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일관계에서 올바른 과거청산과 참다운 화해를 열망하는 한국학자들의 선언 (Open letter from Korean scholars for proper historical acknowledgement and true reconciliation in Korea-Japan relations)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5.11
7P 미리보기
한일관계에서 올바른 과거청산과 참다운 화해를 열망하는 한국학자들의 선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민주법학 / 59호 / 271 ~ 277페이지
    · 저자명 : 이재승

    초록

    2015년은 광복 70주년,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이 되는 해이다. 식민지지배의 아픈 과거를 극복하고 한일 양국이 우호적인 관계를 확립해야할 적기임에도 불구하고 양국관계는 고노 담화(1993)와 무라야마 담화(1995) 이후 오히려 퇴보를 겪고 있다. 그 여파로 식민지지배의 희생자들은 권리구제를 받지 못한 채 고통 속에서 생을 마감하고 있다. 이러한 파행상태는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 당시에 양국 정부가 강점기에 자행된 잔혹행위들을 정직하게 대면하지 않았던 전과에서 연유한다. 한국정부는 현재 한미일 안보동맹의 틀 속에서 강점과 잔혹행위에 대한 일본의 책임을 추궁하지 못하고 있으며, 과거사를 국내정치의 지렛대로 이용한다는 국제사회의 비난마저 듣고 있다. 과거사에 대한 부실협상이 또 다시 반복되지 않을까 우려하면서 우리는 올바른 청산을 통한 참다운 화해를 간절하게 바라는 마음에서 양국 정부와 시민사회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촉구한다.




    첫째, 일본정부는 청일전쟁에서 시작된 침략전쟁의 50년사를 인정하고, 전쟁과 식민지지배 과정에서 아시아의 민중들에게 자행한 학살과 박해에 대해 진심으로 사죄해야 한다. 일본사회는 특히 무참하게 살육당한 동학농민군, 주권의 강탈에 저항한 의병들, 식민지배를 거부한 3.1운동 참여자들, 관동대지진때 무방비상태로 집단 살육을 당한 조선인들, 고문당하고 살육당한 독립운동가들, 침략전쟁에 강제로 내몰린 조선인들, 심지어 일본군의 성노예로 동원되기까지 한 조선의 여성들을 기억하고 그들의 심대한 고통을 겸허하게 인정해야 한다.




    둘째, 한일 양국 정부는 1965년에 식민지지배 책임이 해결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2011년 한국의 헌법재판소는 이른바 일본군‘위안부’피해와 원폭피해와 관련하여 청구권협정의 해석을 둘러싼 분쟁이 있다고 판단하였고, 2012년에 한국의 대법원은 일제의 강제동원을 불법행위로 규정하고 그 문제가 청구권협정에 의해 해결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국제인도법과 국제인권법의 취지에 입각한 이들 판결을 존중하며, 양국 정부에 대해 식민지지배 책임에 진지하게 대면할 것을 요구한다.




    셋째, 식민지지배 과정에서 자행된 잔혹행위들은 국제적인 범죄이므로, 일본정부는 제2차세계대전 이후에 발전해온 국제인도법에 따라 국가책임을 이행해야 한다. 특히 유엔총회가 2005년에 채택한 인권피해자권리장전(A/60/509/Add.1)은 인권침해사실의 인정, 피해자에 대한 사죄, 피해구제조치,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개혁, 군경에 대한 인권교육, 역사기록과 기념관의 설치, 기억의 의무 등을 야만을 자행한 국가의 책임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일본정부는 이러한 원칙을 반영한 공식적 구제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안 된다.




    넷째, 한국정부는 1965년의 부실협상을 반면교사로 삼아 피해자들의 인권을 적극 보장해야 한다. 인권은 본디 불가침적이며, 침해된 경우에는 구제받을 피해자의 권리 또한 불가침적이라는 점을 망각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이미 80-90대의 고령인 식민지 잔혹행위의 피해자들이 얼마 남지 않은 삶을 끝내기 전에 합당한 구제를 받을 수 있기를 인간적으로도 간절히 희망한다. 심각한 인권침해를 적절하게 구제하지 않는다면, 그러한 사건들은 세기를 넘어 양국 간에 심각한 정치적 여진을 만들고 끝내는 역사의 수치로 남게 될 것이라는 점에 깊이 우려한다.




