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예인, 치유 서사 경제 그리고 오은영 현상: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를 중심으로 (Celebrity, Therapeutic Narrative Economy, and Dr. Oh Phenomenon: Focusing on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3.08
36P 미리보기
연예인, 치유 서사 경제 그리고 오은영 현상: &lt;오은영의 금쪽 상담소&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 사회 / 31권 / 2호 / 45 ~ 80페이지
    · 저자명 : 김현경

    초록

    본 논문은 ‘오은영 현상’의 이유와 내용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이를 연예인이 내담자로 출연하는 상담 토크쇼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했다. 이 프로그램은 치유문화의 부상이라는 맥락에서 등장했으며 오은영이 아동정신의학 전문가에서 현대 한국의 보통 성인들이 겪는 자아와 관계 문제 전반에 대한 전문가로 영역을 확장한 첫 번째 프로그램이다.
    서사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한 <금쪽 상담소>는 첫째, 인물에 있어서는 연예인이라는 특정 직업을 가진 내담자가 내면의 고민과 고통을 안고 있는 ‘문제적 자아-주체’로, 다시 고민과 고통을 해결한 ‘치유된 자아-주체’로 재현되고 있었다. 둘째, 사건에 있어서 출연자가 자아와 관계의 문제로 고통스러운 원인을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에서 찾았다. 이는 가족관계를 통해 경험하는 사회적 변동이자 자기 서사화의 욕구의 발현일 수 있지만 프로그램에서는 자아의 치유와 변신을 위해 직면해야 하는 내면적 상처로 제시되었다. 셋째, 사건의 해결에 있어서 오은영의 전문가로서의 진단과 명명은 양식화된 정서적 공감 그리고 무속적 장치의 미디어적 변형인 ‘빙의(부모 역할 연기)’와 부적을 연상시키는 쿠션과 결합한다. 출연자들이 자신의 사적 공간에서 쿠션을 안고 찍은 셀카는 이들의 자아가 고민을 해결하고 치유되었다는 느낌을 주는 증거로 기능한다. 본 논문은 이런 특징을 가진 <금쪽 상담소>의 서사를 ‘자아의 메이크오버 서사’로 명명했다. ‘자아의 메이크오버 서사’는 치유 서사와 자기계발 서사가 분리할 수 없을 정도로 착종된 양상을 드러낸다.
    <금쪽 상담소>에서 연예인들은 자기계발적 치유 서사의 중심인물로 부각된다. 연예인들은 일상적 존재로의 인간미, 보다 특별한 사연의 소유자로 깊이를 더하면서 이미지 상품으로서의 상품성을 높인다. 상품성에 지장이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공된 표준화된 서사는 고통을 균질화하여 식상한 것으로 만든다. <금쪽 상담소>의 사례를 통해 본 오은영 현상은 한국 대중의 자기 삶의 서사화와 서사의 민주화에 대한 욕구, 신자유주의적 자기계발의 문화적 압력, 고통의 균질화와 불행 베틀의 가능성이 만연하는 교차하는 지점에 놓여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tried to clarify the reason and the content of the Dr. Oh phenomenon through the analysis of <Dr. Oh’s Golden Clinic>. This program emerged in the context of the rise of therapeutic culture and is the first program in which Dr. Oh expanded her field from a specialist in child psychiatry to an expert in all aspects of self and relationship problems in contemporary Korea.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result.
    First, character is a ‘problematic self-subject’ in which a client with a specific job as an entertainer or celebrity has inner worries and pains and solves the troubles and pains again. It was being reproduced as a ‘healed self-subject.’ Second, the cause of the guests’ suffering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in childhood. It is a social change experienced through family relationships and a manifestation of the desire for self-narration. However, the program presented it as an internal wound that must be faced for self-therapy and transformation. Third, Dr. Oh’s diagnosis and naming as an expert in case resolution combines stylized emotional sympathy, media transformation of shamanic devices, ‘playing the role of a parent,’ and a ‘healing cushion’. The self-portrait taken by the guests while hugging a cushion in their private space functions as proof that their selves have resolved. This article named the narrative as the ‘self's makeover narrative.’ It reveals an aspect in which the narrative of therapy and self-help are inseparably intertwined. Celebrities enhance their marketability as image products while adding depth as main characters of special stories and humanity. Standardized narratives processed within the scope of not hindering marketability homogenize pain and make it boring. The Dr. Oh phenomenon lies at the intersection of the Korean public's desire to narrate their lives and the democratization of the narrative, the cultural pressure of neoliberal self-help, and the spread of standardized narra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