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본주의 해부에서 자본주의의 미래로 : 김영용, 『노동가치탐구』(도서출판참, 2022) (From Anatomy of Capitalism to the Future of Capitalism: Kim Young-yong, The Inquiry into the Value of Labor(Chaam Publishers, 2022))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4.02
19P 미리보기
자본주의 해부에서 자본주의의 미래로 : 김영용, 『노동가치탐구』(도서출판참, 2022)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마르크스주의 연구 / 21권 / 1호 / 103 ~ 121페이지
    · 저자명 : 안현효

    초록

    『노동가치탐구』는 『자본론』 1권, 1편 상품과 화폐 편을 소개하고 주해하는 소박한 목적을 달성함과 동시에 『자본론』 1권, 1편의 범위 내에서 마르크스 노동가치론을 증명하려는 담대한 시도를 하였다.
    첫째, 『노동가치탐구』에서 마르크스 가치 개념을 이해하는 데서의 다면적 차원, 즉 실체, 형태, 크기라는 다차원을 접근함에 있어 가치형태를 가치의 ‘발현’이라는차원에서 해석하고 시장을 통한 가치의 ‘승인’과 변증법적 상호관계 속에서 접근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 단서에 주목하여 마르크스의 가치형태론의 의미를 유통주의적 해석과 투하노동적 해석을 극복할 단서로 평가한다.
    둘째, 하지만 『자본론』 1권 1편의 연구 및 서술 대상이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인가, 단순상품생산사회인가는 쟁점이 된다. 『노동가치탐구』는 후자의 입장을 선택하여 『자본론』 1권 1편의 주해 과정에서 노동가치의 양적 분배 문제를 모두 해명하고자하는데 이는 부문별 노동의 양적 분배 문제를 다룰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는 점을지적한다.
    셋째, 상품 물신성은 사람과 사람의 관계가 물과 물의 관계로 전도되는 점을 해명하는 단서가 되며 이에 대한 분석과 해명을 통해 자본주의적 물신성을 이해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는 점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비록 단순상품생산사회의 제한 속에서 분석하지만 『노동가치탐구』의 연구 및 서술은 “우리가 사는 사회” 이후의 사회를 상상하고 탐구하는 데 중요한 출발점이 될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Inquiry into the Value of Labor” is praised for achieving its modest goal of introducing and interpreting Volume 1, Part 1, “Commodities and Money,” of “Capital,” while simultaneously making a bold attempt to prove Marx’s labor theory of value within the scope of “Capital,” Volume 1, Part 1.
    Firstly, in “The Inquiry into the Value of Labor,” the multi-dimensional aspect of understanding Marx’s concept of value is addressed, approaching the dimensions of substance, form, and magnitude. The interpretation of value form is explored as the “manifestation” of value, and the approach is framed within the context of the market’s approval of value and its dialectical interrelation.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is clue and reinterprets it as a mean to overcome both circulationist and labor expending approach of Marx’s theory of value, thus finally attaining the of the commodity form theory.
    Secondly, however, while the subject of research and description in “The Inquiry into the Value of Labor” is Volume 1, Part 1 of “Capital,” the question arises whether the subject of Volume 1, Part 1 of “Capital” is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or a simple commodity-producing society. “The Inquiry into the Value of Labor” chooses the latter perspective, aiming to clarify all issues related to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labor value interpreting the Volume 1, Part 1 of “Capital.” This, however, could be criticized for its limitation in addressing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issues of labor in different sectors.
    Thirdly, the fetishism of commodities serves as evidence for the substitu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things for between peoples. The analysis and explanation of this point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capitalist fetishism. Although analyzed within the constraints of a simple commodity-producing society, the research and description in “The Inquiry into the Value of Labor” are highly regarded a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into imagining and exploring the society that comes after “the society we live in.” In conclusion, despite its narrow focusing on a simple commodity-producing society, “The Inquiry into the Value of Labor” are seen as a crucial starting point for imagining and investigating the society that follows “the society we live 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마르크스주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