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에 나타난 이주노동의 경험과 정체성 탐색 - 이주노동자의 창작시를 중심으로 (Exploring Migrant Labor Experience and Identity in Poetry : Focusing on the creative poems of migrant worker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1.06
26P 미리보기
시에 나타난 이주노동의 경험과 정체성 탐색 - 이주노동자의 창작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 리터러시 학회
    · 수록지 정보 : 리터러시 연구 / 12권 / 3호 / 607 ~ 632페이지
    · 저자명 : 양경언

    초록

    이 연구는 『여기는 기계의 도시란다』(삶창,2020)에 수록된 이주노동자 창작시를 분석하면서,시 창작을 통한 자기표현 시도의 의의와 사회적 증언의 성격을 띤 시 작품읽기 활동의 효과를 탐색한다.
    『여기는 기계의 도시란다』는 ‘삐라짓 뽀무’를 포함한 35명의 네팔 이주노동자가쓰고 ‘모헌 까르끼’와 ‘이기주’가 한국말로 번역한 작품이 실린 시집으로,국내에서는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출판된 이주노동자들의 창작시집이다.해당 시집에 수록된 시편들은 네팔 이주노동자들이 ‘시’를 자기표현적인 매체로 활용한 결과물로,시적언어의 특징인 ‘자기 표현성’이 네팔 이주노동자의 주체적 역량을 발휘하게 했다는 점을보여줄 뿐 아니라 이주노동자에 대한 한국사회의 편견 역시도 독자로 하여금 성찰하게 만든다.이주노동자의 창작시는 그이들의 현실을 한국사회의 일부로 주목하게 한다는 차원에서 한국문학 장의 ‘노동시’ 계보에서 독해될 수 있는 여지를 얻으면서,이주노동자가 자신의 모어에 ‘이주’와 ‘노동’의 경험을 반영한다는 차원에서 그 특수성을 얻는다.
    본고의 2장에서는 이주노동자의 창작시에서 ‘화자-발신자’가 ‘청자-수신자’ 위치를 특정하여 메시지를 발신하고,‘청자-수신자’가 능동적으로 움직이도록 시적 발화를 진행함으로써 ‘화자-발신자’가 주도적으로 시적 담화를 형성하는 작품을 분석한다.이는 언어의 능동적 기능을 통해 문학작품의 창작과 향유 과정을 상호적이며 수행적인 것으로 보려는 시각에 기초한다.여기에 해당하는 시편들은 대화체의 시적 진술을 통해 고단한 노동현실의 문제를 고발하는 ‘증언’의 역할을 한다.3장에서는 ‘기계의 도시’와 ‘고향’이라는 대조적인 공간에서 불화를 겪는 창작자가 시작(詩作)활동을 통해 ‘노동자 화자’ 자신이 노동하는 공간에서도 스스로의 고유성을 드러내고 사람답게 살고자 하는 감각을 계속해서 일깨우고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작품을 분석한다.‘노동자-시인’의 주체성은 이주노동자가 불화를 겪는 ‘노동’ 활동의 장소이자,창작자가 서정성을 구축할 수 있는 ‘행위’ 활동의 공간에서 기입된다.
    이주노동자의 창작시는 시를 쓰는 이들의 생활이 속한 공동체의 현실을 폭로하고이들에 대한 편견을 바꿔낸다는 차원에서 시 창작활동이 공동체의 감성적 분배를 바꿔놓는 계기를 제공하는 ‘자기표현’으로서의 ‘시 쓰기/읽기’ 행위와 연관된다는 점을증명한다.다문화의 삶을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을 담아낸 문학작품을 그 자체로 별개의 영역에 두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현실에서 이뤄지는 ‘노동시’의 리터러시 과정으로 살피고자 하는 본고의 시도는,이주노동자 당사자의 목소리를 한국사회로 동일화하기를 부추기지 않고서도 해석할 수 있는 문학적 독법을 마련한다는 의의를 가진다.아울러 사회에서 쉽게 차별받고 혐오,배제되는 이들의 주체적인 목소리와 지금의 사회가 어떻게 함께할지를 리터러시의 활동 속에서 적극적으로 강구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시켜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poetry by migrant workers in This is a City of Machines, published in 2020, and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self-expression attempts through poetry creation and the effect of reading poetry with the character of social testimony.
    Research on migrant workers has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s facing them in Korean society,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issue aimed at realizing their rights. However, the voices of migrant workers in a compassionate discourse have limited recognition because the research focused on the “representation” of migrant workers is conducted in a direction based on their acceptance in Korean society.
    “This is the City of Machines ” is a collection of poems written by 35 Nepalese migrant workers, including “Pirajit Pomu,”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Mohun Karki” and “Lee Gi Joo.” It is a consequence of using poetry as a self-expressing medium. These poems show that “self-directedness,” a characteristic of poetic language, allows the voices of Nepalese migrant workers to be heard while also making readers reflect on the socially constituted prejudices against migrant work ers. Migrant workers' creative poems reflect their experiences of “migration” and “labor” in their mother tongue while gaining reading space in the “labor poetry” genealogy of the Korean literature chapter to draw attention to their reality. It has a unique manner of doing it.
    In Chapter 2, the “speaker-sender” poetry of the migrant workers specifies the location of the “listener-receiver” and sends the message, while poetic utterance focuses on the direction of the active movement of the “listener-receiver” receiving the message. It allows us to analyze the works in which the “speaker-sender” leads the poetic discourse. This view is based on creating and enjoying literary works as interactive and performing through the active function of language. These psalms reveal the language of a “witness” who challenges the social situation by revealing the real problems of labor through dialogue-like poetic statements, such as an appeal to the “listener-receiver” called “the president.” In Chapter 3, the creator’s activity, experiencing discord due to the contrast of the city of machines and ‘hometown’, reveals his uniqueness in his place of work and continues to awaken a sense of living like a human being, analyzing works that prove it to be an action-oriented ac tivity. The subjectivity of the “worker-poet” is written in the place of labor activities where migrant workers experience discord and the space of action activities, where the creator can build lyricism. Currently, “labor poetry” serves as a stage for cre ators to freely express their emotions and perceptions through artistic expression activities.
    The study of Nepalese migrant workers’ creative poetry is meaningful because the situation in which the person’s utterances are visualized through poetic imagery not only allows migrant workers to have a different approach to the real problem but also highlights the effect of the self-expressive function of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리터러시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