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AIDD 11차 지적장애 지원 체제 이해 (Understanding Support Systems of 11th Intellectual Disabil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0.09
32P 미리보기
AAIDD 11차 지적장애 지원 체제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적장애연구 / 12권 / 3호 / 109 ~ 140페이지
    · 저자명 : 전보성, 김문섭

    초록

    미국지적발달장애협회(AAIDD, 2010)는 과거 10번째 편람(AAMR, 2002)에서 사용한 “정신지체” 용어를 11번째 편람(2010년)에서는 “지적장애” 용어로 공식적으로 사용하였다. 이는 인간 기능성을 강조하는 최근 장애의 개념을 반영하고 있는 용어이고, 기능적 행동과 맥락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정의를 내리려고 하는 전문가들의 입장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또한, 사회-생태학적인 접근에 기초를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번 2010년에 새로나온 AAIDD 11차 지적장애의 지원체제를 알아보기 위해, 11번째 편람(AAIDD, 2010년)과 Supports Intensity Scale(Thompson et al, 2004a)을 위주로 첫째,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 둘째, 지원형식으로의 예방, 셋째, 정신 및 신체 건강 관리 지원, 넷째, 보다 높은 IQ 점수를 지닌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 마지막으로 지원강도척도(SIS : Supports Intensity Scale)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마디로, AAIDD 11차 지적장애 정의의 분류, 진단, 지원체제에서 많이 바뀐 부분은 지원체제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11차 편람을 통해 어떤 사람도 이용 가능한 모든 수준의 지원을 필요로 하지는 않으며, 개인의 지원 요구는 양적, 질적으로 모두 다르기 때문에 표준화된 도구인 지원강도척도(SIS : Supports Intensity Scale)를 사용해 개인이 필요로 하는 지원 욕구와 패턴의 강도(지원 형태)를 측정한 후, 이를 개별화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평가를 통해 개인성과의 향상정도를 측정하는데 그 목적과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term ‘Mental Retardation' 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AAIDD) have used until 10th Manual was officially changed as the term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11th Manual. The term reflect recent construct of disabilities that stress human functioning, also the term agree with most of professional opinion that define the term in relationship with functional behavior and context. Additionally, the term was focused in social-ecological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upport systems of 11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published by AAIDD, 2010. To achieve the goal, main literature was reviewed in Supports Intensity Scale(Thompson et al, 2004a) and Manual of 11th intellectual disabilities(AAIDD, 2010).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to find out supports needs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is to research prevention as a form of support, Third, is to investigate mental and physical health-related supports, Fourth, is to analyze supports needs of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have higher IQ score, Fifth, is to investigate SIS(Supports Intensity Scale)11th Manual suggested that any one do not need all level of supports that all can utilize, because support needs of individual differ in quality and quantity, after measuring intensity of support needs and patterns utilizing Supports Intensity Scale(SIS), when IEP planed, should use it and should check in individual' results and promotion through eval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적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