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심보감≫과 챗GPT를 활용한 대학생의 자기성찰 학습법 (The Introspection Learning Methods for College Students Applying Myunshimbogam and ChatGPT)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5.03
43P 미리보기
≪명심보감≫과 챗GPT를 활용한 대학생의 자기성찰 학습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70호 / 541 ~ 583페이지
    · 저자명 : 이영희

    초록

    본 연구는 ≪명심보감≫과 챗GPT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자기성찰 학습법을 개발하고, 이를 관련 교과목 수업 현장에서 시범 적용하여, 그 운영 사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 대학생은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신의 가치관을 확립하는 과정에 놓여 있다. 특히 대학 1학년은 학문적, 사회적 전환기를 겪으며 자기 이해를 위한 성찰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현대 대학교육 환경에서 자기성찰은 비판적 사고와 주체적 학습을 돕는 핵심 요소로 간주되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교수법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심보감≫을 활용하여 자신의 마음을 탐구하고, 이를 챗GPT 도구와의 상호작용으로 자기성찰을 유도하는 학습법에 관심하였다. 이에 대학 1학년을 대상으로 한 교양 교과목 인문고전 세미나 수업에서 본 학습법을 실제 운영하고 자기성찰 학습의 가능성과 그 적용 방안 탐색을 목표로 본 연구를 개진한다. ≪명심보감≫은 한국 전통 윤리사상의 정수를 담고 있으며, 인간의 도리와 처세, 삶의 태도에 대한 교훈을 제공하는 동양고전이다. 이 책은 인의예지를 익혀 인간의 도리를 실천하는 윤리적 생활의 기초를 다지게 하는 내용과 선한 행위를 장려하고 자기반성을 통해 삶을 개선하는 길을 내용으로 구성하고 있어, 대학생들이 자신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사고하기에 적합하다. 대학생에게 자기성찰을 유도하는 데 유의미한 고전이라 판단되어 이와 같이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자기성찰 학습법은 ‘1단계: 텍스트 읽기 및 이해, 2단계: 경험 연결 및 성찰, 3단계: 학습정리 및 적용’의 3단구성이다. 학생들은 『명심보감』의 핵심 교훈을 읽고, 자신의 경험과 연결하여 사고한 후, 챗GPT와의 대화를 통해 성찰을 확장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 방식은 첫째, 학생들은 ≪명심보감≫의 핵심 교훈을 읽고 분석하며, 해당 교훈이 오늘의 사회와 문화 맥락에서 어떻게 적용 가능한지 탐구한다. 둘째, 각자가 경험한 삶의 사건과 연결하여 텍스트를 해석하고, 자신의 가치관과 태도를 점검하는 과정을 거친다. 셋째, 챗GPT를 활용하여 자신의 사고를 확장하고, 인공지능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성찰을 심화한다. 이때 챗GPT는 학생이 던지는 질문에 대한 응답의 방식으로 학생들의 사고 확장을 유도하며, 자기성찰 과정에서 피드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 실천표와 설문조사, 챗GPT와의 대화 기록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본 학습법이 자기이해와 성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어 ‘자기 이해를 심화’시켰으며, 챗GPT와의 대화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데 도움을 주어 ‘반성적 사고의 발전’을 도모하게 하였으며, 새로운 시각의 발견이 사고의 확장의 결과로 이어져 ‘행동 변화 계획 수립’을 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챗GPT는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를 객관적으로 돌아볼 수 있도록 도와주며, 다양한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자기성찰을 보다 다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전통적인 고전 교육과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대학생의 자기성찰 학습법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 효과성을 살피는 ‘시범적용 연구’로의 의의를 가진다. 따라서 고전과 현대 기술을 융합한 교육적 접근법의 적용 방안 연구는 대학 교육에서의 자기성찰 학습법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organize introspection learning methods for college students applying Myungshimbogam and ChatGPT, and use it as an example for class scenes of related subjects, and analyze operational examples. Students in modern society are placed in the process of forming self-identity and establishing their values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Especially. Freshmen need to have their time of introspection to understand themselves, going through academic and social transformation periods. Though the introspection in modern college education environment is regarded as a key point of helping their critical thinking and subjective learning, it is a fact that studies on teaching methods on guiding it effectively have been relatively deficient.
    So, this study is focused on learning methods of guiding introspection, applying Myungshimbogam to explore one’s mind and interacting with Chat GPT. The study was set forth aiming at exploring its application methods and possibility of introspection learning after running actually this learning method for Liberal Arts Classics Reading Seminar for freshmen. Myungshimbogam contains the essence of Korean traditional ethics. It is an oriental classic which provides human morality, art of living, and lessons of attitude of life. Myunshimbogam is appropriate for college students to think relating to their own lives because it is edited by subject with proverbs and famous phrases selected from a variety of classics. The book has been chosen as the subject of research because it is considered a useful classic for guiding college students to introspection.
    The introspection learning methods suggested by this study consist of three stages: First stage of text reading and understanding, second stage of experience connection and introspection, third stage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application. Students are supposed to read key lessons of Myungshimbogam, think over related to their own experience, and proceed to expand introspection through dialogue with ChatGPT. Through the methods, first, students read and analyze key lessons in Myungshimbogam, and explore how the lessons can be applied in today’s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econd, they interpret the text-related cases of life experienced by each person. Third, Applying ChatGPT, they expand their own thinking and deepen their introspection through the dislogue with AI. At the time, ChatGPT induces students to expand their thinking and takes the role of providing feedback in the process of introspection.
    By the result of the quality analysis of the introspection practie charts made by students and surveys, and coversation records with ChatGPT, this learning method has been helpful for self-understanding and introspection to deepen self-understanding. The method has promoted ‘the development of retrospective thinking’ because the conversation with ChatGPT helped organize students' thinking. And the discovery of different views have led to the expansion of thinking and helped ‘set up behavior change plans.’ Especially ChatGPT helped students look back to their thinking objectively, and provided them for an opportunity to carry out introspection in multiple process by proposing various viewpoints. Through the method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learning method of introspection for college students using traditional classic education and newest AI technology, and it carries the meaning as ‘a study of example application’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Accordingly, the application method study for educational approach with classics and modern technology fused may contribute to developing introspection learning meth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