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2차 수신사의 일본 견문 태도와 교류의 실제 (The True Reality of The Second Susinsa’s Attitude for Experience and Interchange in Jap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6.06
26P 미리보기
제2차 수신사의 일본 견문 태도와 교류의 실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51호 / 225 ~ 250페이지
    · 저자명 : 이효정

    초록

    1876년 조일수호조규로 새로운 외교 체제에 편입된 조선은, 일본의 정세 탐색과 세관 등의 문제로 1880년 제2차 수신사를 파견하였다. 그동안 이 수신사는 주로 황준헌의 『조선책략』과 연관하여 연구되어지거나, 정사 김홍집 개인의 정치활동 중 일부분으로 간략히 언급되었다. 이는 제2차 수신사의 자료가 산재되어 연구가 용이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박상식의 『동도일사』, 김홍집의 『수신사일기』, 『흥아회보고』 그리고 당시의 일본 신문을 바탕으로 실제 제2차 수신사가 일본에서 무엇을 어떻게 견문하였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동도일사』에서 일기를 썼던 향서기 박상식은 기존의 중화주의적 시선으로 일본인들을 바라보았으며, 근대 문물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이해하려 하지 않았다. 또한 수신정사 김홍집도 흔히 개화파라 일컬어지지만 일본에서의 활동은 소극적이었다. 유람을 권하는 일본인들을 거절하며 견문을 공적인 신분으로는 할 수 없다고 하고, 대신 수행원을 보내는 일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귀국 후의 보고서에는 세계 정세와 교육체계, 근대식 군대, 재정 문제 등 경험한 견문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설명하려 하였다. 비록 수동적인 견문 활동이었지만 이러한 경험이 후에 그의 온건적 개화 정책으로 드러났다고 볼 수 있겠다.
    이들은 또한 고위 관료나 민간의 지식인 등 다양한 일본인 그리고 청국 사람들과 교류하였다. 교유의 모습은 통신사 시절의 필담 창수와 다르지 않았다. 일본인들은 조선인들의 한문으로 된 글씨와 시를 얻기 원하였으며 한시를 창수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 시기는 일본에서 아시아연대론이 급부상하는 시기였기 때문에, 중화 문명의 공통 교양은 이 아시아주의의 유용한 수단이 되었다. 하지만 근대 서양에 맞서기 위한 이들의 논리 역시 ‘부국’과 ‘개화’였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한문’이 아닌, 중국어와 조선어 등의 자국어를 배워야 했으며 사대교린 체제에서 벗어나 ‘자주권’을 지켜야 했다. 이러한 역설적 인식의 경험들, 문화공동체의 균열 경험이 결국 제2차 수신사 이후의 대외수교, 개화정책에 일정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Chosun, which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new diplomacy system by the Chosun and Japan’s mutual recognition and action in 1876, dispatched the second Susinsa Kim Hong-Jip in 1880 to judge the situation of Japan and to resolve the issue of customs. Until recently, however, the Susinsa has been studies in conjunction with the Chosun’s Strategy written by huáng zūn xiàn or has been briefly mentioned as a part of the political activities of Kim Hong-Jip, which may have been due to the fact that the references about the second Susinsa has been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Considering these aspects, we investigated the contents and methods which the second Susinsa had experienced based on Dong-do-il-sa (by Park Sang-Sik), the Susinsa’s diary (by Kim Hong-Jip), the report of Kouakai, and Japanese newpapers, etc. We also trie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Susinsa’s second dispatch in this study.
    According to his book Dong-do-il-sa, Park Sang-Sik looked at Japanese in a viewpoint of Sinocentrism, and therefore he could neither explain nor understand the modern culture. Although Kim Hong-Jip was also considered as a member of Gaehwapa group, he was passive about the activity in Japan. For instance, he often refused Japanese's proposal of sightseeing euphemistically on the excuse of his public position, and sent his entourage instead of him. After returning to his country, however, he explained the world situation, education system, modern military organization, and financial problems in his report as objectively as possible. Although his activity appeared passive, such experience may have influenced on his moderate enlightenment policy later.
    They interchanged culture and experience with Japanese and Chinese as well. The feature of cultural exchange was not different from the written conversation and exchanged poems in the period of Tongsinsa. Japanese wanted Chinese writings written by people of Chosun and exchanged Chinese poems. Since the theory of Asian Solidarity had been emerging at that period in Japan, the common culture from Chinese civilization was a useful method for strengthening the theory. Because national prosperity and civilization were the tasks of Asia to stand against western countries, however, they practically had to learn not the written Chinese but spoken Chinese or spoken Chosun language, and had to escape from Sadae-Kyorin system to maintain national independence. These experiences of the paradoxical recognitions and the split of cultural community may have had a certain effects on the diplomatic relations and the enlightenment policy after the dispatch of the second Susin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