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율적 지능 로봇과 민사책임법상 법정책적 과제- 프랑스법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Autonomous intelligent robots and legal policy tasks in the Civil Liability Act- Focusing on comparison with French law)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2.09
32P 미리보기
자율적 지능 로봇과 민사책임법상 법정책적 과제- 프랑스법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민사법학 / 100권 / 29 ~ 60페이지
    · 저자명 : 박수곤

    초록

    지능 로봇의 자율성은 인공지능의 발달정도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상당한 수준의 자율성을 갖춘 지능 로봇의 작동은 그 개발자 또는 발명자의 지배를 벗어난 것으로 평가될 여지가 있으며, 이러한 사정으로 인하여 로봇의 부적절한 작동결과가 타인에게 손해를 발생시킬 경우, 그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누구에게 부담시킬 것인지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대두될 수 있다. 이에 기존의 실정법이 이와 같은 인간과 로봇 사이의 상호작용을 규율하기에 충분한 것인지 아니면 로봇에게 법인격 내지 권리를 인정할 필요가 있는 것인지가 문제로 된다. 다만, 현행법상으로는 물건으로 다루어지는 단순 로봇에 대해 인공지능이 추가되는 경우 현재의 실정법이 그와 같은 인공지능형 로봇을 규율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다. 즉, 지능형 로봇이라고 하더라도 인간에 의한 통제가 가능한 수준이라면 현재의 책임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능형 로봇이 자율성을 가진 존재로 진화할 경우에는 특수한 책임모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현행 프랑스법에서의 규정태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면, 현재의 기술수준에서의 지능 로봇의 작동으로 인한 손해발생 상황에서의 규율에 있어 충분히 대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의미에서는 ‘법적 흠결’이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다만, 강인공지능을 탑재한 자율적 지능 로봇의 출현은 아직까지 시간을 두고 지켜보아야 할 상황이라고는 하나, 그와 같은 자율적 지능 로봇으로 향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개발이 나날이 향상됨으로 인하여 단순히 자동화된 로봇 이상의 자율성을 지닌 지능 로봇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수준의 지능 로봇의 작동으로 인한 악결과를 규율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각국의 법령들에서도 다소의 흠결이 발견되는 상황이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2020년 10월의 인공지능 운영자의 책임에 관한 유럽의회 결의안의 태도는 향후 자율적 지능 로봇의 출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의 책임모델로 삼을 수도 있을 것이나, 동 결의안 또한 인공지능 운영자만을 수범자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며, 그 내용면에서는 프랑스에서의 Badinter법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프랑스에서의 동물점유자의 책임 및 Badinter법이 향후 자율적 지능 로봇의 출현을 대비한 책임모델로서 보다 적합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autonomy of intelligent robots generally depends on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articular, the operation of an intelligent robot with a significant level of autonomy may be evaluated as outside the control of its developer or inventor, and if the improper operation result of the robot causes damage to others due to such circumstances, it can be difficult to determine who should be held responsible. Therefore, the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the existing positive law is sufficient to regulate such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robots, or whether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legal personality or rights to robots. However, since robots are treated as objects under the current law, even if artificial intelligence is added to the robot, it is evaluated that the current law can regulate the situation caused by the malfunc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In other words, the current civil liability law can be applied as long as an intelligent robot can be controlled by humans. However, if intelligent robots evolve into beings with autonomy,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special model of responsibility. If we comprehensively analyze the regulatory attitudes in the current French law, it can sufficiently regulate the situation of damag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intelligent robot at the current technological level, and in this sense,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legal flaw’ is not large. Although the emergence of autonomous intelligent robots equipped with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still a situation that needs to be watched over time, intelligent robots with greater autonomy than simple automated robots are coming to market,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develops day by da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some flaws in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of each country in order to regulate the bad consequences of the operation of these intelligent robots. In this sense, the attitude of the European Parliament resolution on the responsibility of AI operators in October 2020 can be used as a model of responsibility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advent of autonomous intelligent robots in the future, but this resolution has limitations in that it only targets AI operators. Considering the above points collectively,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liability of animal occupants and the Badinter Act in French law are more suitable as a model of responsibility for the emergence of autonomous intelligent robot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