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합적 검역체계 구축을 위한 법정책적 측면에서의 호주검역법연구 (Study on Analysis of Quarantine Legislations and Systems in Australia for Building an Integrative Quarantine Syste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1.06
27P 미리보기
통합적 검역체계 구축을 위한 법정책적 측면에서의 호주검역법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의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의료법학회지 / 19권 / 1호 / 161 ~ 187페이지
    · 저자명 : 박인경, 김소윤, 이세경

    초록

    본 논문은 호주의 선진 검역 체계와 검역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통해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과 같은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검역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호주의 검역은 검역법 1908(Quarantine Act 1908), 검역법 규칙 2000(Quarantine Regulation 2000), 검역법 고시 1998(Quarantine Proclamation 1998)을 직접적인 근거로 하여 다양한 운송수단 별 검역조사․소독 지침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호주 검역의 특징은 연방 정부와 지방 정부간 그리고 연방 정부 내에서도 다양한 부처 간에 독립적이지만 상호보완적인 검역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검역을 입국전 단계, 입국 단계, 입국 후 단계로 나누어 입국단계와 입국 후 단계는 엄격히 지방 정부의 영역으로 나뉘지만 동시에 국가비상사태시 등에는 연방 정부와 주 정부의 검역당국 간의 위계가 존재한다. 또한 호주는 보건노인부와 농림수산부의 협력 하에 인간검역과 식물, 동물 검역이 동일한 수준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밖에도 입국과정에서 협력하는 이민국이나 세관도 함께 검역과정에 관여하고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호주는 급격히 증가하는 국제 교류와 검역의 양적 증가에 대한 현실적인 자각에 따라 인력에 의존하던 근대적인 검역을 지양하고 일찍부터 자발적 검역 신고 및 위생 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한편 감염병 관리의 국제적인 공조를 위하여 인접 국가인 뉴질랜드와 전염병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운영하고 있다. 호주의 선진 검역 체계 분석을 통해 도출된 과학적이고 사전예방적인 통합검역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세균성 감염병에서 바이러스성 감염병으로 검역대상 감염병 패러다임의 전환, 감염병별 검역조사 및 검역소독으로의 전환, 운송수단별 검역 체계로의 전환, 전자검역 우선 적용과 자발적 건강 상태 보고 체계로의 전환, 인간․동․식물 검역업무의 통합적 운영, 중앙 정부 및 지방 정부 그리고 정부 부처 간 검역 업무 범위의 재정립, 협의체 구성 및 검역의 전문성 제고 등이다.

    영어초록

    We studied how to build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quarantine systems that are able to prevent pandemic influenz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dvanced quarantine systems and quarantine situation in Australia.
    The quarantine in Australia is based on the Quarantine Act 1908, the Quarantine Regulation 2000, and the Quarantine Proclamation 1998 and has various quarantine inspection and disinfection guidelines for each vehicle. As well, the Australian quarantine systems operate both independently and complementarily among the federal government and the state and territory health authorities, as well as various departments within the federal government. In other words, they classify three steps: pre-border, border, and post-border, and the state and territory health authorities have the power to govern in border and post-border areas. However, the federal government is superior to state and territory health authorities in situations such as public health emergencies, and so on. In the Australian quarantine systems, human quarantine and the quarantine of animals and plants are carried out together through the cooperation among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Ageing (DoHA),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restry (DAFF), the Immigration Office, and the Customs Office, which work together during the entry process. Australian quarantine systems are basically voluntary quarantine reporting and sanitary systems, refraining from old-fashioned quarantine systems which depend on human resources. This is because they realized that it was impossible to manage every increasing quarantine coverages. They also built a network (Communicable Diseases Network Australia New Zealand(CDNANZ)) and work together with New Zealand to manage infectious diseases internationally.
    We suggest how to make an integrated quarantine system that is more scientific and preventive through the review of the quarantine systems in Australia : ① Paradigm shift of the quarantined infectious diseases from bacterial infection to virus infection, ② Preparation of quarantine inspections and disinfections for each infectious disease, ③ Preparation of quarantine inspections and disinfections in each vehicle, ④ Acceptance of Electronic Pratique - based quarantine system, ⑤ Shift of voluntary health reporting system, ⑥ Rebuilding of the quarantine affair coverage, ⑦ Establishment of consultative group and improvement of quarantine experti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의료법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