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글 없는 그림책의 ‘그림 읽기’ 요소와 체계화 (Elements and Systematization of ‘Reading Picture’ in Textless Picture Books through Semiotic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4.02
13P 미리보기
글 없는 그림책의 ‘그림 읽기’ 요소와 체계화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논리성
    • 독창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현대 그림책의 새로운 읽기 방식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 제공
    • 📚 글 없는 그림책의 체계적인 분석 방법론 소개
    • 🔍 독자의 능동적 해석을 강조하는 독창적인 접근법 제시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7권 / 1호 / 339 ~ 351페이지
    · 저자명 : 방미영, 홍동식

    초록

    연구배경 현대의 그림책은 어린이에서 성인까지 다양한 독자 연령층을 대상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그림책의형태도 다양해지고 있다. 최근 한국 작가의 해외 수상을 계기로 글 없는 그림책이 국내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글 없는 그림책은 전통적 그림책과 대조적으로 ‘그림 중심 서사’ 방식을 택하며, ‘보며 읽기’ 방식으로 현대 독자들과 활발히 소통한다. 글 없는 그림책에 관한 학문적 연구는 2011년 이후 증가하고 있지만 글 없는 그림책을 보고 읽는 새로운 방식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글은 최소화하고 그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현대의 글 없는 그림책의 ‘그림 읽기’ 방식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글 없는 그림책의 그림 읽기를 요소화하고 체계화하였다.
    연구방법 문헌 연구는 그림책과 관련하여 글과 그림의 고유한 특성, 그림책의 정의 및 최신 동향, 그리고 기호학을 중심으로 이론적인 고찰을 하였다. 기호학의 형태론과 의미론을 통하여, 글 없는 그림책의 개념과 그림 읽기 방식을 이해하고 ‘그림 읽기’의 네 가지 요소인 즉시성, 편리성, 함축성, 복합성을 도출하기 위한 개념을 파악하여 ‘2i2c RP System’으로 체계화를 하였다. 사례 분석은 질적 연구 방법으로 한국 작가의 해외 수상작에서 글없는 그림책 12권을 선정하여 ‘그림 읽기’ 요소와 체계화를 하였다.
    연구결과 ‘2i2c RP System’을 통한 총 12편의 글 없는 그림책을 분석한 결과, 첫째, 형태론적 요소는 그림의형태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즉시성(i)과 텍스트 부재로 인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편리성(c)을 통해 읽을 수 있었다. 둘째, 의미론적 요소는 그림을 유추하여 의미를 파악하는 함축성(i)과 다양하게 해석되는 복합성(c)을 통해의미가 나타났다.
    결론 글 없는 그림책의 그림 읽기는 형태론적 측면에서 즉시성과 편리성으로 형상을 인식하고, 의미론적측면에서 함축성과 복합성으로 의미를 해석하는 ‘2i2c RP System’의 과정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체계는 수동적인 독자의 역할에서 능동적으로 유도하고 독자 위치를 강화시키는 책 읽기 방식이었다.

    영어초록

    Background Contemporary picture books are expanding to cover a wide range of readers, from children to adults, and the forms of picture books are also diversifying. Recent international awards received by a Korean author have brought significant attention to ‘textless picture books’ in South Korea.
    In contrast to traditional picture books, textless picture books adopt a ‘visual storytelling’ approach and actively communicate with modern readers in a ‘look and read’ manner. Academic research on picture books without text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1, there remains a lack of research on new approaches to reading textless picture book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new concept of ‘Reading Picture’ in modern textless picture books, which minimize text and convey stories through a visual-centered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lementalize and systematize of ‘Reading Picture in textless picture books.
    Methods The literature review focu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ext and pictures in relation to picture books, the definition and recent trends in picture books, and semiotics. The concept of ‘Textless Picture Books’ and ‘Reading Picture’ were identified, and through the morphology and semiotics of semiotics, the four elements of ‘Reading Picture’ - immediacy, convenience, implication, and complexity – were - were identified and systemized into the ‘2i2c RP (Reading Picture) System’. The case analysis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12 textless picture books were selected from overseas award-winning books by Korean authors to systemize ‘Reading Picture’ into element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12 textless picture books through the ‘2i2c RP System’ indicated that, first, morphological elements were read through ‘immediacy(i)’, which is the intuitive recognition of the form of the picture, and ‘convenience(c)’, which is the easy accessibility due to the absence of text. Second, semantic elements were read through ‘implication(i)’, which is the inference of the picture to figure out the meaning, and ‘complexity(c)’, which is the various interpretations.
    Conclusions The ‘Reading Picture’ in textless picture book is a ‘2i2c RP System’ process of recognizing shapes with immediacy and convenience in terms of morphology and interpreting meanings with implication and complexity in terms of semantics. Therefore, it is a way of reading that actively induces and reinforces the reader’s position from the role of a passive rea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