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자동차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승용차 생산량 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ble Factors of Production Quantities for Passenger Vehicle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Automotive Industr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7.02
23P 미리보기
한국 자동차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승용차 생산량 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한국디지털무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디지털무역리뷰 / 15권 / 1호 / 163 ~ 185페이지
    · 저자명 : 이민규, 신광섭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승용차 생산량의 상관성, 추세, 계절성을 실증 분석하고,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승용차 생산량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를 선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독립변수가 승용차 생산량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한 후, 실제 국내 승용차 산업 현실과 부합하는지 검증하였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는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설명하였고, 2장에서는 자동차 산업의 거래 특성, 시장 변화, 수요 특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3장 실증분석은 국내 승용차 생산량의 상관성, 추세, 계절성을 분석하였고, 선정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4장 결과분석에서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각 회귀모형의 설명력과 적합도를 분석하였고, 유의한 독립변수가 회귀모형에 끼친 영향력을 환경 요인과 경제 요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마지막 5장에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을 논하였다.
    결과: 다중회귀모형의 독립변수로 선정된, 휴무 가변수, 달러대 원화 환율, 주유소 평균 유가, 승용차 생산자물가지수, 자동차 제조업 경기실사지수는 모두 승용차 생산량 변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원화 환율 상승은 수출 주력 차종인 일반소형과 일반중형 승용차 생산량을 증가시켰으므로, 환율 변화 추이로 수출 주력 차종의 생산량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더불어 유가 상승기에는 승용차 내수 판매 위축보다 산유국으로 수출이 증가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나므로, 승용차 생산량의 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품업체는 부품이 장착될 승용차의 생산량 변동을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있고, 효과적인 생산·재고·수요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독창성/가치: 자동차 산업의 수요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자동차 총 수요의 예측이나 특정 기술의 자동차 수요 예측에 집중되어 있고, 수요예측 결과로 미래 자동차 산업을 전망하는데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제조되는 승용차를 유형과 크기로 구분하여 월 단위의 생산량 변동에 영향을 주는 변수와 변수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변수들을 환경 요인과 경제 요인으로 나누어 국내 승용차 산업 현실과 부합하는지 검증하였다. 특히, 경제 요인에 해당되는 변수가 승용차 생산량 변동에 끼친 영향을 승용차 수출량의 변화로 규명하였다.

    영어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production quantities for passenger vehicles. In view of thi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judge the factors that affected changes in volumes of passenger vehicle production. After analyzing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regression models, the result was verified as to whether it matches with the actual situation of the passenger vehicle industry in Korea.
    Composition/Logic: This paper is composed of five sections. In section 2, previous studies cov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de, demand, and market changes in the automotive industry are reviewed. The correlation, trend, and seasonality of actual automobile production volumes have been corroborated in section 3. In section 4, the regression models have been develop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sis are expla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utomotive market. Lastly, section 5 concludes by summarizing contributions and offering recommendations for future works.
    Findings: All independent variables, namely holiday dummy variables, USD–KRW exchange rate, average oil price, passenger vehicle producer price index, and business survey index of the automotive industry, in the regression model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specially, a rise in the exchange rate influenced the export volumes of small and mid-sized vehicles, and rising oil prices were affecting the export volumes to the Middle Eastern countries. These results allow part suppliers to predict production quantities of passenger vehicles reasonably, making it possible to control demand and inventory effectively.
    Originality/Value: Prior research on demand in the automotive industry has focused on either predicting the total demand for automobiles or on predicting the demand for specialized vehicles with certain technologies. Especially, they concluded by overlooking the market based on the results of demand forecasting. In this study, the variable factors of monthly production volumes in the passenger vehicle industry have been analyzed considering the sizes and types. Furthermore, all dependent variables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 factors to verify the impact of export volumes in the marketp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무역리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