    마지막으로, 한일 양국의 시민사회는 지난 150여 년 동안 아시아에서 자행된 전쟁과 학살을 기억해야 한다. 나아가 양국 정부가 한일과거사의 올바른 해법을 강구하여 적대감을 해소하고 아시아의 평화를 촉진하도록 다각도에서 행위주체로 나서야 한다. 화해와 연대는 ‘풀뿌리’의 차원에서 이루어질 때 비로소 확고한 토대를 갖추게 될 것이다.


    올바른 과거청산을 통한 한일 양국의 화해와 선린을 염원하는 우리 학자들은 양국간의 협상이 피해자들의 인권을 존중하는지를 주시하면서 그것을 올바른 방향으로 견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한다.




    2015년 8월 10일

    올바른 과거청산과 아시아 평화의 확산을 바라는 학자 일동

    영어초록

    2015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Korean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50th anniversary of the 1965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Although the two countries should now be overcoming the pains of the colonial past and establishing amicable rela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has been moving backwards rather than forward since the Kono Statement of 1993 and the Murayama Statement of 1995. Since then, victims of Japanese colonial rule have been passing away in pain, without seeing their human rights restored. This strained situation stems from the fact that at the time of the 1965 treaty, the two governments did not truthfully face the atrocities commit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Korean government is currently unable to press Japan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atrocities it perpetrated during its occupation from within the framework of the Korea-U.S.-Japan security alliance, and is even being critic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using the past as political leverage. We fear that insufficient negotiations regarding the past will continue to be repeated and in our earnest hope for true reconciliation through proper historical acknowledgement, we urge the following from the governments of both countries, as well as civil society:

    First, the Japanese government must acknowledge its war of aggression that spanned fifty years beginning after the Sino-Japanese War, and offer a sincere apology for the oppression and massacre it perpetrated against the peoples of Asia during the process of this war and its colonial occupation. Particularly, Japanese society must remember and humbly acknowledge the tremendous suffering of the Donghak farmer soldiers that were mercilessly killed, the guerilla armies who were murdered for their resistance against the forced surrender of our national sovereignty, those who were murdered for their participation in the March 1st Samil Resistance, the Koreans defenselessly slaughtered in the massacre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of 1923, the innumerable independence movement fighters who were tortured and murdered, Koreans who were forcefully conscripted to fight in its war of aggression, and the women who were even forced to work as sex slaves for the Japanese army.




    Second,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must face the reality that the 1965 treaty did not resolve the issues of accountability for Japan’s colonial rule. As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ruled in 2011, there is a case for dispute for the Japanese army “comfort women” victims and the victims of the atomic bomb regarding the right to reparation despite the 1965 Treaty. The 2012 ruling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that the forced mobilization by imperial Japan was an unlawful act also reiterated that these problems were not resolved according to the 1965 Agreement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Problems in Regard to Property and Claims and Economic Cooperation Agreement. We respect these rulings based on the spirit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urge the governments of both countries to solemnly face responsibility for colonial rule.




    Third, since the atrocities committed during the period of colonial rule are international crimes, the Japanese government must take state responsibility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humanitarian and human rights laws. In particular, Basic Principles and Guidelines on the Right to a Remedy and Reparation for Victims of Gross Violation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Serious Violation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dopted during the 2005 UN General Assembly (A/60/509/Add.1) stipulates that the perpetrating country is responsible for the fulfilling the following conditions: admission of the human rights violated, apology to the victims, reparations for damages, systematic reform in order to prevent reoccurrence, human rights education for military and police, erection of a memorial and the keeping of historical record, duty to remember, among others. The Japanese government must enact remedial measures in order to reflect these principles.




    Fourth, the Korean government must consider the 1965 treaty a lesson learned the hard way and actively guarantee the human rights of victims. Human rights are inviolable by nature and when they are violated the right of the victim to remedy is an inviolable right as well. If terrible human rights violations are not properly atoned for, such incidents will produce political serious aftershocks long after the fact and cannot but remain a shame of history. Accordingly, considering that the victims of these colonial atrocities are now in their 80s and 90s and have little time left, we earnestly hope that they can receive swift and appropriate relief.




    Fifth, the citizens of both countries must remember the war and massacre that took place in Asia over the past 150 years. Furthermore,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must seek a solution for the long-lasting confli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approach the issues from various angles in order to resolve the feelings of animosity and promote peace in Asia. Reconciliation and solidarity can only have a firm foundation when they begin at the roots.




    Finally, we, the undersigned academics, long for reconcili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friendly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through the proper acknowledgement of history, and we pledge to do everything within our power to ensure that the negoti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while maintaining a sincere respect for the of human rights of the victims.




    August 10, 2015

    Academics for proper historical acknowledgement and the expansion of peace in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주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