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영유아 부모를 위한 그림책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Developing a Picture Book-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Model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5.06
14P 미리보기
장애영유아 부모를 위한 그림책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7권 / 3호 / 1087 ~ 1100페이지
    · 저자명 : 최대훈

    초록

    장애영유아 부모를 위한 그림책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최 대 훈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장애 영유아 부모를 위한 그림책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그 구체적인 구성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교육 및 장애아동 부모지원에 풍부한 경험을 지닌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구성 방향, 회기 수, 핵심 주제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회기별 교육 내용의 타당성과 실행 가능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내용: 프로그램은 ‘그림책으로 함께 크는 우리’라는 부제 아래, 정서 중심 접근, 상호작용 기술 증진, 자기돌봄 지원, 실천 중심 활동 설계, 가정 연계 가능성 등의 원리를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관계 형성, 감정 이해, 행동 공감, 책놀이 실천, 자기돌봄, 실천계획 수립 등 총 6회기의 내용과 각 회기별 실천 과제를 통해 가정 내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 전달 중심의 부모교육에서 벗어나 정서적 지지와 실천적 역량 강화를 도모하는 통합적 부모교육 모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프로그램은 부모의 정서 안정, 양육 자신감 향상, 자녀 이해 촉진 등 다면적인 효과가 기대되며, 향후 유아특수교육 및 상담 현장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핵심어: 장애영유아 부모, 그림책 기반 접근, 부모교육프로그램,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 모형

    영어초록

    Developing a Picture Book-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Model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OI http://dx.doi.org/10.62783/SHSS.7.3.68



    Deahun Choi*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icture book-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model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propose its detailed structure. To achieve this, two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re conducted with five experts who have extensive experience in parent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and in supporting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discussions gathered expert insights on the direction of program design, the number of sessions, and core themes, and examined the validity and feasibility of the session contents. The program, titled “Growing Together through Picture Books,” was developed based on key principles such as emotional-centered approaches, enhancement of interaction skills, support for self-care, practice-based activities, and home linkage potential. The model consists of six sessions: relationship building, understanding emotions, empathizing with behaviors, practicing book play, self-care, and planning for continued practice. Each session includes practical assignments to encourage application at hom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an integrated parent education model that moves beyond information delivery to focus on emotional support and the enhancement of practical parenting competencies. The program is expected to have multidimensional benefits, including emotional stability for parents, increased confidence in parenting, and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 It also shows strong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counseling settings.


    Key Words: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icture Book-based Approach, Parent Education Program, Emotional Support, Program Model























    □ 접수일: 2025년 5월 19일, 수정일: 2025년 6월 24일, 게재확정일: 2025년 6월 28일* 서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조교수(Professor, Seowon Univ., Email: pr1424@hanmail.n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