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형사소송절차에서의‘공범’ (Accomplice in the Criminal Proced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6.03
39P 미리보기
형사소송절차에서의‘공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희법학 / 51권 / 1호 / 119 ~ 157페이지
    · 저자명 : 양동철

    초록

    원래 ‘공범’은 실체법상 개념이기는 하지만 절차법에서도 중요한 개념이다. ‘공범’은 ‘고소의 주관적 불가분 원칙(형사소송법 제233조)’ 등과 같이 법률상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기도 하고, ‘공범 진술의 증거능력’의 논제처럼 법리상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형사소송절차에서 공범의 범위는 형법총칙상의 공범, 즉, 임의적 공범 뿐 아니라 필요적 공범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새겨 온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대법원은 공소시효의 정지를 규정한 형사소송법 제253조 제2항의 해석과 관련하여 “제2항에서 말하는 ‘공범’에는 뇌물공여죄와 뇌물수수죄 사이와 같은 대향범 관계에 있는 자는 포함되지 않는다.”라고 판시하였다. 위 [대법원 2015.02.12. 선고 2012도4842 판결]의 ‘공범에는 필요적 공범인 대향범이 제외된다’는 결론이 형사소송절차에서 공범의 범위가 기준이 되는 다른 논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야 하는가? 이 글은 형사소송절차에서의 공범 관련 규정과 법리를 재조명하고, 공범이 주요 개념으로 등장하는 여러 논제에 관한 학설과 판례를 살펴보며 위 의문을 풀어본다.
    결론적으로 형사소송절차에서도 형법상의 공범의 개념은 존중되고 이를 기본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진행에 따라 변화하는 형사절차의 특수성을 감안하고, 적정한 국가형벌권의 행사와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의 조화라는 기본이념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형사소송절차에서의 공범의 범위는 형법상의 공범의 의미를 그대로 수용하기 곤란하고, 아울러 통일되게 해석하기 어렵다.
    형사소송절차의 여러 논제에서 공범이 중요한 기준이 되는 공통된 이유는 공범은 서로 이해관계가 공통되면서도 때로는 서로 대척점에 설 수도 있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 성격에 관하여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특수절도 등 합동범, 폭력행위등 처벌에 관한 법률 등에 규정된 공동범은 형법상의 공동정범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형사소송절차의 공범의 개념에 포섭하는 것은 무리가 없다고 생각된다. 집합범이나 대향범 등 필요적 공범도 실질적으로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요하므로 형사소송절차에서의 공범의 범위에서 제외할 이론적 근거나 실질적 필요성이 뚜렷하지는 않다.
    대법원 판례는 하급심과 수사실무에 기준이 될 뿐 아니라 국민의 행동규범을 제시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해석의 일관성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공범의 공소시효의 정지와 관련하여 대향범을 제외하는 위 대법원 판결의 결론에는 찬동할 수 없다. 아울러 위 판례의 취지를 형사소송절차에서의 여러 논제의 공범의 범위에서 대향범을 제외하겠다는 취지로 해석하는 것도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Accomplice has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criminal procedure law as well as in that of the substantive criminal law.
    Generally in the criminal procedure, the concept of accomplice has been used that contains both voluntary accomplice and mandatory accomplice.
    Recently, Supreme Court released a meaningful precedent, [Supreme Court Decision 2012Do4842 Decided February 12, 2015] that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253 (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concept of accomplice does not incude specific type of mandatory accomplice like bribery.
    Article 253 (2) provides that “When a public prosecution is instituted against one of several accomplices referred to in the preceding paragraph, the tolling of the limitation period shall be suspended as to the other accomplices and shall begin to toll again when a judgment on the case concerned becomes finally binding.” But the Criminal Procedure Act does not define the meaning of ‘Accomplice’.
    With reference to that issue, many sincere arguments could be rai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tandpoint of the Supreme Court and suggest a meaningful criterion on that issue.
    So, this paper starts with analysis of related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and treats the relavent issues.
    Especially, it studies issues such as‘Statements prepared by Accomplice’, ‘Witness eligibility of co-defendant and ’and ‘Suspension of Limitation Periods for Public Prosecution’ Finally, it suggests criteria on that issues and possible solutions to the problems.
    In conclusion, I don’t agree with the opinion of [Supreme Court Decision 2012Do4842 Decided February 12, 2015] In my opinion, as far as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253 (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concept of accomplice contains mandatory accomplice like bribery. And I think that in the criminal procedure, the concept of accomplice should s​ubsume both voluntary accomplice and mandatory accompl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