성을 형성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 둘 모두는 분쟁해결절차로서 이론적⋅실천적 한계를 가진다.
    ICTR과 르완다 국내사법체계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면서 총체적 차원에서 제노사이드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국가정체성의 확립이라는 과제를 실질적으로 수행해내기 위해, 르완다 정부는 르완다 전통사회에서부터 분쟁해결의 기능을 담당해 온 가챠차의 현대적 재구성을 통해 화해를 지향하는 공동체 사법으로의 길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가챠챠 법원의 정당성 및 적법성은 대체적 분쟁해결절차가 가지는 의의, 이행기 정의와 과거청산의 역사성, 진실의 발견을 통한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라는 세 가지 지평을 가진다.
    르완다 제노사이드와 같은 대규모 인권침해 이후, 이행기 정의는 인종간⋅민족간 폭력의 악순환을 종결짓고, 새로운 국가정체성을 모색하고, 민주적 법치국가로의 이행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정의와 화해 사이의 조화”로 요약될 수 있겠다. 정의와 화해를 화해불가능하거나 양립할 수 없는 대척점에 서있는 가치가 아닌 동시적인 과제로 바라보기 위해, 이행기 정의는 바로 정의와 화해가 지양되는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행기 정의와 초국가적 인권이 다원주의적 사법 모델을 통해 – 예컨대 르완다의 경우, ICTR, 르완다 국내사법체계, 가챠챠 법원의 다원적 사법 구성을 통해 – 실현되도록 구상해볼 수 있을 것이다. 국제형사사법과 국내형사사법, 그리고 지역사회의 공동체 사법은 관할권에 있어 그 효력 상의 우열이 존재할 수는 있으나, 법형성의 차원에 있어서는 수평적이고 병렬적인 구조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행기 정의를 실현하는 제도들은 다양한 법질서들의 공존을 다루는 법다원주의에 대한 인식을 요청한다.

    영어초록

    The question regarding the appropriate mode of justice systems in massive human rights tragedies is difficult when the violation is deeply related in complex context of culture, ethnicity, and politics. In the case of Rwandan genocide, the question becomes more difficult because of historical background of colonization. Considering that the social structure, which influenced Rwandan genocide, was established by the European colonist powers, it is hard to determine who should bear the responsibility, diluting the sharp distinction between the perpetrators and the victims. Moreover, individual accountability is hard to be claimed because of the mass-participatory characteristic of the genocide.
    The goals of transitional justice, redressing massive human rights violation, encompass the following perspectives: i) ending the vicious cycle of ethnic violence; ii) promoting human rights and the Rule of Law; iii) giving official acknowledgement of ‘what actually happened’ and publicly assuring that ‘justice will be done’; and iv) constructing a new national identity. These objectives might be summarized as “a balance of justice and reconciliation.”As one of the measures, the ICTR has succeeded in punishing leading genocidaires. However, it has several deficiencies, such as slow proceedings, diplomatic/political influence, and long distance from Rwandan local communities. Also, the most critical point is its lack of accessibility, cultural relevance, and participation of Rwandan people, who are the immediately interested parties. Without substantial connection with Rwandans, the ICTR becomes merely symbolic institution. Also, the different notions of guilt or legal terms/concepts might be problematic during the testimony process of Rwandan witnesses.
    Because of these shortcomings, which are detrimental to credibility of the ICTR’s judgments, the reasoning behind the move to the Gacaca courts seems to be valid. As a practical matter, the Rwandese government had to solve the problem of massive amount of prosecutions, considering that speedy trial is one of the important legal rights. However, more fundamentally, the Gacaca courts, as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in South Africa, were devised to create a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past abuses and to promote reconciliation in conflict-torn society for the future. Even if the traditional Gacaca has dealt with minor disputes, it might be suitable for the genocide case, especially when we focus on the value of reconciliation. The philosophy of the Gacaca is based on restorative justice, promoting recovery and reconciliation among community members. Facilitating reconciliation processes among ethnic groups is a joint task of community. Therefore, active participation during the Gacaca courts’ proceedings might be described not as rights but as duties. Generally, numerous indigenous dispute resolution processes in Africa are rooted in restoration and reconciliation. On the contrary, given the adversarial nature of proceedings, western official courts are generally based on zero-sum game, clearly dividing the winner and the loser. The ultimate objectives of the native court, as an autonomous and informal mechanism, include harmony, equilibrium, and peace. Therefore, the Gacaca judge’s role is more like an ‘advisor,’ a ‘mediator/arbitrator,’ or a ‘healer,’ trying to be a good listener to derive the essence of conflict and to arrive at reconciliation. Therefore, the problem of untrained judge’s incompetence might not be that serious problem as criticized by Amnesty International. The question whether the Gacaca judges are competent is not easy to be answered, when we consider the objective of reconciliation. For this matter, the Gacaca judges, who share the same cultural/historical context with Rwandans, might be more competent than the ICTR judges, who presumably cannot even understand the local language of Rwanda. Also, at local forum of Gacaca, where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of human rights are merged, the Gacaca judge works as a translator, interpret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into local settings.
    Moreover, through the Gacaca procedures, survivors might experience healing processes of the wounds of the genocide. In this respect, the Gacaca courts might promote the philosophy of therapeutic justice and victimology as well.
    Furthermore, genuine meaning of reconciliation and healing can be achieved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among community members in public forums. Therefore, ensuring certain procedural rights of all participants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justification and legitimacy of the Gacaca. Thus, Amnesty International’s recommendations regarding fair trials should be respected.
    Conclusively, from the pluralistic perspectives, it seems desirable that various forms of justice systems—international/transnational criminal justice, domestic criminal justice, and alternative justice systems—might work in combination running parallel to each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