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4차 산업혁명 관련 법정책 인식조사 (An Analysis of Perception on Law and Policy regar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1.02
30P 미리보기
4차 산업혁명 관련 법정책 인식조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법과사회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사회 / 66호 / 175 ~ 204페이지
    · 저자명 : 박종현

    초록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신기술로 촉발되는 초연결 기반의 지능화 혁명으로 인간의 삶의 방식에 대해 상상할 수 없는 수준의 근본적인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에 따라 우리 정부는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2017년 설립하고 위원회를 중심으로 데이터 네트워크 산업, 헬스케어 산업, 스마트 산업(자동차, 공장 등), 도시 건설 산업, 물류 산업, 국방 산업, 교육 산업, 핀테크 산업 등 지능정보기술과 유관한 제반 산업 분야의 주요 정책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 오고 있다. 다만 이러한 정책 구상에 있어서 정책의 민주적 정당성 확보를 위해 일반 국민들의 의견 수렴이나 직접적 참여 보장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을 청사진으로 제시하고 있는 위원회의 근본적 목표를 고려할 때, 새로운 시대와 사회를 창조하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일반 국민이 정책결정에 관여할 수 있도록 그 의견 수렴에 위원회와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4차 산업혁명 관련 법정책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4차 산업혁명 관련 법정책의 민주적 정당성 확보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 이 연구에서는 법정책에 대한 대국민 인식 조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4차 산업혁명 관련 법정책에 대한 기본적 인식 조사(정책 기조 및 구체적 정책들에 대한 지식 및 선호도 조사), 둘째, 관련 법정책 방향성 인식 조사(보완 사항・분야 인식 조사), 셋째, 입법(정책입안)과정에 참여 의사 조사(입법과정 민주성 인식 및 참여 의지 확인, 시민공동체 활동에 대한 인식 조사)를 비대면 인터넷 설문조사 형식으로 만 19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우선 4차 산업혁명 관련 입법과정에 대한 참여 의사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 시민들은 정책결정과정이 민주적으로 이루어지기를 원하며 단순 참여를 넘어 결정의 주체가 되기를 희망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자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관련 지식을 많이 알수록 정책결정 과정에의 참여 의지가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정책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민 대상 홍보와 교육이 절실함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법정책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 시민들은 기술개발로 인하여 개인이 접하게 되는 해악과 편익을 형량하여 법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결정하는 실용주의적 입장을 취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 중 법정책적 개입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설문을 통해, 일반 시민들은 어느 정도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현실화된 경우 비로소 법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논하는 다분히 현실주의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일반 시민들은 헌법상 보장된 가치와 기본권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4차 산업혁명이라는 대전환의 시기에도 그 정책입안 과정에서 여전히 근간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영어초록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hyper-connected intelligence revolution triggered by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which is expected to cause a fundamental change in the way of human life. Accordingly,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2017 and has been discussing major policies related to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data network industry, healthcare industry, smart industry, etc.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the opinions of the general public have been properly reflected into this policy initiative. Considering the fundamental goal of the Committee, which present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entered on people, it is a natural request for the Committee and the government to affirmatively guarantee public to participate in policy-making process and to secur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policy. In this context, identifying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n legal polic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n important task.
    As a preliminary work to ensure democratic legitimacy of legal polic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public awareness of legal policies regar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urvey consisted of the following topics: first, a survey of basic perception on legal polic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survey on public knowledge and preference for policy keynote and specific policies), second, a survey of an awareness on the direction of modification of relevant legal policies, third, a survey of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legislative proc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 non-face-to-face Internet survey over 1,000 adults.
    First of all, through a survey of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legislative proces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find ordinary citizens want the policy-making process to be democratic and to be the main body of decision-making process beyond just one of participants.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interes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self and the more relevant knowledge, the stronger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This indicates public education is urgently needed to implement democratic requests for policy participation. Next, a survey of an awareness on the direction of modification of relevant legal policies shows that ordinary citizens take a pragmatic stance to determine the need for legal intervention by risk-benefit analysis. In addition, we identify ordinary citizens have widely realistic positions that they become keenly aware of the need for governmental intervention only when technology development becomes a reality and we begin to experience the benefits and risks of technology development. Furthermore, ordinary citizens stress that efforts to realize constitutional guaranteed values and basic rights should still be the foundation in the policy-making process even during the great transi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