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聖과 俗의 境界, 『三國遺事』의 ‘신발 한 짝’ ('A Shoe' of the Samkookyusa; A Boundary between Sacred and Profan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3.06
26P 미리보기
聖과 俗의 境界, 『三國遺事』의 ‘신발 한 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43호 / 103 ~ 128페이지
    · 저자명 : 이강엽

    초록

    이 글은 聖과 俗의 境界라는 관점에서, 『三國遺事』의 몇몇 설화에 등장하는 ‘신발 한 짝’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이는 그간 신발을 신발 주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인식해오던 한계를 넘어 주제적인 국면까지의 해명을 시도한 것이다.
    첫째, ‘신발 한 짝’의 신화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신발 한 짝이 이른바 ‘신데렐라型’ 이야기에서 한쪽 신발은 이쪽 세계에 한쪽 신발은 저쪽 세계에 둠으로써 그 주인이 양쪽에 걸쳐진 존재를 표상하며, 우리 불교설화에서는 ‘관음’이라는 상징을 통해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고 위로는 부처의 깨침을 추구하는 중간자적 존재로 드러날 때 신발 한 짝이나 버선 한 짝 같은 식의 상징물이 사용되었다.
    둘째, 『삼국유사』에서 신발 한 짝이 나오는 자료를 살폈다. 「塔像」편의 <南白月二聖努肹夫得怛怛朴朴>, <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 「義解」 편의 <二惠同塵>, 「感通」편의 <郁面婢念佛西昇> 등 네 자료에 드러나는데, 이들은 모두 신발 한 짝으로 두 세계에 걸쳐있는 인물, 혹은 이 세계에서 저 세계로 이동하는 인물의 특성을 드러내준다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각 작품의 구체적인 양상은 다르다. <南白月二聖努肹夫得怛怛朴朴>은 신발이 옮겨간 방향이 신라에서 중국이 되게 함으로써 신라를 불법 전파의 聖地로 귀결시킨다. <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에서는 신발 한 짝은 塵世에 둔 채 나머지 신발 한 짝을 끌고 淨土에 坐定하는 서사를 통해 관음이 塵世와 淨土에 걸쳐있는 존재임을 드러낸다. 또, <二惠同塵>은 신발 한 짝은 동쪽 언덕에 남긴 채 다른 한 짝은 서방으로 가는 모습을 그려서 和光同塵을 극적으로 구현해낸다. <郁面婢念佛西昇>은 신발을 떨구고 육신마저 떨어낸 후 완벽한 해탈을 이루는 서사로 귀결되었다.
    신발이 한 짝으로만 제 기능을 할 수 없는 것처럼, 나머지 한쪽과의 통합을 갈구하면서 양자 사이의 불균등을 해소하여 위아래 구분 없이 평등한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 이런 이야기들의 핵심 주제이다. 신발 한 짝이 등장하는 설화는 곧 聖과 俗, 未覺과 覺 , 輪廻와 解脫의 경계에서 그 둘이 어떻게 중개되며 궁극적으로 하나로 통합되는지 밝혀내는 서사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of 'a shoe' of the Samkookyusa with respect of the boundary between the Sacred and Profane.
    Firstly, I examine the mythological meaning of 'a shoe.' The shoe like the one in Cinderella story represents its owner's existence involved in both worlds. In our Buddhism fables, when she saves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pursues the enlightenment of Buddha, such shoe has been used as a symbol of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and thus it represents the mediator between ordinary people and Buddha.
    Secondly, I examined four chapters of the Samkookyusa where such shoe is described: <Two Saints of Nambeckwolsan, Nohilbudeuk and Daldalbakbak> and <Kwanem and Jeongchui, two saints of Naksan and Choshin> of the section 'Topsang' and <Hyesook and Hyegong live together in secular society> of the section 'Uihae' and <Wookmyeon, a female servant, goes up the heaven> of the section 'Kamtong.' The sho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person either being involved in both worlds or moving from this world to that world. In the story of <Two Saints of Nambeckwolsan, Nohilbudeuk and Daldalbakbak>, such shoe moves from Silla to China, which makes Silla as a sacred place of propagation of Buddhism. In the story of <Kwanem and Jeongchui, two saints of Naksan and Choshin>, the character leaves one of his shoes in secular world but, wearing the other one of his shoes, he walks up to the heaven and settles there, which indicates he is a sort of mediator between the heaven and the world. In addition, <Hyesook and Hyegong live together in secular society> describes a story where, leaving one of his shoes in the eastern hill, the character takes the other shoe until he arrives at the heaven, which achieves dramatic realization of integrating the Sacred and Profane. <Wookmyeon, a female servant, goes up the heaven> is a story about a woman who reaches complete nirvana by taking off her shoes and even her body.
    The main theme of these stories is that we should long for the integration and thus return to the world of equality by resolving inequality between one and its counterpart just as a shoe cannot serve its function without the other sho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