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AC 수정책에 대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시선집중 패턴 연구 (Visual Patterns of AAC Adapted Book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4.10
10P 미리보기
AAC 수정책에 대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시선집중 패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언어치료연구 / 33권 / 4호 / 123 ~ 132페이지
    · 저자명 : 이진수, 나지영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이트래킹을 통해 AAC 수정책 읽기 활동 중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시선집중 패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4~12세의 자폐스팩트럼장애 아동 10명과 일반 아동 10명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자연스러운 책 읽기 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네 가지 구간을 나눈 후 AAC 수정책의 그림과 상징 영역에 대한 시선고정 시간 비율, 시선고정 지연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시선고정 시간 비율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을 때 일반 아동 집단은 그림영역을,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집단은 AAC 상징영역을 유의하게 오래 응시하였다. 구간별 차이로는 내레이션과 자유응시 구간에서는 그림을, 명시적 질문 구간에서는 AAC 상징을 가장 오래 응시하였다. 시선고정 지연시간의 경우 일반 아동 집단은 그림을,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집단은 상징을 빨리 응시하였다. 구간 별 차이를 확인하였을 때 모든 구간에서 AAC 상징보다 그림에 빨리 시선집중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상징에 오래 시각적 주의집중을 하였고, 이는 내레이션의 내용과 일대일로 대응하여 제공하는 상징에서 더 오래 정보처리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특히 정답을 찾아야 하는 명시적 질문 구간에서 맥락적인 정보가 포함된 그림에서 정보를 수집함과 동시에, 상징을 추가적으로 응시하여 내용의 맥락을 파악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정보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중재시 그림을 통한 맥락적인 정보와, 그림책의 내용과 일대일로 대응한 시각적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AAC 수정책의 활용이 중재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isual attention pattern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uring AAC adapted book reading activities.
    Method: Ten children with ASD and 1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4 to 12 participated. Fixation duration proportion and latency to first fixation for the book picture and symbol areas of AAC adapted books were measured. The reading activity was divided into four sections for analysis.
    Results: Comparing fixation duratio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howed longer fixation on the book picture, while children with ASD focused longer on AAC symbols. In terms of segment differences, both groups fixated on the book picture longer during narration and free-viewing segments, and on AAC symbols the longest during explicit questions. In terms of latency,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exhibited quicker fixation on the book picture, whereas children with ASD fixated on symbols more quickly. Overall, both groups concentrated on the book picture faster than on AAC symbols across all segments.
    Conclusions: Children with ASD demonstrated longer visual attention on AAC symbols, indicating that they processed information longer from symbols. Particularly in the explicit question segment where they needed to find the correct answer, children with ASD attempted to gather contextual information from book pictures and additionally fixated on symbols to comprehend the cont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tilizing AAC adapted books which provide both contextual information through book pictures and clear visual information though AAC symbols can have a positive clinical impact on Children with AS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언어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