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브랜드 행복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자동차 브랜드를 중심으로 (A Study of Brand Happiness Index Development - Focused on Automobile Brand)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5.12
27P 미리보기
브랜드 행복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자동차 브랜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26권 / 6호 / 101 ~ 127페이지
    · 저자명 : 류주연, 유창조

    초록

    브랜드가 소비자로 하여금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밝히고 각 브랜드별로 소비자의 행복에 대한 영향력을 비교할 수 있는 틀을 만들어 관리 가능함을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심층면접, 사전조사, 그리고 본조사의 세 가지 단계를 거쳐 브랜드 행복지수(brand happiness index, BHI)를 개발하였으며, 심층면접 결과 소비자들이 브랜드와 관련지어 느끼는 행복감은 심리적 가치, 긍정적 정서, 그리고 부정적 정서로 이루어졌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삶에 대한 행복의 연구와 연관지어(Diener 1984; Diener et al. 1999) 브랜드를 구매하고 경험하는 과정을 통하여 소비자가 느끼는 행복감을 감정적 가치와 심리적 가치로 구분한 것인데, 심리적 가치와 긍정적 정서는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게 되고 부정적 정서는 행복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가치는 성취감, 소속감, 우월감, 윤리성 등으로 구성되고, 긍정적 정서는 따뜻함, 신기함, 흥분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부정적 정서는 무기력, 식상함, 화남 등 총 10개의 요인으로 정리할 수 있다. 사전조사 단계에서는 4가지 노트북 컴퓨터 브랜드 사용자 141명을 대상으로 하여 브랜드별로 브랜드 행복지수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측정항목을 정제하였다. 본조사는 국내의 9개 자동차 브랜드에 대하여 총 1,350명을 대상으로 닐슨코리아에 의뢰하여 온라인 조사로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통하여 브랜드 행복지수 산정에 있어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한 후 10개 요인의 브랜드 행복에 대한 표준화 회귀계수로 브랜드 행복지수의 가중치를 산정하였고 공식을 통하여 각 브랜드별 행복지수를 산출하였다. 브랜드별로 살펴보면 QM5의 브랜드 행복지수가 가장 높았으며 이후 K3, K5, SM5가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SM3와 아반떼, 쏘나타는 상대적으로 낮은 지수를 보였으며 분산분석결과 QM5의 브랜드 행복지수가 SM3나 아반떼, 쏘나타 브랜드의 행복지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급별 비교 결과를 보면 SUV급 브랜드 행복지수가 준중형급 행복지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준중형급과 SUV급은 동일 차급 내에서도 브랜드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가 브랜드를 통하여 얻게 되는 행복감을 심리적 가치와 정서적 크기로 지수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는 점, 세부 브랜드별로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행복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반영하여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relationship between brands and consumers' happiness and developing brand happiness index(BHI) to compare the influences on consumers' happiness among each brands. We developed BHI through depth interview, pretest using lap top computer brands, and online survey using automobile brands. Depth interviews showed that consumers' happiness aroused by brands consisted of 3 categories; psychological values,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We related the results to the literature on studies about happiness by dividing consumers' happiness into psychological values and emotional values. Psychological values and positive emotions affect consumers' happiness positively but negative emotions affect consumers' happiness negatively. 10 sub factors were founded in three categories of brand happiness index; achievement, sense of belonging, superiority, and ethics for psychological values, warmth, marvelous, and excitement for positive emotions, and helplessness, boredom, and angry for negative emotions. After developing, testing, and refining of variables for BHI scales through pretest using 141 respondents of lap top computer brands, we implemented online survey to confirm BHI scales based on 1,350 respondents for 9 automobile brands. To estimate each auto brands' BHI we used weighted value of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on happiness. Results showed that QM5 had highest BHI and K3, K5, and SM5 also had relatively high BHI. SM3, AVANTE, and SONATA had relatively low level of BHI. The results of comparing BHI based on automobile categories showed that BHI of SUV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HI of compact car and that each brands' BHI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within SUV and compact car categories. This implicated that consumers' happiness induced by brands can be managed through BHI which includes psychological values and emotional values and that it's possible to estimate the differences in brand happiness of each brands that affect consum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