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崔昌植의 在中獨立運動과 민족통일전선 추구 (Choi Chang - Sik'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and His Pursuit of National United Front)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6.03
48P 미리보기
崔昌植의 在中獨立運動과 민족통일전선 추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86호 / 103 ~ 150페이지
    · 저자명 : 이한나

    초록

    이 논문은 1910년에서 1930년에 이르는 시기에 최창식(1892~1957)의 행적을 바탕으로 국내와 상해지역의 민족주의활동과 사회주의활동 과정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는 1911년에 경성에서 김좌진과 함께 서간도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위한 군자금 모집에 관여한 것을 시작으로 1912년부터는 오성학교 역사교사로 재직하면서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 3ㆍ1운동 당시에는 국내대표단으로 남경ㆍ상해ㆍ북경에 파견되어 독립운동가들과 중국혁명당원들을 대상으로 선전활동도 했다.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도 참여하며, 국무원비서장ㆍ의정원의장ㆍ국무원내무장 등을 역임할 만큼 임정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임정 활동을 하면서 그는 1920년 5월 상해 한인공산당에 입당하여 사회주의자가 되었고, 이후 이동휘계열과 대립하면서 상해 이르쿠츠크 고려공산당원이 되었다. 1921년 6월부터는 고려공산청년단 상해회의 집행위원장을 맡는 등 사회주의 활동을 활발히 전개해나갔다. 이뿐 아니라, 이동휘가 임시정부를 떠나면서 임시정부 내의 모든 사회주의세력이 탈퇴했을 때에도 최창식은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계열의 사회주의자로서 임정에 남아 끝까지 민족통일전선을 위해 활동했다.
    그의 민족통일전선운동은 크게 6ㆍ10만세운동과 독립운동촉진회의 설립, 홍진 내각의 결성, 한국유일독립당 상해촉성회의 활동으로 나누어진다. 그는 임시정부 중심의 민족통일전선운동에 중점을 두었는데, 임시정부를 개조하여 임시정부 안에서 통일전선운동이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 한국유일독립당 상해촉성회 해체 이후, 최창식은 三一印刷所를 개인적으로 인수하여 생계를 유지를 했으나, 사회주의와 민족주의세력 모두의 인쇄물 간행을 맡음으로써 민족통일전선을 위한 노력은 계속해 나갔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는 사회주의 선전인쇄물을 압수당하면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3년 중역의 판결을 받고 1930년 4월 상해에서 국내로 송환되었다.
    그는 임시정부활동을 하면서 동시에 사회주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한 유일한 인물이다. 무엇보다도 최창식은 1920년대 후반 민족통일전선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섰으며, 민족주의와 사회주의로 분열된 독립운동을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통합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다시 말해서 독립운동을 성공시키기 위해 독립전선을 통일해야 함을 주장했고, 독립전선을 통일하기 위해서는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창식은 독립을 위해 사회주의를 받아들였고 끊임없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통합을 추구한 인물이었다.

    영어초록

    The thesis presents the nationalist activities and socialist activities conducted in Shanghai and Korea, based on the deeds of Choi Chang-Sik (1892~1957),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who was active in 1910 to 1930. He initiated his involvement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participating in raising military fund for establishment of independence movement base in West Jiandao, with Kim Jwa-Jin in 1911. He taught history at Oseong School from 1912 to inspire students with national consciousness. During the time of 3ㆍ1 movement, he was dispatched to the areas of Nanjing, Shanghai, and Beijing as a member of national delegation and conducted promotion activities to the Chinese Revolution Party members, with his colleagu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s. 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from its establishment, serving as State Council Chief Secretary, Chairman of the interim National Assembly, and State Council Home Secretary. While serving for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he joined the Shanghai Korean Communist Party in May, 1920, and later became a member of Shanghai Irkutsk Group Koryo Communist Party, conflicting with Lee Dong-Hwi faction. He engaged in the socialist activities vigorously, serving as the executive director for the Shanghai Koryo Communist Young Men’s Association from June, 1921. In addition, when all the socialists withdrew from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s Lee Dong-Hwi left the provisional government, Choi Chang-Sik remained as a socialist of Irkutsk Group Koryo Communist Party faction and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of the National United Front.
    Choi Chang-Sik's National United Front Movement activities are comprised of 6ㆍ10 National Movement, establishing Independence movement promotion association, and Shanghai Choksenghae activities. He exerted efforts to realize the National Unified Front Movement within the framework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by improving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so that the National United Front would be built focused on the provisional government. Choi continued his efforts for the National United Front by running 3ㆍ1 printing office after the National United Front Movement ended in failure by the December Thesis of Comintern in 1928. However, his socialist propaganda pamphlets were confiscated and he was convicted and sentenced to three-year for violating the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It was April of 1930 that he was sent to Korea from Shanghai.
    Choi Chang-Sik is the only independence activist who was progressively engaged in socialist activitie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His idea was that the independence movement fronts should be unified for a success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unifying the fronts. He devoted himself in the National United Front Movement from the late 1920s in order to unite the nationalist camp and the socialist camp in the framework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a nutshell, Choi Chang-Sik himself adopted socialism as a vehicle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of Korea but he constantly pursued the unity of nationalism and soci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