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의 2차 핵실험과 핵개발 의도 (The 2nd nuclear test of North Korea and hidden intention of nuclear development)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0.06
21P 미리보기
북한의 2차 핵실험과 핵개발 의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북아논총 / 15권 / 2호 / 143 ~ 163페이지
    · 저자명 : 홍성후

    초록

    본 논문 목적은 “북핵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2차 핵실험에서 보여준 북한의 핵능력을 유추해 보고, 핵실험 이후 전개된 국제사회의 반발과 대화 가능성을 살펴본 후 동북아 안보환경 분석을 통해 북한의 핵개발의도를 파악해 보고 있다. 북한의 핵개발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어렵지만, 동북아의 안보환경을 분석해 봄으로써 북한의 핵 의지를 어느 정도 유추해 볼 수 있다.
    북한의 2차 핵실험을 높이 평가하여 북한이 플루토늄탄과 우라늄탄 수개를 제작하였다고 해도 이는 초기단계의 핵무기일 가능성이 높다. 북한의 노후된 핵시설, 경제력, 기술력 등을 고려할 때 북한이 명실상부한 핵 억지력을 갖춘 핵보유국이 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과 과정이 필요해 보인다.
    한편,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 국제사회는 UN 대북제재 결의안 1874호를 통해 북한을 강력히 비난하고, 1차 핵실험 때 결의한 1718호 보다 강화된 대북제재에 들어갔다. 그러나 클린턴 전 미국대통령의 방북이후 6자회담 재개를 위한 북미접촉이 시작되었고, 중국 원자바오 총리의 방북 등을 통해 북핵문제에 대한 대화국면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변화는 북한의 핵개발의도가 무엇인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북한이 핵개발을 통해 궁극적으로 의도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변화하는 동북아 안보구조 속에서 그 윤곽을 유추해볼 수 있다. 동북아에서 북한의 가장 든든한 우방인 중국과 러시아도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원하지 않는다. 특히 중국은 북한과 ‘우호협력 및 상호원조조약’을 맺고 있어 북한이 핵보유를 강행하여 미국의 무력공격을 받을 경우 자동적으로 미국과 교전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은 북한의 핵무기 보유는 자국에게도 위험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현재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받고 있는 경제적 원조와 교류 등을 고려할 때, 북한은 중국의 의견을 결코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 보았을 때, 북한의 핵실험 궁극적인 의도는 핵보유국이 아니라 핵 포기의 대가로 경제난 극복과 경제회복에 필요한 원조를 기대하는 것이다.또한 미국과 평화조약 및 수교를 통해 자신들의 체제를 제도적으로 보장받는 것이다. 이 경우 북핵문제 해결의 핵심은 양측의 신뢰구축이다. 즉 평화적 협상과정을 통해 미국을 위시한 협상 참가국들과 북한이 “얼마나 빨리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가”가 중요 관건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to seek for the answer how we recognize the 2nd nuclear test of North Korea and how we tackle the crisis of nuclear tension in North-East Asia for the peace in the region. To analyse this situation of North Korea nuclear tension, this author tried to evaluate the nuclear capacity of North Korea through the 2nd nuclear test as it is. This papers tries to explain the critical argumentation from international society, checking talk-possibility of six countries concerned and the intention-degree of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through the North East Asia context.
    It is very hard to look into the hidden intention of North Korea nuclear development.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for the author, is that North Korea has been a secret dictatorship country long ago. Therefore the author took the methodology in security circumstance-screening of North Korea, so that indirectly the author could guess what will be the key intention of North Korea Nuclear project. The author tried to evaluate the 1st and 2nd nuclear tests as they are, and he supposed that North Korea overcome the threshold of nuclear weapon development, which means they have a number of plutonium and uranium bombs. But the author devaluated those bombs as primitive weapons, because North Korea has very old nuclear facilities, weak economic capacity and technical insufficiency. He also believes that it will takes long times for North Korea to achieve the possession status of nuclear weapon. Red China and America are concerned uneasily about North Korea intention through nuclear test.
    International society was so surprised to see North Korea nuclear test that they criticised North Korea strongly, with announcing strong anti-resolution 1874 of U.N. security council. The key problem to solve this crisis will be trust relation set-up between U.S. and North Korea from now on. In a sense, what is really hidden goal of North Korea, may be to get economic aid from western society through nuclear game of North Korea, as the author believes so.
    China, as a strong ally to North Korea, also regards nuclear weapon of North Korea as dangerous situation. And China has provided lots of economic aids from early 1950 to today. So that North Korea might listen to China advice in short time. China would try to persuade North Korea to abandon nuclear test in future.
    The author concludes someday finally U.S. and China would control North Korea's nuclear game through the six-party talks. He declared that the real intention of North Korea would be to get a plenty of foreign aid from western countries enough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of North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북아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