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오 차상찬의 천도교 활동에 대한 고찰 (Reflecting on the Cheondogyo-related activities of Cheongo Cha Sangcha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9.06
36P 미리보기
청오 차상찬의 천도교 활동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99호 / 187 ~ 222페이지
    · 저자명 : 성주현

    초록

    본고는 청오 차상찬의 천도교 청년운동과 1920년대 천도교에서 전개한 문화운동에서 그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 있다. 강원도 춘천에서 출생한 차상찬은 형 차상학의 영향으로 1904년 천도교에 입교하였다. 당시에는 동학이라 불렸으며, 정부로부터 여전히 탄압을 받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천도교에 입교하였다는 것은 천도교의 사상과 종교적 교리에 공감하였음을 의미하다. 즉 천도교의 시천주의 인간존중사상, 후천개벽의 혁세사상, 민족주체의 보국안민사상 등을 수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공감하고 천도교에 입교한 차상찬은 천도교 청년운동에 참여하였으며, 천도교에서 전개한 문화운동의 중심에서 그 역할을 다하였다.
    차상찬은 천도교 첫 청년단체인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 창립부터 참여하였으며, 간의원과 간무로 중앙의 임원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차상찬은 천도교청년당의 중앙집행위원과 부문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26년대 중반 천도교청년당이 신구로 분화되자 차상찬은 신파의 천도교청년당에서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31년 통합단체인 천도교청우당의 중앙집행위원으로 1934년까지 활동하였다. 이후에는 일반 당원으로 그 역할을 다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차상찬은 천도교청년회와 천도교청년당의 부문단체인 천도교소년회, 조선농민사, 조선노동사 중앙 임원으로 참여하였다. 이와 같이 차상찬은 천도교 청년단체와 부문단체의 주요임원으로 참여는 하였지만, 이들 단체의 대내외 활동에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개벽사의 실질적 편집인으로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었다.
    차상찬은 1920년대 천도교 청년단체에서 전개한 문화운동에서는 한 축을 담당하였다. 차상찬은 개벽사의 사원, 정경부 주임, 특파원, 간부, 발행인, 편집인 등 다양한 직책으로 시작과 끝을 같이 하였다. 그는 개벽사의 실질적 편집을 담당하면서 핵심적인 사업인 ‘조선문화의 기본조사’를 그 중심에서 현장을 답사하고 『개벽』을 통해 발표하였다. 조선문화의 기본조사는 일제에 의해 왜곡된 조선의 현실을 바로 잡고자 하였는데, 차상찬이 중심적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개벽사에서 발행한 잡지, 천도교 관련 잡지, 일반 사회 잡지 등에 조선의 역사 사건과 인물 등을 비롯하여 조선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글을 기고하였다. 이러한 차상찬 등 개벽사의 역할은 1930년대 전개된 ‘조선문화운동’의 선구자의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the youth movement of Cha Sangchan's Cheondogyo and his role in the culture movement in Cheondogyo of the 1920s. Cha was born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Under the influence of one's older brother Chasanghak, he became a Cheongyoist in 1904. At the time, the movement was known as ‘Eastern Learning’ (Donghak), and continued to be subject to government repression. The fact that, amidst such circumstances, he nonetheless entered the movement is an indicator of his belief in the ideas and religious doctrines of Cheondogyo. These being the respect for humanity idea of Shicheonju, the Hucheongaebyeok Heoksae idea, and the national subject bogukanmin idea. Believing in such ideas, he became Cheondogyoist, and participated in its youth movement, playing a central role in the culture movement of Cheondogyoism.
    Cha was a participant from when the first Cheongdogyoist youth group (the Cheondogyocheongnyeongyorigangyeonbu) was formed. He acted as both a minister and a cadre at the enter of the movement. Thereafter, he was a central implementation committee member, and a member of the sectoral committee. Midway through 1926, the group divided, and he became a member of the implementation committee of the new faction. While from 1931-4, we acted as a central implementation committee member for the unified group, the Party of Young Cheondogyoists. There after, he is believed to have remained a committed member of the rank and file of the party. He also participated in the Cheondogyo Youth Society, and the Young Cheondyogyoist Society (a sectoral group in the Cheondogyo Youth Party), as well as the as a central member of the Joseon Labour Group. Yet, while he was active in the Cheondogyo youth movement and sectoral organizations, there is little sign of him playing an actual role in these organizations’ activities at home and abroad. This is because his main work was as editor of the Gaebyeoksa.
    Cha was responsible for an important part of the culture movement within Cheondogyo’s youth organizations of the 1920s. He worked on Gaebyeoksa, he was a Jeonggyeongbu Juim, a news correspondent, a cadre, a publisher, and an editor. Indeed, he was the actual editor of Gaebyeoksa, and in such a capacity led the ‘Foundational Survey of Joseon Culture’, and through fieldwork ensured it was written. The survey sought to correct Japanese imperial distortions regarding Joseon culture, and Cha played the central role in this project. In addition, he wrote for the magazine that Gaebyeoksa published, as well as Cheondogyo’s magazine, and other general socially concerned publications about Joseon’s history and other topics to promote national pride. He can thus be considered a pioneer of the Joseon culture movement of the 193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