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아동의 언어에 대한 내재된 전략 사용: SNARC (Spatial-Numerical Association of Response Codes) 효과와 덩이짓기 효과 비교 분석연구 (The Implementation of Inherent Strategies on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 SNARC Effect and Chunking Effect)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0.03
12P 미리보기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아동의 언어에 대한 내재된 전략 사용: SNARC (Spatial-Numerical Association of Response Codes) 효과와 덩이짓기 효과 비교 분석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25권 / 1호 / 14 ~ 25페이지
    · 저자명 : 양윤희, 문주희, 임동선

    초록

    배경 및 목적: SNARC 효과는 심적 수평선(mental number line)에 기반한 수-공간 연합이 발생하여 작은 숫자일수록 왼쪽에서, 큰 숫자일수록 오른쪽에서 수행력이 좋아지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수-공간 연합 능력과 덩이짓기 능력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고, 언어능력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4-6세의 일반아동 21명, 언어발달지연 아동 15명, 총 36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SNARC 효과를 밝혀내고자 시각적 숫자 찾기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언어 및 비언어적 덩이짓기 능력을 측정하고자 단어목록회상 과제와 대칭-비대칭 매트릭스 과제를 실시하였다. 시각적 숫자 찾기 과제는 E-Prime software를 통해 정확도(%)와 반응시간(ms)을 측정하였다. 결과: 두 집단 모두에게서 SNARC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표현언어능력에 대해 반응속도 측면에서의 SNARC 효과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한편, 수용언어능력에 대해서 일반아동 집단의 경우 비언어적 덩이짓기 능력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지녔으나,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의 경우에는 유의한 예측인자가 없었다. 논의 및 결론: 두 집단 모두 내재된 정보처리 전략으로써 수-공간 연합능력을 지녔으며 표현언어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해주었다. 그러나 수용언어능력의 경우, 일반아동 집단만 덩이짓기(비언어적) 능력이 유의한 예측인자로 나타나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언어능력 증진을 위해 수-공간 연합 능력뿐만 아니라 덩이짓기 능력 또한 일관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면 언어능력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spatial-numerical association and chunking ability among 21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nd, 15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L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ether the SNARC effect exists in the LD group. Methods: This study assumed that there was a mental number line where numbers are sequentially recognized from left to right. In other words, smaller numbers would be induced faster on the left side, and larger numbers would be induced faster on the right side (Gevers et al., 2010). The study included a visual number search (VNS) for verifying the SNARC effect, and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chunking tasks (word list recall, symmetric-asymmetric matrix) for identifying the chunking effect. Results: The SNARC effect was confirmed in both TD and LD children. The SNARC effect also showe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in expressive language ability. However, in the LD group, neither the SNARC nor chunking effect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receptive language ability. Conclusion: Both groups showed SNARC effects in terms of response time, and there was an inherent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y, which significantly predicted expressive language ability. If LD children were able to consistently demonstrate not only spatial-numerical association but also chunking ability; these could be more useful inherent strategies to facilitate efficient language skil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3 오후