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책 미디어의 발전과 독서문화의 변화 (Die Entwicklung der Lesemedien und der Wandel der Lesekultu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1.02
28P 미리보기
책 미디어의 발전과 독서문화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47호 / 229 ~ 256페이지
    · 저자명 : 안상원

    초록

    본 논문은 종이책으로부터 오늘날의 디지털 융복합 기기에 이르는 문자 미디어의 발전이 독서문화에 끼친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문자가 고안된 이래 문자저장매체는 고대와 중세, 근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마다의 삶과 문화에 영향을 끼쳤다. 15세기 인쇄술 발명은 종교적ㆍ세속적 권위의 해체와 지식의 분배를 야기하여근대로의 발전을 촉진한 혁명적 사건이었다. 18세기 서유럽지역에서는 일반인의독서문화가 형성되고 작가, 독자, 출판의 세 영역의 관계에 기반을 두는 근대적 문학 패러다임이 구축되었다.
    ‘구텐베르크 은하계’의 종말 이후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전자 출판을 가능케 했다. 전자책 독서 매체는 PC로부터 모바일 전자책 전용 단말기로 발전하였으며,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융합기기로 이어졌다. 디지털 출판과 새로운 디지털 매체들은 기존의 창작, 수용, 유통의 구조에 변화를 일으켰을 뿐 아니라 독서 방식에도새로운 특징을 부여하였다. 디지털 독서 매체에서 모바일성은 최대로 확장되며, 정보통신 기능이 융합된 스마트 기기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공간의 다중성’을 만들어낸다. 융합기기는 몰입의 독서를 강화하는 매체 특성을 갖고 있는 반면, 다른 공간들을 넘나듦이 수월하기 때문에 집중력을 분산시켜 독서를 방해하기도 한다. 모바일 융합기기를 선호하는 청소년들의 경우 독서는 또래사회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로서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된다. 그리고 디지털 독서가 보편화 되는 미래에는 도서관의 기능이 변하여 지식을 디지털화하여 보관하고 정보를 연결해 주는 허브로서새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Bei dieser Arbeit handelt es sich um eine Überlegung über die Einflüsse der Lesemedien auf die Lesekultur. Das Alphabet hat einen endgültigen Beitrag zur Formung der frühen Zivilisationen geleistet. Die Dominenz der Literalität hat die auf Oralität beruhende, primitive Gemeinschaft aufgelöst und die Ständeverteilung bewirkt. Von der Antike bis zur Moderne hat die Entwicklung des Lesemediums ständige Einflüsse auf die jeweilige Gesellschaft und Kultur ausgeübt. Die Erfindung des Buchdruckes im 15. Jarhrhundert hat die kirchlichen und weltlichen Autoritäten entkräftet. Sie hatte allgemeine Verbreitung des Wissens zur Folge, und beförderte den Fortschritt aus dem Mittelalter in die Moderne.
    Im 18. Jarhrhundert hat sich eine allgemeine Lesekultur in Westeuropa verbreitet. Zwischen der Produktion(Autor), der Rezeption(Leser), und der Distribution(Verlag/ Buchhandel) wurde ein kommunikatives System konstruiert.
    Nach dem Ende der ‘Gutenberg-Galaxis’ ermöglichte die Digitaltechnik eine Revolution des elektronischen Publizierens. Das Lesemedium für E-books hat sich vom PC zum tragbaren E-Book-Lesegerät entwickelt. Digital-Convergence-Medien wie Smartphone und Tablet-PC sind auch als Lesemedien zu gebrauchen.
    Digitale Publizierung und neue digitale Lesemedien verursachten eine Veränderung der Lesekultur. Dadurch wurden die Autor-Leser-Beziehung und die Struktur der Publizierung und Distribution neu definiert. Neue Medien haben neue Leseweise entstehen lassen. Mit einem digitalen Lesemedium wird die Mobilität des Lesens am höchsten verstärkt. Überdies erschaffen die Digital-Convergence-Medien eine mehrfache Räumlichkeit im Cyberspace. Man kann allein mit einem Digital-Gerät verschiedene Aktivitäten ausführen. Die Grenzen dieser Räume im Cyberspace sind sehr leicht zu überschreiten, deswegen kann auch das konzentriertes Lesen leicht gestört werden. Für de Jugendlichen, die ein Convergence-Gerät als ein Lesemedium verwenden, bekommt das Lesen eine neue Bedeutung als ein Kommunikationsakt. Die leicht lesbaren Texte, die jungen Leser gerne lesen, sind Medien für ihre Kommunikation und ihre eigene Kultur.
    In der digitalen Lesekultur verändern sich auch die Funktion der Bibliothek.
    Sie bietet nicht nur analoge Materialien wie Bücher an, sondern auch digitale audiovisuelle Informationen durch verschiedene Medien. Zukünftige Bibliotheken können neue Aufgabe als ein Knotenpunkt ausführen, eine große Menge disitalisierte Informationen zu versammeln und miteinander zu verbind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