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農巖 金昌協의 ‘風神’비평 연구 (Study on Nongam Kim Changhyeob’s Criticism of Pungshi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7.10
38P 미리보기
農巖 金昌協의 ‘風神’비평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38호 / 130 ~ 167페이지
    · 저자명 : 감준희

    초록

    이 글은 農巖 金昌協(1651~1708)이 문장 평론에서 ‘風神’이라는 비평용어를 자주 사용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農巖集』의 「雜識」외편을 중심으로 김창협이 문학비평에서 ‘풍신’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고, 그 의의가 무엇인지를 고찰한 것이다.
    본격적 논의에 앞서 우선 ‘風神’의 기본적 개념을 살폈다. ‘風’과 ‘神’은 모두 문학 창작의 근원이자 문학이 감동을 전하는 데에 필수 요소이며, ‘風神’은 문예작품의 문채와 신운을 가리킨다. 문예작품에 내재한 문채와 신운이 생생하게 드러나고 조화를 이룰 때에 풍신은 발휘되며 이를 통해 문학작품은 독자들에게 감동과 여운을 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胡應麟의 『詩藪』와 茅坤의 『唐宋八大家文鈔』를 통해 시와 산문비평에서의 풍신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시에서의 풍신은 함축적이고 간결한 표현에 자연스러운 정감이 짙게 드러나는 것을 가리키며, 산문에서는 문장의 흐름이나 기세가 거침없이 이어지면서도 그 속에 짙은 감정이 담긴 것을 풍신이라 한다. 그 성격은 超逸과 遒逸의 풍격처럼 자유롭고 힘차다.
    본론에서는 김창협은 풍신비평에 대해 살펴보았다. 김창협은 풍신이 잘 발현된 문장의 모범을 전적으로 구양수에게 두고 있는데, 이는 모곤을 비롯한 명대 당송고문파의 韓歐正脈論 수용과 관련이 있다. 김창협은 碑誌文의 서술에서 형식미 못지않게 문예미와 심미적 가치가 발현되는 것을 중시하였고, 그것이 최고로 발현된 경지를 ‘風神遒麗’, ‘風神生色’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풍신을 간직한 문장들은 대체로 간략하면서도 조리가 있고 정서가 진솔하고 곡진하여 사람을 감동시킨다고 하였다. 그가 풍신비평에서 진솔하고 곡진한 정서의 표현을 중시한 것은 그가 주장한 ‘性情之眞’의 문학론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김창협의 풍신비평은 명대의 풍신비평을 선구적으로 수용하였고, 품평의 용례를 확장해 조선후기 문학론과 비평론의 장을 넓힌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nvestigated utilization of ‘Pungshin’ in Kim Changhyeob’s literature criticism, the implication, and correlation with literary theory based on the「jabji(雜識)」of Kim Changhyeob(金昌協, 1651~1708)’s sentence critique in Nongamjib(農巖集), paying attention to frequent use of the critical term ‘Pungshin(風神)’ in this sentence critique.
    Before the discussion, this research firstly investigated the basic concept of ‘Pungshin(風神)’. Both ‘Pung(風)’ and ‘shin(神)’ are the source of literary creation and are essential to the writing of literature. And ‘Pungshin(風神)’ is explained as Munchae(文采) or Shinwoon(神韻). When the Munchae(文采) and Shinwoon(神韻) varieties in literature show vividness and harmony, Pungshin(風神) can be exposed to the reader and the works can impress readers.
    Next, through Hu Yinglin(胡應麟)’s Shisou(詩藪) and Mao Kun(茅坤)’s The Prose Selections of Eight Masters in Tang and Song Dynasty(唐宋八大家文鈔), I studied the implications of Pungshin in the poem and prose critique. Pungshin in poetry refers to a deep sense of natural feeling in the implicit and concise expression of a poem. Pungshin in prose, the flow of sentences and the strength of sentences is flow without a hitch, and there is a deep emotion in the sentences. Also, the character is free and strong like a Choil(超逸) and Juil(遒逸)'s critical terms.
    On the main subject, I studied the Kim Changhyeob’s sentence critique. he put the example of sentence well realized with Pungshin on Ou Yangxiu(歐陽脩). Taking example of Ou Yangxiu’s sentence is related to acceptance of Hangujungmaek theory(韓歐正脈論) of Tang and Song Dynasty Classical Literature School(唐宋古文派) of Ming Dynasty.
    He highly regarded realization of literary beauty and esthetic value more than formal beauty in description of Bijimun(碑誌文), and expressed its highest realization as ‘Pungshinjuryeo(風神遒麗)’, ‘Pungshinsaengsaek(風神生色)’. And he viewed that the sentences of Pungshin are mostly brief, logic, and impressive due to its honest and sincere emotion. Honest and sincere expression of emotion can be related to the literary theory of ‘Seongjeongjijin(性情之眞)’ that explained.
    Kim Changhyeob’s Criticism of Pungshin is maintained critical view without fully accepting Mao Kun’s theory, and it has a significance in respect of widening the literary criticism of late Joseon by extending the existing examples of Pungshin eval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