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리가>와 <짝타령> 연구 (A Study on the Bariga and Jjaktarye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4.04
49P 미리보기
&lt;바리가&gt;와 &lt;짝타령&gt;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37호 / 141 ~ 189페이지
    · 저자명 : 성기련

    초록

    <바리가>는 문장가와 영웅호걸, 충신, 열녀, 미인 등을 몇 명씩 묶어 말 위에 바리를 싣는 내용의 노래로 완판 계열의 ≪춘향전≫이나 동·서편제 ≪춘향가≫에는 보이지 않고, 『남원고사』 계열의 소설 ≪춘향전≫ 및 중고제 ≪춘향가≫에만 수록되었던 노래이다. <바리가>는 현재 전승되지 않아서 노래의 특징이나 이 악곡이 속한 장르에 대해 알 수 없으나, 유사한 노랫말로 된 <짝타령>이 단가, 병창, 판소리 삽입가요 등 다양한 장르로 불린 사실로 미루어 19세기에서부터 20세기 초까지 ‘여러 유명한 인물들을 묶어서 말 위에 바리 얹는 노랫말의 노래’가 유행했음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다양한 장르로 향유된 <바리가>라는 노래에 주목하여, 이 곡이 원래 어떠한 장르에 속한 곡이었으며 판소리에 삽입된 이후의 음악어법과 노랫말의 특징은 무엇인지, 또 <짝타령>과는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고찰 결과 19세기 중엽 경기·충청권에서 향유된 중고제 판소리 ≪춘향가≫와 경판 계열 ≪춘향전≫에 삽입된 <바리가>는 가사 <십태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여러 인물을 묶어서 말 위에 바리 얹는 노랫말의 구조와 노래의 성격을 유지하면서 장편화한 노래가 <바리가>임을 알 수 있었다. <바리가>는 창우집단에 속한 판소리 창자들이 판소리 ≪춘향가≫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판소리 음악어법화하여 현행 자진모리장단에 해당하는 완자장단으로 불리면서 기존 악곡의 특성을 잃게 되었으며, 4명의 인물을 ‘…로 한 짝하고, …로 짝을 지어, …로 웃짐 쳐서 …로 말 몰려라 둥덩’이라는 노랫말의 구조에 대입하는 변화를 거쳐 <짝타령>이라는 제목의 새로운 장르의 노래로 파생되었다.
    <바리가>는 19세기 후반기 이후에도 여러 필사본 ≪춘향전≫에 삽입되어 있지만 노랫말의 변화 없이 독서물의 일부로 전승되었고, <짝타령>은 19세기 중엽 이후 단가와 병창으로 불리면서 판소리에 다시 삽입되는 등 크게 유행하게 된다. 판소리 삽입가요 <바리가>로부터 파생된 <짝타령>이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다양한 노랫말의 구성으로 불리며 사랑받을 수 있었던 것은 고사 속 여러 인물을 ‘말 몰려라 둥덩’이라는 노랫말과 함께 매 단락 규칙적으로 맺어지는 말놀이[語戱]를 통해 지적 유희를 즐길 수 있는 독특하고 흥미로운 노랫말 구조, 그리고 이러한 노랫말의 특징을 잘 살려 단가와 병창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노래를 창조해 낸 창우집단 창자들의 음악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Bariga is a song about loading famous good writers, heroes, loyal and faithful women and beautiful women bound to go on horses like luggage. This isn’t found in Chunghyangjeon in the wanpan (Jeonju edition) line or Chunhyangga in dongpyeongje and Seopyeongje, but only in Chunhyangjeon which relates to Namwongosa and Chunhyangga in junggoje. As Bariga hasn’t been passed down to present, it is impossible to know the features and genre of the song.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Jjaktaryeong, which consists of similar lyrics to Bariga, was sung in a variety of genres including danga, byeongchang (singing with gayageum or geomungo) and pansori insert songs, it can be assumed that the songs about binding various famous characters to be loaded on horses were popular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is study focused on a song called Bariga and Jjaktaryeong which was enjoyed in various genres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examined what kind of genre Bariga belonged to and what its musical expressions and texts were after it was inserted into pansori, and its association with Jjaktaryeo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Bariga was inserted into Chunyangga in junggoje pansori which was enjoyed in the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s in the mid 19th century and Chunhyangjeon in the gyeongpan line has a close association with Siptaega of Gasa genre. And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Bariga is a full-length song which maintained the lyrics with contents about the binding of various characters to be loaded. While pansori singers in the Changwoo group accepted Bariga into pansori Chunhyangga, it was influenced or modified by pansori musical expressions and sung in the wanja jangdan, which is a current jajinmori jangdan, and eventually lost the feature of Gasa song. After Bariga’s featured application of including people’s names in certain parts of lyrics in a way that goes like: ‘Load a piece of luggage with somebody (insert one’s name), pair it with another piece with somebody, add one with somebody to ride horses to somebody, deung deong,’ it has become transformed into an independent song, Jjaktaryeong, in a new genre.
    Bariga has been inserted into manuscriptal Chunhyangjeon since the mid 19th century but it has been passed down as a part of reading materials without editorial changes, while Jjaktaryeong became popular after the mid 19th century by being sung in the fashion of danga and byeongchang and inserted into pansori again. The elements that comprise the great popularity of Jjaktaryeong, which was derived from Bariga and is a pansori insert song, include its diverse lyrics in a wide range of genres that feature i) a unique and interesting lyrical structure in which intellectual plays were enjoyed through a word game that adopted various characters from history and used the lyrics of ‘drive the horse, deung deong’ in each paragraph and ii) the musicality of the singers of Changwoo group, which created a new genre, danga and byeongchang, that emphasized the features of the lyric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